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및 자료

건축기사 실기 용어정리

반응형

관리목표
•품질관리
•공정관리
•원가관리

건축생산의 3S
•단순화
•규격화
•전문화

건축시공 기술 관리 항목
•하드웨어 기술 : 공법, 재료, 기계
•소프트웨어 기술 : 계획, 관리, 운영

도급자
•원도급자 : 건축주와 직접 도급계약을 체결한 자
•재도급자 : 건축주와는 관계없이 원도급자와
도급공사 전부를 수행하기로 계약을
맺은 자
•하도급자 : 건축주와는 관계없이 원도급자와
도급공사 일부를 수행하기로 계약한 자
•건설업 : 건설공사를 완성하고 그 대가를 받는 영업
•감리자 : 건축물이 설계도서대로 시공되는지의
여부를 확인 및 감독하는 자
•건설사업관리자(CM Manager)
: 건설프로젝트의 전과정에 CM업무를 수행하는 자

건설산업기본법상 금지되는 도급 형태
•재도급
•전면하도급
•무면허도급
•재하도급
•면허대행도급

건축주의 의무와 권리
•의무 : 공사비 지불의무
(공사비 청구에 대한 지불 의무)
•권리 : 건물인수권(완성건물을 인수받을 권리)

도급자의 의무와 권리
•의무 : 기간 내 건물완성 후 인도 의무
•권리 : 공사비 청구권

공정계획의 요소
•공사시기
•공사규모
•공사의 내용
•노무자, 재료의 수배
•시공기기의 수배
노무자
•직용노무자 : 원도급자에게 직접 고용.
잡역 등 미숙련자가 많음
•정용노무자 : 직종별 전문업자 혹은 하도급업자에
상시 종속되어 있는 기능노무자.
출역일수에 따라 임금을 받음
•임시고용노무자 : 날품노무자. 보조노무자.
임금이 낮음

프로젝트(Project) 전개과정
•프로젝트(project)의 기획(착상) 및 타당성 조사
•설계(Design) : 기본, 본설계
•구매 및 조달
•시공
•시운전 및 완공
•건물인도(Turn Over)
•유지관리

공사계획의 일반적인 순서
•현장원 편성
•공정표 작성
•실행예산 편성
•하도급자의 선정
•가설준비물 결정
•재료선정
•재해방지

도급계약 체결 후 공사순서
•가설공사
•기초공사
•구체공사
•방수공사
•지붕공사
•내부마무리공사

공사 중의 식전(예식행사)
•기공식
•정초식 : 기초공사 완료시에 행하는 의식.
주로 정초석을 설치하는 의식
•상량식 : RC조에서는 지붕공사 완료시,
목조에서는 마룻대 설치 시 행하는 의식
•낙성식

건설공사 현장의 보고주기 (짧음 -> 김)
•일보 → 주보 → 순보 → 월보 → 분기보

 


원가관리
•예정원가(사전원가)
: 설계원가, 입찰원가, 실행원가로 구분
•실제원가(사후원가)
: 설계변경, 물가상승, 추가공사, 하자보수 등의
요인으로 변경된 원가
•실행예산
: 공사손익을 사전에 예시하고 합리적, 경제적으로
현장운영과 공사수행을 도모하도록 작성되는 예산으로
현장관리 지침 예산이며, 손익분기점이 되는 예산.

CALS(Continuous Acquisition & Life cycle Support / Commerce At Light Speed)
•문서없이 건설사업을 종합관리
•건설생산활동의 전과정에서 건설관련주체가
정보통신망을 이용, 정보의 실시간 공유를 통한
건설분야 통합정보 통신시스템
•효과
-종이 없는 업무 수행체제의 구축
-제품개발 또는 조달 기간의 단축
-제반 비용의 절감
-제품의 종합적 품질향상을 달성

CIC(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
•컴퓨터를 통한 건설통합생산시스템
•컴퓨터, 정보통신 및 자동화 조립기술을 토대로 건설생산에 기능, 인력들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각 건설업체의 업무를 각사의 특성에 맞게 최적화하는 개념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사업별 경영정보 전산체계
: 사업의 전 과정에서 건설관련주체간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체계적, 종합적으로 관리하여 최고품질의 사업목적물을 건설하도록 지원하는 전산시스템

공사내용 분류방법에서 목적에 따른 Breakdown Structure
•작업분류체계(WBS : Work Breakdown Structure)
•조직분류체계(OBS : Organization Breakdown Structure)
•원가분류체계(CBS : Cost Breakdown Structure)

클레임의 유형
•공사지연
•현장 공사 조건의 변경
•공사비 지불 지연
•도면과 시방서의 불일치

 

계약분쟁의 해결방법
•합의(상호합의에 의한 해결)
•조정, 중재(조정 및 중재에 의한 해결)
•소송(재판에 의한 해결)

위험대응방안(위험도 관리)
•보증 : 입찰보증, 하자보증, 계약이행보증
•보험
•위험도 회피
•손실감소와 위험도 방지

건설관리조적(라인조직 / 직계식조직)
•건설사업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것으로, 사업성격이 분명하고 단순하며 각 업무가 분절되어도
서로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경우에 적합.
•CM 등이 적용되는 대규모 공사에는 부적합.
•자칫 관료적이 되기 쉬움

턴키계약방식 : 일괄수주방식
•토지조달, 설계, 시공, 기계기구 설치, 시운전,
조업지도까지 모든 것을 조달하여 주문자에게 인도하는 도급계약방식
•대규모공사, 특정 주요공사에서 많이 채용하는 방식
•주문자가 요구하는 모든 것을 조달하여 인도하는
도급계약방식
•설계와 시공의 의사소통개선
•책임시공으로 책임한계 명확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절감노력 왕성
•창의적 설계․신공법 개발 유도
•건축주 의도 반영이 어려움
•대규모회사에 유리
•중소업체 육성저해
•최저가 낙찰제인 경우 공사품질 저하
•공사비 사전 파악의 어려움

공사실시 방식에 따른 분류
•일식(총)도급
•분할도급
•공동도급

일식도급(총도급)
•공사전체를 한 업자에게 주어서 시공업무 일체를
시행하는 방법
•공사비 확정
•공사관리 용이
•계약․감독업무가 단순
•말단 노무자의 지불금 과소로 공사부실 우려
•건축주 의도와 설계도서의 의도가 충분히 이행되지 못함
분할도급 : 공사유형별로 전문업자에게 분할도급
•전문공종별
-설비업자의 자본
-기술 강화․
-전문화로 능률향상
•공정별
-예산 배정 상 구분될 때 편리.
-도급자 교체가 어려움
•공구별
-도급업자의 기회균등
-시공기술 향상
-높은 성과도 기대
•직종별, 공종별(직영체제와 비숫)
-직영공사에 가까운 제도
-건축주 의도가 철저히 반영
-현장종합관리가 어려움
-경비가산

공동도급 (Joint Venture)
•대규모 공사 시공에 대하여 여러 개의 건설회사가 공동출자 기업체를 조직하여 한 회사 입장에서 공사를 수주하고 시공하는 도급형태
•공사이행의 확실성 보장
•여러 회사 참여로 위험 분산
•자본력과 신용도가 증대
•공사도급경쟁의 완화수단
•기술향상
•경험의 확충 기대
•운영방식
-공동이행방식
-분담이행방식
-주계약자형 공동도급방식

페이퍼조인트(Paper Joint)
•컨소시엄 공사에 있어서 명목상(서류상)으로는 여러 회사의 공동도급이지만 실제로는 한 회사가 공사전체를
진행하며 나머지 회사는 하도급 형태로 참여하는
서류상의 공동도급을 의미

공사비 지불방식에 따른 분류
•정액도급
-공사비 총액을 확정하고 계약하는 방식
-공사 관리 업무가 간편
-총액이 확정되므로 자금계획이 명확.
•단가도급
-단가만을 계약하고 실시수량 확정에 따라 차후
청산하는 방식.
-공사를 신속히 착공할 수 있음
-공사량 절감의 노력이 없어짐
•실비청산(정산)보수가산 도급
-공사비의 실비를 3자(건축주, 감독자, 시공자)
입회하에 확인 청산하고, 건축주는 미리 정한 보수율에
따라 공사비를 지급하는 방식
-양심시공 기대
-우수한 공사 기대
-공사기간 연장의 우려가 큼
-공사비 절감 노력이 없어지고 공사비 증가가 우려

•실비청산비율보수가산식
: A + Af = 공사실비 + (공사실비 X 비율보수)
•실비청산한정비율보수가산식
: A’ + Af = 한정된(제한된)실비 + (공사실비 X 비율보수)
*실비에 제한을 두고 시공자에게 제한된 금액 내에서
공사를 완성시키는 방식
•실비청산정액보수가산식
: A + F = 공사실비 + 정액보수
•실비청산준동율보수가산식
: A + Af’
= 공사실비 + (공사실비 X 변화가능보수) = 비율보수
: A + (F•Af’)
= 공사실비 + ((정액보수 • (공사실비 X 변화가능보수))
= 정액보수


사업관리 계약제도
•Construction Management
: 건설사업을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전문가집단에 의한 통합관리 기술을 건축주에게
서비스하는 건설사업관리

성능발주방식
•발주자는 설계에서 시공에 이르기까지 건물의 요구 성능만을 제시하고 시공자가 재료나 시공방법을
선택하여 요구 성능을 실현하는 방식

특명입찰(수의계약)방식
•건축주가 시공에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단일 업자를 선정 발주하는 방식
•재입찰 후에도 낙찰자가 없을 때 최저 입찰자순으로 교섭하여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
•공사의 기밀유지가 가능하지만 공사비가 높아질
우려가 있음
•장점
-공사의 기밀유지 가능
-우량공사 기대
•단점
-공사비 증가 우려
-공사금액 결정의 불투명성


수의계약 대상공사
•하자책임구분 곤란시(증축하는 경우)
•동일현장에서 2인 이상 작업곤란시(중복공사)
•마감공사시(건축준공 후 마무리공사인 경우)
•접적지역 공사, 특허공법 공사인 경우
•경쟁계약이 정부에 불리한 경우

PQ제도(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제도)
•건설업체의 공사 수행능력을 기술적 능력, 재무능력, 조직 및 공사능력 등 비가격적 요인을 검토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업체에 입찰참가자격을 부여하는 제도
•장점
-부실시공방지
-입찰시 소요시간과 비용감소
-기업의 경쟁력 확보
-무자격자로부터 유능업체 보호
•단점
-대기업에 유리
-자유경쟁 원리에 위배
-신규참여 업체에 불리
-PQ통과 후 담합 우려

가치공학(VE) : 대체안 개발을 통한 원가절감기법
•발주자가 요구하는 성능, 품질을 보장하면서 가장 싼 값으로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찾고자 하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공사방법
•산업생산 전반에 걸쳐서 최저의
총비용(Lif Cycle Cost)으로써 필요한 기능을 확실히 달성하기 위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분석에 쏟는 조직적 노력이며, 대안창출을 통한 원가절감 기법
•발주자가 요구하는 기능, 성능을 보장하면서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공사를 수행하는 대안창출을 통한
원가절감기법
•정의식
: V(Value 가치) = F(Function 기능)/C(cost 비용)

VE의 사고방식
•고정관념의 제거
•기능중심의 접근
•사용자 중심의 사고
•팀 디자인의 조직적 노력

VE의 가치향상 방법
•기능가치를 일정하게 하고 비용을 내린다.
•비용을 일정하게 하고 기능가치를 올린다.
•비용을 내리고 기능가치를 올린다.
•비용을 약간 올리고 기능가치를 많이 올린다.
•기능가치를 약간 내리고 비용은 많이 내린다.
VE의 추진절차(수행절차)
•정보수집 및 기능분석단계
•대상선정
•정보수집
•기능정의
•기능정리
•기능평가
•아이디어 창출단계
•아이디어 발상
•대체안 평가 및 개발단계
•평가
•제안 및 실시단계
•제안, 실시

CM조직
•설계에서부터 각종 공사정보의 활용성을 고려하여 원가절감 및 공기단축을 꾀할 수 있는 설계와 시공의
통합시스템

파트너링(Partnering)방식
•발주자가 직접 설계, 시공에 참여하고 프로젝트
관련자들이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팀을 구성하여
프로젝트 집행 및 관리하는 새로운 방식

개발계약방식
: 사회간접자본(SOC)에 대한 필요성이 급격히 증가되나 정부 투자력의 한계에 따라 생겨났으며 턴키방식에 추가되어서 계약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음
•BOT
: 민간부분 수주축이 설계, 시공완료 후 일정기간
운영하여 투자금을 회수하고, 발주자에게 소유권을
이전하는 방식
•BOO
: 민간부분이 설계, 시공 후 시설물의 운영과 함께
소유권도 민간에 이전하는 방식
•BTO
: 사회간접시설을 민간부분 주도하에 설계, 시공 후 소유권을 공공부분에 먼저 이전하고 약정기간동안
운영하여 투자금을 회수하는 방식
•BTL
: 민간 주도하에 시설물 완공 후 발주처에게 소유권을 양도하고 발주처의 시설물 임대료를 통하여서 투자비가
회수되는 민간투자사업 계약방식

우편입찰제도
•소정의 입찰서식을 이용하여 작성한 입찰서류를
등기우편 등을 이용하여 입찰서 제출 마감일
전일까지 입찰 담당자에게 도착시키는 방법

설계와 시공의 의사소통 개선방법
•턴키방식 : 일괄수주방식
•성능발주방식 : 설계시 시공자의 의견반영
•사업관리 계약제도(CM)
•파트너링 계약제도
•시공성 향상기법의 도입

공사관리계약제도(CM)
•장점
-설계자와 시공자의 통합관리로 상호 조정 가능
-의사소통 개선
-마찰감소
-VE, 단계적 발주로 원가절감 가능
-공기 대폭 단축 가능
•단점
-프로젝트의 성패가 상당부분 CM관리자의 능력에
좌우됨
-대리인형 CM인 경우 공사품질에 책임이 없어 문제 발생시 책임소재 불명확
•CM for fee 방식(대리인형 CM)
: CM은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서 발주자의 컨설턴트 역할만을 수행하고 그에 대한 보수를 받으며
공사결과에는 책임이 없는 순수한 의미의 CM형태
•CM at risk 방식(시공자형 CM)
: CM조직이 직접공사를 수행하거나 전문하도급
업체와 직접 계약을 체결하여 공사 전반을 책임지는 형태

CM의 주요업무
•사업관리 일반 업무
•입찰 및 계약관리
•공정관리
•비용(원가)관리
•품질관리

CM의 단계별 업무
•Pre-Design(기획)단계
-사업의 발굴 및 구상(사업총괄계획)
-사업의 타당성 검토 및 사업수행의 구체적 계획수립 단계
•Design(설계)단계
-비용의 분석 및 VE의 도입
-대안공법의 검토단계
•Pre-Construction(발주)단계
•Construction(시공)단계
-설계도면, 시방서에 따른 공사 진행 검사 및 검토
•Post Construction(유지관리)단계


CM의 시공단계의 업무
•사업관리일반 업무
•계약관리
•공정관리
•비용관리(사업비관리, 회계관리)
•품질관리
•안전관리
•사업정보관리
•기타 발주청의 요구사항(추가업무)

CM의 계약유형
•ACM(Agency CM)
•XCM(Extended CM)
•OCM(Owner CM)
•GMPCM(Guaranteed Maximum Price CM)

EC(Engineering Construction)화
•종래의 단순한 시공업과 비교하여 건설사업의 발굴,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 사업전반에 관한 것을 종합, 기획 관리하는 업무영역의 확대.

공개(자유) 경쟁입찰
•입찰참가에 균등한 기회를 부여한 민주적인
방식이지만 과다경쟁으로 부실공사의 우려가 있음
•참가자를 공모하여 유자격자를 모두 입찰에 참여시키는 방식

일반 공개입찰의 장, 단점
•장점
-경쟁으로 인한 공사비 절감
-균등기회 보장
-담합의 우려가 적음
•단점
-부적격자에게 낙찰우려
-과다경쟁으로 부실공사 우려

공개 경쟁입찰의 순서
•입찰공고
•참가등록
•설계도서열람 및 교부
•현장설명
•질의응답
•견적기간
•입찰등록
•입찰
•개찰
•낙찰
•계약

지명 경쟁 입찰
•부적격자가 제거되어 공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담합의 우려가 있음
•공사에 적격한 3~7개 업자를 선정하여 입찰에 참여시키는 방식
•장점
-부적격자 사전 제외 가능
-시공상 신뢰성 확보
•단점
-담합의 우려가 있음
-공사비 상승 우려

입찰과정에서 현장설명시 필요한 사항
•인접부지 현장주변상황 설명
•지하매설물
•공사기간, 공사비 지불조건 설명
•대지의 위치, 고저차 등 현장설명

지명 경쟁입찰의 순서
•지명서 통지
•현장설명
•견적기간
•입찰(응찰)
•개찰
•낙찰
•공사계약

입찰제도 중 낙찰자 선정방식
•최저가 낙찰제도
•적격심사제도
•턴키 입찰제도
•대안입찰제도
•내역입찰제도
•기술제안입찰제도

대안입찰제도
•처음 설계된 내용보다 기본방침의 변경없이
공사비를 낮추면서 동등이상의 기능과 효과를 갖는
방안을 시공자가 제시할 경우 이를 검토하여 채택하는 입찰제도

도급계약서에 첨부되는 것
•설계도면
•구조계산서
•시방서

L.C.C (Life Cycle Cost)
•건축물의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해체의 전과정에
필요한 제비용을 합한 전생애주기비용
건축주와 도급자의 계약 체결시 포함해야할 내용
•공사도급금액
•공사기간
•공사금액 지불 방법
•건물의 인도 검사 방법.

재계약 조건
•계약사항의 변경이 있는 경우
•도면과 시방서의 결함, 오류
•현장조건이 상이한 경우

도면 VS 시방서 (우선순위)
•도면과 시방서 중 시방서 우선적용
•표준시방과 전문시방 중 전문시방이 우선적용
•기본도면과 상세도면 중 상세도면이 우선적용

시방서에 기재되어야 할 사항
•성능의 규정 및 지시
•사용재료, 자재의 검사방법
•시공의 일반사항 및 주의사항
•시공의 정밀도

시방서 내용에 따른 분류
•기술시방서
•일반시방서 : 공사기일 등 공사전반에 걸친 비기술적
사항을 표기한 시방서

시방서 작성방법에 따른 분류
•특기시방서
•공통시방서(표준시방서)
-각 직종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공사전반에 관한
규정을 기술한 시방서
시공방법, 권리, 의무보증, 행정절차, 법률관계,
재료시방 포함

시방서 목적에 따른 분류
•표준규격시방서 : 미국의 ASTM 같은 것.
•약술시방서(개략시방서)
-초기사업 진행단계에서 설명용으로 작성
•공사시방서
-특정 공사용으로 작성된 시방서로 공통시방서와
특기시방서를 포함, 당해 공사용 시방서
•안내시방서(참고시방서)
-공사시방서를 작성할 때 참고나 지침서가 될 수
있는 시방서
•자료시방서
•품명시방서 : 제품의 특성을 그대로 시방서에 명기


성능시방서와 서술시방서
•성능시방서
-목적하는 결과, 성능의 판별기준과 이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규정한 시방서
•서술시방서
-제품명이나 상품명을 사용하지 않고 공사자재의
특성이나 설치방법을 정확히 규정하는 시방서.
제조법, 설치법 등을 최대한 자세히 기술.

개방시방서와 제한시방서 : 경쟁유무

브레인스토밍의 4가지 원칙
•아이디어에 대한 비판금지(비판 엄금의 원칙)
•자유분방한 분위기 조성(자유분방의 원칙)
•많은 양의 아이디어를 추구(질보다 양의 원칙)
•돌출된 아이디어 조합•개선(조합•개선의 원칙)

적시생산시스템(Just In Time) : JIT
•무재고를 목표로 하는 생산시스템으로 작업에
필요한 자재․인력을 적재․적소에 적시에 공급함으로써 운반․ 대기시간을 절약하는 효율적 생산방식
•주로 공장생산부품을 현장 조립하는 방식에서 많이 사용

선기술 후가격 협상제도(TES)
•공사발주시 기술능력 우위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방법
•기술제안서와 가격제안서를 분리하여 제출받아 기술능력 우위업체 중 예정 가격 내에서 협상에 의해
낙찰자와 계약하는 방식

기술개발보상제도
•공공공사에서 신기술, 신공법을 적용하여 공사비의 절감, 공기단축의 효과가 있는 경우 계약금액을 감액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도

건설보증제도
•공사계약자와 발주자간 공사계약사항의 실행을 보증회사(제3자)가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고 보증해주는 것

표준공기제도
•발주기관이 설계와 시공에 필요한 공사기일을
표준화하여 무리한 공기단축과 부실시공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

관리 중 목표가 되는 관리와 수단
•목표 : 원가관리, 품질관리, 공정관리
•수단 : 자원관리, 설비관리, 자금관리, 인력관리


건설공사조직
•직계식조직 : 명령전달신속, 단순한 공사조직
•기능직조직 : 전문화로 능률향상, 책임 불명확
•조합식조직 : 스텝에 의한 월권행위 우려
•매트릭스조직 : 대규모 복합사업에 적합
•전담반조직 : 긴급공사 등에 한시적으로 운영

직영공사
•영리를 도외시한 공사
•건축주가 직접 시공하는 방식
•도급공사에 비해 확실한 공사가능
•계약의 구속감이 없는 임기응변처리 가능
•발주계약 등 수속 절감
•채택되는 경우
-간단한 공사인 경우
-기밀상 중요건물인 경우
-특수공사, 난공사인 경우

건축물의 기획에서 완정, 유지관리단계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설계도면의 종류
•기획설계도면
•기본설계도면
•본설계도=상세도
•제작도면=시공상세도
•완성도면=실제도면

시공도
•주로 건축사 사무소에서 작성되며 기본설계 작성 후 본설계에서 작성된 현장시공도면
•기초 도면, 각층 평면도, 구조 상세도 등

제작도
•주로 전문시공업체에서 작성된 현장시공자용 공사도면
•시공도 보다 훨씬 더 자세한 상세부분 표현이 많음
•시험성적서, 구조계산서, 견본(카다로그) 등이 첨부

스마트 도시 등 미래 도시의 건설에 필요한 기반 기술
•증강현실(AR)
-건설 프로젝트 수행과정 특히, 초기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작업자의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BIM기반의 가상 객체정보를 겹쳐서 보여주는 기술
-현실세계와 가상객체를 합쳐 제공하므로 혼합현실(MR)이라고도 함.
•가상현실(VR)
-건축설계에서 그래픽 등을 통해 현실이 아닌 환경을 마치 현실과 흡사하게 만들어내는 기술
-가상 세계를 실제로 체험할 수 있게 해줌.


건설공사 착공계에 포함해야 할 사항
•공사예정공정표
•장비동원계획
•품질관리계획
•안전관리계획
•유해위험방지계획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기업경영에서 환경 분야를 체계적으로 파악, 평가
관리 및 개선함으로써, 기업이 받게 될 환경 위험을 시스템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규격

IPCC(기후변동에 관한 정부간 패널)
•기후변화와 관련된 전 지구적 위험을 평가하고 국제적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세계기상기구와 유엔환경계획이 공동으로 설힙한 협의체

Task Force 조직
•건축공사, 중요공사에서 전문가들이 모여 사업수행
기간 동안만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건설관리 조직

지명경쟁입찰이나 PQ제도에서 도급자 선정시
평가하는 항목
•도급자의 시공경험
•도급자의 기술능력
•도급자의 자본금, 신용도

예정가격
•입찰시 기준단가로 당해공사 내정최고가를 말하며 설계가격이나 거래실례가격 등에 따라 결정

실행예산
•공사목적물을 계약된 공기내에 완성하기 위하여
공사손익을 사전에 예시하고 이익계획을 명확히 하여,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현장운영 및 공사수행을
도모하도록 사전에 작성되는 예산

담합
•입찰전에 경쟁자간 낙찰자와 낙찰금액을 미리
협정하여 정하는 불공정 행위

안전관리의 3E
•기술(Engineering) : 안전공학, 기술적대책
•교육(Education) : 안전교육, 교육적대책
•규제(Enforcement) : 안전규제, 규제적대책

 


품질경영의 3단계 활동
•품질관리
•품질감리
•품질인증

건설생산관리기법
•TQC : 전사적인 품질관리 시스템구축
•IE : 작업연구, 최소비용 시공방법.
건축생산의 효율적인 업무추진을 위한 분석 및
개선방안을 설계하는 기법
•SE : 최적시공계획을 위한 상세시방
건축의 총체적인 설계시공에 효율적으로 적용,
운영하는 일련의 상세시방 제작기법.
•OR : 생산계획의 최적경영기법
건축 경영상의 관리활동을 수리적 모형으로
하여 최적경영을 하기 위한 의사결정기법

건설업의 주요 경영지표
•성장성지표
•안정성지표
•수익성지표
•생산성지표

경영전략 수립을 위한 조사항목
•일반 경제지표
•정부의 투자계획 및 제도
•건설수요 예상물야
•잠정적 고객
•경쟁자의 능력
•자원공급력
•지역별 특수조건
•건설업 경영의 특색
•단품수주생산 산업
•노동 집약적 산업
•복잡한 중충하도급에 의한 분업관계 형성

건설공사의 업무범위에 따른 계약방식
•턴키계약방식
•건설사업관리 계약
•BOT계약방식
•파트너링 방식

건설업 경영의 특색
•단품수주생산 산업
•복잡한 중층하도급에 의한 분업관계가 형성
•노동 집약적 산업

 

발주공사의 입찰 및 계약절차
•계약방법의 결정
•입찰공고
•현장설명 및 설계도서 열람
•입찰등록
•입찰
•개찰 및 낙찰자결정
•계약체결
•계약이행
•선급금 및 기성고 지급
•검사 및 준공
•대가지급
•하자보수 및 계약종료

조기착공방식(Fast Track Method)
•설계와 시공을 병행하는 방식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공사비 절감이 가능

개산계약(Force Account Contract)
•조사․연구용역계약, 신기술, 신공법 또는 개발된
시제품의 설비를 포함하는 공사 등에서 사전에
계약금액을 결정하기가 어려울 때 적용

인허가 관련
•가설사무실 사용승인신청은 건축법에 의거하여 가설건축물 완료7일전 관할 동사무소에 신고하여야 한다.
•유해․위험방지계획서는 산업안전보건법에 의거하여 착공 전 안전보건공단에 제출하여야 한다.

가설건축물 축조시 구비서류
•가설건축물축조신고서
•가설건축물 배치도
•가설건축물 평면도
•가설계획 휀스
•건축허가서, 시공자각서
•토지사용 허가서

건설공사의 원가관리(실 투입 예정원가 산출 감고자료)
•표준품셈
•실적공사비
•견적단가
•물가조사서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해 시행하는 시설물 육안
점검 후 작성하는 서류
•안전점검 현황점검 결과표
•외관조망도
•외관조사 총괄표

타당성조사 및 분석과정에서 활용하는 경제성 분석기법
•순현재가치법
•비용편익분석법
•내부수익율법
•시나리오 분석법

개인안전보호구
•안전모
•안전대
•안전화
•구명줄
•안전장갑
•마스크

공기결정의 일반적인 산식
•작업물량(수량) / (생산성 X 작업인원수)

건설기업의 성장 및 발전 전략 수립에 활용하는 SWOT 분석 방법
•기업의 내부 역량인 강점과 약점 및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서 기회 및 위협요인을 분석하여, 미래 발전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법

공공공사를 수행하는 경우 정부 계약관련법규에 의한 계약문서(서류)
•계약서
•설계서, 유의서
•공사계약 일반조건
•공사계약 특수조건
•산출내역서

계약체결당시, 계약 특수조건으로써 계약금액 변동에
관한 사항을 약정 하였다면 물가변동, 설계변경,
계약내용변경 등에 의하여 불가피하게 계약금액 조정을
신청하여 계약금액을 조정할 수 있다.

설계변경으로 인한 계약금액의 조정은 공사계약 일반조건에 따라 발주자가 요구하는 경우와 계약대상자가 요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물가변동으로 인한 계약금액의 조정은 국가계약법 시행령 규정에 따라 품목조정율
또는 지수조정 율에 따라 조정한다.

작업계획의 목표
•품질확보
•공기준수
•작업의 안전성 확보와 제3자 재해의 방지
•위 3가지 사항을 고려한 비용의 최소화

품질의 종류
•설계품질
•제조품질
•서비스품질

전자입찰제도
•조달청에서 시행하는 입찰제도로서 지정공인
인증기관에서 발급받은 인증서로 조달청 전자입찰
시스템의 절차에 따라 인터넷접속을 통하여 입찰하는 제도
*입찰공고•서류전달•대금지급 등이 전부 인터넷을
통하여 이루어짐

건설산업 정보교환 시스템(CITIS)
•계약서에 명시된 건설 사업 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전 사업주기동안 사업수행자가 발주자에게 전자적으로 보고하고 승인받는 체계
•유사공사 실적자료의 재사용, 문서와 설계도서 절감, 협의기간 단축, 정보의 적시제동으로 효율적인
건설사업관리와 유지관리업무와 연계가능

그린빌딩
•친환경 건축물이라 하며, 환경보존을 목표로 설계에서 해체의 전과정에 걸쳐 자원 및 에너지절약, 자연환경의 보전과 자연친화적인 설계,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의 부하를 줄이고 사용자의
쾌적성과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계획된 건축물

작업진행방식
•동시진행방식
-각층마다 동시에 작업을 진행하는 방식.
-속도가 가장 빠름.
-많은 자원이 동시 투입.
•연속진행방식
-한 개층의 작업이 모두 끝난 후에 그 다음 층을
진행하는 방식
-속도가 가장 느림.
-아래층이 끝난 후 위층을 진행할 수 있는 경우에
적당한 방식
•순환진행방식
-각 작업조가 규칙적으로 반복 진행하는 방식.
-속도는 동시진행형에 비해 느리고, 연속진행형에
비해 빠름.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임.

달비계
•건물에 고정된 보나 지지대에 와이어로 달아맨
비계로 외부수리, 마감, 청소 등에 사용

Warranty 계약방식
•최종 생산물의 완전성에 대한 보증으로서, 결함을
교체하거나 보수하는 것에 대한 생산업자의 책임을 규정하는 것.
•보증이 정확하게 시행되지 않으면 계약이 무효가 됨
•하자로부터 발주자나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식으로 채용

건축공사 우선 고려사항
•시공성
•경제성
•안전성
•환경친화성

Cost + Time 계약방식
•A+B방법이라고도 불림
•입찰자가 공사금액과 공시기간을 제안하면,
공사기간을 금액으로 환산한 값에 공사금액을 더하여 그 합계가 최저인 자에게 낙찰하게 하는 방식

평판측량
•도판에 붙여진 종이에 측량 결과를 직접 작도해가는 측량
•기후의 영향을 받기 쉬움
•정밀도가 좋지 않음
•기구가 간편
•측량 누락 방지
•기구명칭
-앨리데이드, 측침, 자침기, 삼각, 다림추, 구심기, 평판
•설치방법
정치 : 수평이 되도록 설치
정위 : 평판이 일정한 방향과 방위를 유지하도록 함
치심 : 평판의 측점을 지상측점과 일치하도록 함
(수직맞춤)

지반 중에서 지내력이 큰 것부터 순서
•경암반
•연암반
•자갈
•자갈 모래 반 섞임
•모래 섞인 진흙
•진흙

피압수
•지하수층의 상하에 불투수층이 존재하며, 불투수층에 의해 압력을 받고 있는 지하수

 

지반의 허용응력도

지 반
장기허용
지내력도
단기허용지내력도
경암반
화강암, 섬록암, 편마암, 안산암 등의 화성암 및 굵은 역암
4000
통상 장기허용 지내력도의
2배로 본다
(법규규정은 1.5배)
연암반
판암, 편암 등의 수성암
2000
1000
자갈
300
(600)
자갈과 모래와의 혼합물
200
(500)
모래 섞인 점토
150
(300)
모래
100
(400)
점토
100
(250)


흙의 전단강도
•τ = C + σtan∅
-τ : 전단강도
-C : 점착력
-tan∅ : 마찰계수
-∅ : 내부마찰각
-σ : 파괴면에 수직인 힘
•점토인 경우 : 내부 마찰각 ∅ ≒ 0 이므로 τ ≒ C.
* 점착력 C는 Vane Test에서 구한다.
•모래인 경우 : 점착력 C ≒ 0 이므로 τ ≒ σtan∅
* 마찰각 ∅ 는 표준관입시험에서 구한다.
•기초의 하중이 흙의 전단강도 이상이 되면 흙은 붕괴되고 기초는 침하를 일으키며 그 이하가 되면 흙은 안정되고 기초는 지지된다.

예민비
•자연적인 점토의 강도를 이긴 점토의 강도로
나누었을 때의 비율
•예민비(ST) = 자연시료의 강도(천연 시료의 강도) / 이긴 시료의 강도(흐트러진 시료의 강도)
•진흙의 자연시료는 어느 정도 강도는 있으나 그
함수율을 변화시키지 않고 이기면 약하게 되는
성질이 있고 그 정도를 나타낸 것
•흙의 이김에 의해서 약해지는 정도

압밀
•점토지반에서 하중을 가해 흙속의 간극수를
제거하는 것

흙의 함수량에 따른 변화
•전건상태
•소성한계
•소성상태
•액성한계
•질컥한 액성의 상태
흙이 소성 상태에서 반고체 상태로 옮겨지는 경계의
함수비를 소성한계라 하고, 액성 상태에서 소성 상태로 옮겨지는 함수비를 액성한계라고 한다.

압밀침하
•하중이 커지면 재하판 아래의 흙이 압축되어 하중을 제거해도 압축된 부분의 침하가 남아있는 현상
•압밀에 의한 침하현상을 말하며 점토지반은 투수성이 작아서 압밀시간이 장기간 계속된다.
•종류 : 탄성침하, 압밀침하, 2차 압밀침하

보오링의 종류
•오우거보오링
-오(우)거를 회전시키면서 지중에 압입, 굴착하고
여러번 오거를 인발하여 교란시료를 채취하는 방법
•수세식보오링
-연약한 토사에 수압을 이용하여 탐사하는 방식
-깊이 30m정도의 연질층에 사용. 외경 50~60mm관을 이용, 천공하면서 흙과 물을 동시에 배출시키는 방법
•충격식보오링
-경질층의 깊은 굴삭에 이용 충격날을 60~70cm 정도 낙하시키고 그 낙하충격에 의해 파쇄된 토사를 퍼내어 지층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회전식보오링
-지층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비교적 정확히 알 수 있음
-충격날을 회전시켜 천공하므로 토층이 흐트러질
우려가 적은 방법

보오링 사용기구
•Bit(칼날) : 굴삭용
•Rod(쇠막대) : 지지연결대
•Core Tube(코어튜브) : 시료 채취기
•Casing(외관) : 공벽보호용

표준관입시험
•Rod 선단에 샘플러를 부착
•로드상단에 63.5kg의 추를 76cm 높이에서 자유낙하
•지반에 30cm 관입시키는데 필요한 타격횟수 N치를 측정하여 밀도를 판별, 동시에 샘플러로 시료를 채취.

토질시험법
•굵은 진흙에 있어서 시료 채취 : Composite sampling
•사질토의 밀도측정(지내력)
: Standard penetration test (표준관입시험)
•점토의 점착력 파악 : Vane test
•투수계수 파악 : Darcy’s law
•연한 점토 : 신월 샘플링(Thin wall sampling)
•염분 : 정량분석시험

지하탐사법의 종류
•터파보기
-대지일부를 시험파기하여 지층상태로 내력추정
•탐사간(짚어보기)
-지층의 깊이를 추정(수 개소 시행)
•물리적 지하탐사
-광대한 지하 구성층의 대력적 탐사방법
•보오링
-지반을 천공하고 토질의 시료를 채취하여 지층상황을 판단하는 방법

지하탐사법의 목적
•시료채취, 토질조사, 토질의 주상도 작성, 지하수위

지내력 시험(재하시험) 중 재하판의 크기는 보통
2,000㎠로 하고, 총 침하량이 2cm일 때의 하중에 대한 압축응력도를 단기하중에 대한 허용지내력도라고 한다.
(단, 항복상태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이다.)

지내력시험 순서
•시험면파기
•재하판설치
•하중대설치
•재하 및 침하량 측정
•단기 허용지내력 산출
•장기 허용지내력 산출

지내력시험(재하시험)
•시험은 예정 기초저면에서 행함.
•하중시험용 재하판은 정방형 또는 원형의 면적 2,000㎡의 것을 표준으로 하고, 보통 45cm 각의 것을 사용
•매회 재하는 1ton이하 또는 예상파괴 하중의
1/5이하로 하고 각 재하에 의한 침하가 멎을 때까지
침하량을 측정한다.
•재하시험이라고도 하며, 기초지반 저면에 직접
하중을 가하여 지반의 허용지내력을 구하는 시험

사운딩
•저항체를 땅속에 삽입하여 관입, 회전, 인발저항으로
지층을 탐사하는 원위치 시험
•탐사방법
-표준관입시험
-베인 테스트
-스웨덴식 사운딩
-화란식 사운딩

 

지반조사 방법
•사전조사
•예비조사(계획단계)
•본조사(설계단계)
•추가(보완)조사(시공단계)
•특정조사(유지관리단계)

간극비
•흙입자의 용적에 대한 간극비의 용적
지내력 시험방법
•평판재하시험(P.B.T)
•말뚝재하시험

지내력시험
•기초지반저면에서 직접 하중을 가하여 지반의
허용지내력을 구하는 시험.

지내력 시험의 종류
•직접재하시험
•반력을 이용한 재하시험

합성말뚝
•두 가지 상이한 재료를 이음 혹은 결합하여 하나의 말뚝으로 만든 것.

흙의 구성요소
•공기
•물
•흙입자

다짐
•사질지반에서 외력을 가해 공기를 제거하여
압축되는 현상.
•지지력증가, 강도증가

액상화
•사질지반에서 충격, 지진, 진동 등에 의해 간극수압이 상승되어 유효응력이 감소되어 전단저항을 상실하고 액체와 같이 되는 현상. 부동침하 등의 원인

Sand Bulking
•모래에 물이 흡수되어 체적이 팽창되는 현상.
•표면장력 떄문에 발생하며 함수율이 10%정도에서 체적이 최대가 됨.

베인테스트는 +자형 날재의 베인테스터를 지중에 박고 회전력으로 점토의 점착력을 판별하는 원위치시험이다.

간극수압의 정의, 간극수압과 유효응력과의 관계식
•간극수압 : 지중의 물에 의한 상향 수압.
•유효응력과의 관계식
-유효응력 = 전응력 • 간극수압
-간극수압이 크면 유효응력이 감소
-간극수압과 유효응력은 반비례.

지반조사의 방법 중 지반 탐사법
•터파보기
•짚어보기
•물리적 지하탐사법
토류벽을 이용한 수직터파기 공법의 순서
•엄지말뚝박기
•흙막이 벽판설치
•앵커용보링
•앵커그라우팅
•띠장설치
•이장시험

간극비가 클 때의 성질
•전단강도 감소
•투수성 증대
•보일링현상 발생
•압밀침하 커짐
•사질지반에서 내부마찰력이 작아짐
•점토지반 점착력 감소

지반천공 수행목적
•토질의 주상도 작성
•토질시험용 샘플 채취
•보링 공내에 원위치시험
•지하수위 측정
•지내력 시험

샘플링의 종류
•Thin wall Sampling : 연약점토층
•Composite Sampling : 다소 굳은 점토층
•Denison Sampling : 굳은 점토층
•Foil Sampling : 연약점토의 연결시료채취 가능

표준관입시험 결과 N치=20, 사질지반과 점토지반 판별
•사질지반 : 중간(보통)모래
•점토질지반 : 경질 점토

시멘트의 풍화작용
•시멘트가 대기 중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수화작용으로 수산화석회(Ca(OH)₂)가 생기고 공기 중 이산화탄소(CO₂)를 흡수하여 탄산석회(CaCO₃)를 생기게 하는 작용

표준관입시험 결과인 N치로 추정할 수 있는 것
•사질지반
-상대밀도
-침하에 대한 허용지지력
-지지력계수
-탄성계수
-전단저항각
•점토지반
-경연의 정도
-일축 압축강도
-점착력
-파괴에 대한 극한 허용지지력

지내력시험은 예정기초 저면(밑면)에서 행하며,
재하하중은 매회 10kN이하 예정파괴하중의 1/5이하로 하며, 총 침하량이 2cm에 도달했을 때 항복으로
간주한다.

공통가설비 항목
•가설운반로
•가설울타리
•가설건물
•공사용 동력 및 통신설비
•공사용수비

구대
•대지가 협소할 경우 적법한 절차를 거쳐서 보도상부에 설치하는 육교식 구조물

기준점
•설치목적
-건축물 시공 시 공사 중 높이의 기준을 정하고자
설치하는 원점
•주의사항
-이동의 염려가 없는 곳에 설치
-지면에서 0.5~1.0M에 공사에 지장이 없는 곳에 설치
-2개소 이상 설치

시멘트 창고 관리방법
•필요한 출입구 및 채광장 이외의 환기창 설치를
금지한다.
•바닥은 지반에서 30cm 이상의 높이로 한다.
•반입, 반출구는 따로 두고 먼저 반입한 것 먼저
쓴다.
•주위에 배수도랑을 두고 누수를 방지한다.
•쌓기 단수는 13포 이하로 보관
(장기 저장시 7포 이하)


수평규준틀
•건물의 각부 위치 및 높이 기초의 나비를 결정하기 위해 설치하는 규준틀로 이동이 없게 견고히 설치
•설치목적
-건물의 각부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
-건물의 높이, 기초나비, 길이 등을 정확하게 결정

쌍줄비계 설치순서
•소요 자재량의 현장반입
•바닥면의 고르기 및 다지기
•베이스플레이트 설치
•비계기둥 설치
•띠장설치
•장선설치

통나무비계 시공순서
•비계기둥
•띠장
•가새 및 버탐대
•장선
•발판
•구조체(벽체)와 연결

강관비계 시공순서
•깔판설치
•베이스플레이트 설치
•기둥설치
•띠장설치
•장선설치
•가새설치
•벽체와 긴결
•작업발판 설치

파이프 비계•기둥간격은 보방향으로 0.9~15m, 도리방향으로
1.5~1.8m로 설치하고, 기둥과 기둥사이의 적재하중은
400kg, 기둥 한 개에 부담되는 적재하중은 700kg이하로 한다.

강관틀비계의 설치
•세로틀은 수직방향 6m, 수평방향 8m 내외의 간격으로 건축물의 구조체에 견고하게 긴결해야 하며 높이는
원칙적으로 45m를 초과할 수 없다.

가설공사 중 비계다리 폭을 90cm 이상으로 하고
참의 높이는 7m 이하로 하며, 미끄럼막이는 30cm
이하의 간격으로 각재를 철선으로 묶는다.


비계다리의 폭은 최소 90cm 이상, 비계다리의 경사는 최대 30° 이하, 보통 17°로 하고, 7m 이내마다
되돌음참을 설치한다.

강관비계를 연결 또는 이음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철물
•이음관(일자형 연결재)
•고정형 클램프
•자재형 클램프
•벽체 연결철물

클램프의 종류
•고정형 클램프
•자재형 클램프
•직교형 클램프
•단일 클램프

베이스플레이트 철물
•지반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거나 잡아주는
비계기둥의 맨 아래에 설치하는 철물

낙하방지 안전시설
•안전방망(추락방지망)
•낙하물방지망(수직․수평)
•방호선반
•접근방지책
•안전난간
•안전걸이대 및 로프설치

낙하물방지망(수직․수평)
•10m이내마다 설치, 3개층마다 설치
•높이가 20m이하인 경우 1단 이상 설치
•외측에서 2m이상 설치
•수평에서 30°각도로 설치

방호선반
•주출입구 및 리프트 출입구 상부 등에 설치한
낙하방지 안전시설

소운반 : 공사현장 내의 20m이내 거리의 운반

대운반 : 원거리운반 또는 공사현장ᄁᆞ지의 운반

단관비계에서 기둥은 도리방향으로 1.5~1.8m,
보방향으로 0.9~1.5m 정도 벌려서 세우고 최고높이가
31m를 넘으면 두 개를 합쳐서 세워야 한다.
통나무 비계에서 띠장은 최하부에서는 높이 3m이하로
설치하고 그 위는 1.5m 내외로 설치하는 수평부재를 말한다. 기둥과 띠장의 이음은 모두 겹침이음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단관비계나 통나무비계에서 장선의 간격은 1.5m 이내로 배치하고 기둥과 띠장에 결속한다. 강관틀비계에서
가새는 도리방향으로 세로틀에 설치하며, 보통은 수평방향으로 14~15m 간격으로 설치되며 기둥에 모두
결속되어야 한다.

Jack Support(잭 서포트)
•지하주차장 거푸집 동바리 해체 후, 하중 및 차량
진동으로 인한 균열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가설지주
•설치위치
-보의 중앙부
-장비 진입시 바닥판 하부
-지하주차장의 상부
-공사 차량 통로

가설건물
•가설근로자 숙소
-30인 이상일 때 1인당 기준면적은 4.2㎡이상
•가설울타리 높이
-2층 건물 이상일 경우 최소 1.8M이상
•현장화장실
– 대변기 : 남자 20명당 1기, 여자 15명당 1기
•시멘트 창고
-지면에서 30cm 이상 띄우기
-13포 이하로 저장
•동력발전소
-필요면적 : 3.3√w(kwh) / ㎡

비계
•통나무 비계기둥은 겹친 이음을 원칙으로 하고 맞댄 이음시에는 이음목을 1.8m 정도 양쪽에 대고 4개소 이상 결속한다. 또한 비계기둥은 땅속 60cm 정도
밑둥하거나 밑둥잡이로 고정한다.
•강관비계 이음시 제1띠장은 2m 이하에 설치하여
벽체와 5m 간격으로 연결하여 건물최상부에서 31m 하부는 2본의 강관으로 기둥을 연결한다. 또한 강관틀
비계의 기둥사이 하중한도는 4kN 이하로 본다.
•내부비계는 연면적의 90% 정도로 계산한다. 또한
수평비계는 2가지 이상의 복합공사에 사용되며,
말비계는 층고 3.6m 이하의 내부공사에 사용함이
원칙이다.
•외부비계용 까치발 설치시 15층이하 건물은 2개소 이상 25층 이하 건물은 3개소(2층, 10층, 18층)에
설치하여, 설치간격은 수평방향 1.5~1.8m 이내로
한다.
•수평방호선반은 주출입구 상부에 설치하고, 낙하물 방지망은 10m 이내마다 설치하며 지면과 30° 각도를
이루게하며 비계발판 외측에서 2m 이상 내밀어
설치한다.
강관비계의 장점
•조립, 해체가 용이하다.
•강도가 크다.
•경량이다.
•전용횟수가 크다.

비계공사 계획시 고려사항
•안전성
•경제성
•반복성
•이동성

비계를 포함한 가설설비의 새로운 발전방향으로
고려할 사항
•가설재의 강재화
•규격화된 공장생산으로 조립, 해체의 간편화를 도모
•취급 운반의 편리를 위한 부재체적의 축소
•시설의 자동화, 시공의 기계화 도모
•부재의 Unit화, 이동설비화 고려

커플링(coupling) : 강관 Pipe비계의 연결철물

줄띄우기
•건물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말뚝을 박고 줄을
띄워보는 것

가설공사에서 작성되는 시공계획도
•종합가설계획도
•외부비계계획도
•양중설비계획도
•전기, 급배수설비계획도
•현장주변시설현황도

규준틀설치와 먹매김 시 유의할 사항
•수직․수평의 정확도
•먹줄의 긴장도 유지
•표식성확보

가설기자재의 안전성을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의 유형
•성능인증 제품
•재사용가설기자재 자율등록 제품
•성능시험 제품

비계의 구조적, 재료적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재사용가설기자재 자율등록증
•성능시험성적서
•가설기자재 검수보고서

비계의 구조적, 재료적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재사용가설기자재 자율등록증
•성능시험성적서
•가설기자재 검수보고서

흙의 휴식각
•흙입자간의 응집력, 부착력을 무시한채 마찰력만으로 중력에 대하여 정지하는 흙의 사면각도

터파기시 흙의 부피 증가율
•경암 : 70~90%
•연암 : 30~60%
•자갈 섞인 점토 : 35%
•점토+모래+자갈 : 30%
•점토 : 20~45%
•모래, 자갈 : 15%

지하구조물이면서 흙막이 및 버팀대 역할을 하는 공법
•개방잠함 공법
•우물통 공법
•용기잠함 공법

흙막이의 형식
•어미말뚝식 흙막이
•강재말뚝에 의한 흙막이
•콘크리트말뚝 주열식 공법
•버팀대 흙막이 공법
•어스앵커 공법
•지하연속벽에 의한 흙막이 공법

흙막이에 작용하는 응력

•1 : 버팀대의 반력
•2 : 주동토압
•3 : 수동토압

연결재 또는 당겨매기식
•어미말뚝
•널말뚝
•말뚝상부 띠장
•로프 당겨매기
•흙파기.
빗 버팀대식
•줄파기
•규준대대기
•널말뚝박기
•중앙부 흙파기
•띠장대기
•버팀말뚝 및 버팀대대기
•갓둘레흙파기

강재널 말뚝공법
•라르센식 Pile
•랜섬식 Pile
•라크완나식 Pile

히이빙현상
•흙막이벽 좌측과 우측의 토압차로써 흙막이 일부의 흙이 재하하중 등의 영향으로 기초 파기하는 공사장 안으로 흙막이 벽 밑을 돌아서 미끄러져 올라오는 현상

보일링 현상
•사질지반에서 흙막이 벽을 설치하고 기초파기 할 때 흙막이벽 뒷면수위가 높아 지하수가 흙막이 벽을
돌아서 모래와 같이 솟아오르는 현상

파이핑 편상
•흙막이벽의 부실공사로서 흙막이벽의 뚫린 구멍
또는 이음새를 통하여 물이 공사장 내부바닥으로
스며드는 현상

히이빙, 보일링 방지대책
•강성이 높은 흙막이 벽을 양질의 지반 내에 깊숙이
박는다.
•지반개량 공법으로 보강
•지반내 말뚝 박기
•토질치환
•흙막이 재시공

언더피닝 공법
•기존 건축물 가까이 신축공사를 하고자 할 때
기존건물의 지반과 기초를 보강하는 공법

언더피닝 공법의 종류
•차단공법
-이중널말뚝공법
•보강공법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설치 보강방법
-강재말뚝 보강공법
-몰탈 및 약액주입법

분사현상
•흙막이 벽을 이용하여 지하수위 이하의 사질토
지반을 굴착하는 경우에 생기는 현상으로 사질토
속을 상승하는 물의 침투압에 의해 모래가
입자사이의 평형을 잃고 액상화 되는 현상

건축공사표준품셈에서 규정한 소운반거리는 20m
이내이며, 경사면 소운반의 경우 직고 1m를 수평거리
6m의 비율로 본다.

어스앵커 공법
•흙막이 배면을 어스드릴로 천공하여 앵커체와
모르타르를 주입 경화시켜 버팀대 대신 강재의
인장력으로 토압을 지지하는 흙막이 공법
•버팀대 대신 어스앵커를 이용. 선단부를 정착시키고 이를 반력으로 흙막이 벽체나 구조체를 지지하는 공법

어스앵커 공법 시공순서
•어미 말뚝 설치
•흙파기
•토류판설치(흙막이판 설치)
•어스 드릴로 구멍 천공(앵카용 보링)
•P.C 케이블 삽입 후 그라우팅(앵커 그라우팅)
•띠장 설치
•앵커 긴장 및 정착
•인장시험

인접건물 주위 지반이 침하할 수 있는 원인
•히빙파괴에 의한 경우
•보일링 파괴에 의한 경우
•버팀대를 시공치 않았을 경우
•파이핑에 의한 침하
•널말뚝 이동에 따른 침하
•널말뚝의 저면타입 깊이를 작게 했을 경우
•뒷채움 불량에 의한 침하
•연약지반의 보강공사를 하지 않은 경우의 부동침하

어스앵커공법의 특징
•버팀대가 불필요하여 깊은 굴착시 버팀대공법보다
경제적이다.
•넓은 작업장 확보가 가능하다.
•부분굴착이 가능하고, 공구분할이 용이하다.
•지반변화에 따른 설계변경이 용이하다.

이코스(ICOS) 파일공법의 지수 흙막이벽 시공순서
•말뚝구멍을 하나 걸름으로 뚫는다.
•콘크리트를 부어 넣는다.
•말뚝과 말뚝사이에 다음 구멍을 뚫는다.
•다음 말뚝구멍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는다.
CIP 말뚝 공법
•로터리 보링기로 지반 굴착 후 공내에 조립된 철근 및 조골재를 채우고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현지조성 파일을 시공하는 방법

PIP 말뚝 공법
•Screw Auger를 지중에 회전, 삽입 후 오우거 중심관 선단을 통해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현지조성 파이프를 시공하는 방법
MIP 말뚝 공법
•주위의 자연토질을 시멘트 밀크로 혼합 후 철근을 압입시공하여 소일 시멘트 파일을 형성하는 공법

CIP 말뚝 공법 시공순서
•지반천공
•철근조립 후 공내 삽입
•모르타르 주입용 파이프 설치
•자갈 다져넣기(충전)
•파이프를 인발하면서 모르타르를 주입 완성

흙막이 계측관리 측정기
•하중계 : Load Cell
•변형계 : Strain Gauge
•토압계 : Soil Pressure Gauge

계측기 설치위치
•하중계 : 버탐대 양단에 설치
•토압계 : 토압측정위치의 지중에 설치
•변형율계 : 지중의 콘크리트 벽체나 어미 말뚝 혹은 버팀대 중간에 설치
•경사계 : 인접건물의 벽체나 바닥에 설치

격막볍공법(Slurry Wall 공법 = Diaphragm Wall 공법)
•벤토나이트 슬러리의 안정액을 사용하여 지반굴착, 철근망 삽입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
철근콘크리트 연속벽체를 형성하는 공법

안내벽의 시공목적
•자체토류벽기능 : 굴착공이나 인접지반의 붕락방지
•중량물의 지지역할 : 굴착기계이동
•기준면역할
•저수조기능

벤토나이트 용액
•이수, 현탁액, 팽창진흙이라고도 하며 주성분은 점토, 광물질, 몬모리로나이트이다.
•슬러리 월이나 제자리 콘크리트 파일 등에서 굴착된 공벽붕괴를 방지하고 지하수의 침투를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
계측기
•토압 : 토압계 – 토압측정위치의 지중에 설치
-Soil Pressure Gauge
-Earth Pressure Meter
•수압 : 간극수압계
-Piezometer
•휨변형 : 변형계, 변형율계 , 응력측정
–지중의 콘크리트 벽체나 어미말뚝 혹은 버팀대
중간에 설치
-Strain Gauge
•수평변위 : 경사계 - 인접건물의 벽체나 바닥에 설치
-Inclino meter
•하중 측정 – 버팀대의 양단에 설치
-Load cell
•수직변위
-Extensometer
•기울기 측정
-Tilt meter
•AE제의 계량장치
-Dispenser
•콘크리트 내의 공기량 측정기구
-Washington Meter
•지표면 침하측정
-Level and Staff
•지하수위 측정
-Water Level Meter

지하연속벽(Slurry Wall) 공법의 시공순서
•가이드 월 설치 및 안정액 플랜트 설치
•굴착
•안정액 투입
•인터로킹 파이프(앤드파이프) 설치
•철근망 삽입, 설치
•트리미관 설치
•콘크리트 타설
•인터로킹 파이프(앤드파이프) 인발
•양생

안정액 사용목적․기능
•굴착면의 붕괴 방지
•굴착토량 지상 방출 기능
•굴착부의 마찰저항 감소
•물 유입방지, 지수효과
•슬리미(Slime) 부유물 배제 효과

흙의 휴식각
•흙입자간의 부착력, 응집력을 무시한 때,
즉 마찰력만으로서 중력에 대하여 정지하는 흙의
사면각도
슬러리 월 공법의 장점
•잔동, 소음이 적다
•인접건물 경계선까지 시공가능
•지반보강, 차수효과가 확실
•강성이 높고 변형이 적어 주변지반에 영향이 없고 안정적.
•길이, 깊이, 치수조정이 자유로움
•기계, 부대설비 대형, 소규모 현장의 시공 불가능

슬러리 월 공법
•지하연속벽 공법인 슬러리월은 먼저 안내벽을
설치한 후 안정액을 사용하여 지반을 굴착한 후
철근망을 일으켜 세워서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 연속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으로
흙막이의 안정성이 뛰어나며, 차수성능이 우수하다.

Top•Down 공법의 장점
•주변건물, 지반에 악영향이 없는 안정적 공법
•지상, 지하 동시작업으로 공기가 단축
•1층 바닥판을 작업장으로 활용이 가능
•전천후 작업가능

S.C.W(Soil Cement Wall)의 특징
•무소음, 무진동 공법
•자체토튜벽 이용이 가능
•이동이 빠르고 능률이 좋음
•임의의 형상, 치수가 가능
•인접건물의 근접시공이 가능

SPS(Strut as permanent System)
•흙막이 버팀대를 가설재로 사용하지 않고 굴토 중에는 토압을 지지하고, 슬래브 타설 후에는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영구 구조물 흙막이 버팀대
•지하구조물시공과 지상 작업을 병행 가능하므로 .
공기가 단죽
•공정 간섭이 작고, 장비의 작업효율화로 원가절감
•지하구조물과 가설 post pile의 간섭 배재로 시공성이 향상됨
•가설재의 폐기물 발생이 저감
•채광, 환기 등 별도시설이 불필요
•가설지지체의 설치 및 해체 공정이 없어 작업능률 향상

역타설 공법의 장점 중 공기단축이 가능한 이유
•1층 바닥 슬래브가 선시공되어, 슬라브 밑에서
굴토공사를 진행하므로 동절기에도 전천후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역타설 공법의 장점 중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업이 가능한 이유
•1층 바닥판을 선시공하여 이것을 작업장으로
활용하므로 협소한 대지에서도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한 공법이다.

흙파기 형식의 종류
•Open Cut 방식
•Island Cut 방식
•Trench Cut 방식

아일랜드 컷 방식
•중앙부분을 먼저 터파기하고 기초를 축조한 후 이를 반력으로 버팀대를 지지하여 주변 흙을 굴착하여
지하구조물을 완성하는 공법

트렌치 컷 방식
•주변부를 선굴착 후 기초를 구축하여 중앙부 굴착 후 기초구조물을 완성하는 공법

아일랜드 컷 시공순서
•흙막이 설치
•중앙부 굴착
•중앙부 기초 축조
•버팀대 설치
•주변부 흙파기
•지하구조물 완성

트렌치 컷 시공순서
•흙막이 설치
•주변부 굴착
•버팀태 설치
•주변부 기초축조
•중앙부 굴착
•지하구조물 완성

부력에 의한 건물의 부상에 대한 방지대책
•록 앵커공법 등 지반정착 공법을 사용하여 부상을 방지
•중력배수, 강제 배수공법 등의 지하수위 저하 공법을 채택하여 지하수위 저하를 유도
•구조물의 고정하중을 증대시키거나 단면을 확대하여 수압에 저항하게 만듬
•차수용 흙막이나 차수공법 등을 사용하여 물을 차단
•마찰말뚝을 사용하여 기초하부의 마찰력을 증진시킴
•인접건물과 긴결하여 수압상승에 대처
•브라켓을 설치하여 상부의 매립토 하중으로 수압에 저항

지반개량의 목적
•지반의 지지력 증강
•기초의 부동침하방지
•지하굴착시 안정성 확보
•기초의 보강 및 말뚝의 가로저향력 증진

지반개량공법의 분류
•탈수법
•치환법
•재하공법
•다짐법
•고결법(응결법, 약액주입법)
•동결법
•화학적공법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 공법
•칼 웰드 공법
•베노토 공법
•이코스 공법

지반개량 공법
•샌드 드레인 공법
•동결 공법
•그라우팅 공법

샌드드레인 공법의 목적
•모래말뚝을 이용하여 점토지반을 탈수하여 지반을 강화

샌드드레인 공법의 방법
•지름 40~60cm의 구멍을 뚫고 모래를 넣은 후, 성토 및 기타 하중을 가하여 점토질 지반을 압밀하여
탈수하는 공법

웰포인트 공법
•직경 약 20cm 특수파이프를 상화 2m 내외 간격으로
관입하여 모래를 투입한 후 진동다짐하여 탈수통로를 형성시켜서 탈수하는 공법

웰포인트 공법의 목적
•보일링현상 방지와 강도증진

페이퍼드레인
•모래대신 합성수지로 된 카드보드를 박아 압밀, 배수촉진. 샌드드레인 공법보다 시공속도가 빠르고
배수효과가 양호하나 타설본수가 샌드드레인 공법의 2~3배가 되며 장시간 사용시 배수효과가 감소


생석회 공법
•모래 대신 석회를 넣어 탈수 및 지반압밀을
증진시키는 점토지반개량공법

탈수공법
•사질지반 : 웰포인트 공법
•점토지반 : 샌드드레인 공법, 페이퍼 드레인 공법,
생석회 공법

지반개량공법 중 진동다짐 압입공법
•바이브로 플로테이션 공법
•바이브로 콤포저 공법
•폭파다짐공법
•다짐말뚝 공법
•동다짐 공법

동결공법
•지반에 파이프를 박고 액체질소나 프레온가스를 주입하여 지하수를 동결시켜 차단하는 공법

치환공법
•연약층의 흙을 양질의 흙으로 교체하는 방법

선행재하(성토) 공법
•구조물에 상당한 무게를 미리 연약지반위에
일정기간 방치하여 연약지반을 압밀시키는 공법

토공장비 선정시 고려사항
•굴착깊이에 따른 장비의 규모
•굴착된 흙의 반출거리
•흙의 종류에 따른 능률성 고려
•토공사기간에 따른 장비의 유형 및 개수

토공장비의 종류와 특징
•파워쇼벨 : 기계보다 높은 곳 굴착
•백호우 : 도랑파기
•드래그라인 : 기계보다 낮은 연질 흙파기
•크럼쉘 : 좁은 곳의 수직굴착(깊은 우물파기)
•불도저 ; 60M이하의 배토작업
-운반거리 50~40m, 최대 100m 정도의 배토, 운반용
•그레이더 : 정지작업
-정지작업, 도로정리 등에 사용
•로우더 : 상차작업(토사 적재)
•스크레이퍼 : 운반, 배토작업
-최대 1,500m 거리의 중장거리 배토, 정지, 운반용 기계
-활주로 또는 폭이 넓으 도로공사에 사용되는 토공기계
-절토-싣기-운반-정지의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사이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기계

운반공사에 사용되는 자주식 장비
•트랙터
•덤프트럭
•자주식 스크레이퍼
•트레일러
•화물트럭

흙의 다짐에 적합한 기계장비

•Rammer
•소형 진동 Roller
•Plate Compactor
경사파기에서 흙파기 경사각은 휴식각의 2배 정도로 하며 되메우기할 때 30cm마다 다짐기로 다져서
원지반과 밀착시킨다. 또한 되메우기는 기초 벽 완성 후 7일 정도 지나서 행하는 것이 좋다.


이론상으로는 버팀대의 위치는 흙파기 바닥면 (C)에서 1/3H 지점에 설치하는 것이 좋으나 간단한
흙막이에서는 a : b : c 를 1 : 2 : 1 정도로 설치하며 AC ≧ 10 이면 CD는 보통 2m 이상이 필요하다.

아일랜드 공법과 트랜치 컷 공법의 공통적인 특징
•연약지반에 적용 가능
•깊은 기초에는 부적합
•이중작업으로 공기가 길어짐

주열식 지하 연속벽 공법의 특징
•무소음 무진동공법
•벽체의 강성과 차수성이 우수
•임의형상, 치수가 가능
•인접건물의 경계선까지 시공가능
•지반조건에 좌우되지 않는다.
연약지반 터파기와 기초설계 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
•점성토
-지내력 처하
-히빙
-압밀침하
•사질토
-액상화
-지내력 저하
-보일링

락 앵커의 주된 사용용도
•피압수에 대한 건물의 부력(부상) 방지용
•암반, 기초부위의 미끄럼 방지용

지하연속벽의 시방서 기준
•연속벽체의 벽두께는 최소 0.6m 이상이고,
1개 벽판타설 길이는 9m 를 초과할 수 없다.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는 50% 이하로 되어 있으며 철근망 피복두께는 10cm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어스앵커공법의 지지형식
•마찰형
•지압형
•복합형

차수공법
•물리적 차수공법
-지하연속벽 공법
-CIP 공법
-강재쉬트파일 공법
•화학적 차수공법
-LW 공법
-JSP 공법
-SGR 공법

굴착과 동시에 상차를 할 수 있는 토공장비
•파워 쇼벨
•드래그 쇼벨
•드래그 라인

주열식 말뚝공법
•ICOS 말뚝공법
•CIP 말뚝공법
•MIP 말뚝공법
•PIP 말뚝공법

어미말뚝
•흙막이 공사시 중고 H형강을 이용하여 흙막이를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말뚝
주열식 흙막이 공법에서 말뚝을 배열하는 형식
•독립형 배치
•접선형 배치
•겹침형 배치
•어긋매김형
•혼합배치형

수평버팀대에 발생되는 변형을 측정하는 계측기기의 종류 와 측정방법 및 안전성여부 판단
•계측기기
-스트레인 게이지 및 스트레인 메타
•측정방법
-수평버팀대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여 스트레인 메타로 스트레인 값을 측정
•안전성여부 판단
-H형강 수평버팀대에 작용하는 응력은 특정한 스트레인 값에 탄성계수 값을 곱하여 구함.
-계산한 응력값이 H형 강재의 허용응력 이내인지
비교하여 안전여부를 판단한다.

깊은 우물공법
•지름 0.3~1.5m 정도의 우물을 굴착하여 이 속에
우물측관을 삽입하여 그 안으로 유입하는 지하수를
펌프로 양수하는 공법
딕소트로피 현상
•교란된 시료의 강도는 불교란 시료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진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도의 일부가 회복되는 현상

다이얼 게이지
•정확한 침하량(1/100mm)을 측정할 수 있는 시계형의 측정기구로서 지내력 시험에 이용되는 기구

바이브로 플로테이션 공법
•비교적 느슨한 모래층을 현장에서 다지는 공법으로, 약 2m 길이의 진동봉을 사출수를 이용하여 지중 깊은 심도까지 관입시킨 후 횡방향의 진동을 유발시켜
주변지반을 다져 올라오면서, 진동봉에 위치했던 빈 구멍을 모래나 자갈로 채우는 공법

토공사의 진행절차
•사전조사
•굴착단면의 검토(흙막이 필요성 검토)
•흙막이 공법의 선정
•배수계힉
•굴착방법의 검토
•굴착토, 매립토의 운반
•인가 양생계획, 도로 양생계획

건물의 부동침하 방지대책
•연약지반 기초 대책(상부 구조)
-건물을 경량화 할 것
-건물의 길이를 축소할 것
-강성을 높일 것
-인접건물과의 거리를 멀리할 것
-건물의 중량 배분을 고려
•연약지반 기초 대책(기초구조와 지반)
-기초를 경질지반에 지지
-마찰 말뚝을 사용
-복합기초 사용
-지하실 설치

부동침하 원인
•연약층
•이질지층
•일부증축(무리한 증축)
•지하 수위변경
•이질 지정
•일부 지정
•지하 구멍
•낭떠러지

언더피닝 공법의 목적
•지하구조물 축조시나 터피기시 인접건물이나 구조물의 침하, 균열, 이동 등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

Floating Foundation
•건물하부의 지하실 바닥 저체를 하나의 일체식 기초로 축조하여 상부기둥을 지지하는 기초형식

기초
•건축물의 최하부에서 상부구조의 하중을 받아서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시키는 최하층 구조체

지정
•기초밑면을 보강하거나 지반의 지지력을 보강해주기 위한 부분

잡석지정의 사용 목적
•콘크리트 두께 절약
•기초바닥판의 배수, 방습 효과
•이완된 지표면의 다짐, 보강효과 기대

말뚝간격
•나무말뚝 : 2.5d 또는 60cm 이상
•기성콘크리트말뚝 : 2.5d 또는 75cm 이상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현장콘크리트 말뚝)
: 2D 이상 또는 D+1.0m 이상
잡석지정의 시공순서
•지반굴착
•잡석을 옆세워 깔기
•사춤자갈 채우기
•다짐
•밑창 콘크리트 타설

잡석지정
•지름 15~30cm 정도의 자벅을 세워서 깔고 사춤자갈을 20~30% 채우고 다지는 지정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다짐

모래지정
•지반이 연약하나 하부 2m 이내에 굳은 층이 있어 말뚝을 타입할 필요가 없을 때 그 부분을 파내고
모래를 넣고 30cm 마다 물다짐을 하여 총 1m 정도 설치

모래지정의 사용목적
•먹매김이 가능
•거푸집설치, 철근배근 용이
•바깥방수의 바탕으로 이용하기 위함

자갈지정
•굳은 지반에 지름 4.5cm 내외의 자갈을 6~12cm 정도 깔고 잔자갈을 채운 것

긴주춧돌지정
•비교적 지반이 깊고 말뚝은 사용할 수 없는 간단한
건축물에서 사용
•긴주춧돌 또는 30cm 지름의 관을 깊이 묻고 속에 콘크리트를 채움

밑창콘크리트 지정
•1 : 3 : 6 배합으로 두께 5~6cm 콘크리트를 치는
것으로 먹줄치기를 가능하게 하고, 거푸집 설치를
용이하게 하며, 잡석의 유동을 막이 위한 것.

지지말뚝
•연약지반을 관통하여 굳은 지반에 도달시켜서 말뚝 선단지지력에 의해 지지되는 말뚝

마찰말뚝
•연약층이 깊어 굳은층에 지지할 수 없을 때 말뚝과 지반의 마찰력에 의해 지지되는 말뚝

 


지정말뚝의 종류
•나무말뚝
•기성 콘크리트 말뚝
•H형강 말뚝

말뚝의 표시법
*PHC•A․450•12*
: 프리텐션방식의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 말뚝의 지름 450mm • 말뚝의 길이 12m

말뚝 단부형태에 따른 분류
•압입공법 적용시
-연필형태(폐쇄돌출형)
-플랫형태(폐쇄형, 폐단형)
•중굴공법 적용시
-개단말뚝(계단형)

기성콘크리트 말뚝 이음의 종류
•용접식 이음
•볼트식 이음
•충전식 이음
•장부식 이음

기성콘크리트 말뚝
•타설할 때 그 중심간격은 말뚝지름의 2.5배 이상 또한
750mm 이상으로 한다.
•타격회수 5회에 총관입량이 6mm 이하인 경우의
말뚝은 박히는데 거부현상을 일으킨 것으로 본다.
•기초면적이 1,500㎡까지는 2개의 단일시험말뚝을
설치하고, 3,000㎡까지는 3개의 단일시험말뚝을
설치한다.

강재말뚝의 부식 방지대책
•판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
•모르타르를 피복하는 방법
•방청도료를 도포하는 방법
•전기도금법

강관(강재)말뚝의 특징
•지지층에 깊이 관입. 지지력이 큼
•중량이 가볍고 단면적이 작다
•경질층에 타입, 인발이 용이
•이음이 강하며 길이조절 용이

말뚝 시공법의 종류
•압입공법 : 회전압입, 진동압입과 수사식을 병용
•프리보링 공법
•수사식 공법
•중굴공법
무소음, 무진동 공법
•프리보링 공법
•압입 공법
•수사식공법
•중굴공법
•수사식과 압입식의 병용공법
•중굴식과 압입식의 병용공법

Pro-Boring 공법
•말뚝구멍을 선 굴착 후 말뚝을 매입하거나 타입,
압입을 병용하는 방법

압입공법
•유압 Jack을 이용하여 회전압입, 진동압입 등으로
말뚝을 눌러 매입하는 방법

중굴공법
•말뚝의 가운데 빈 부분을 이용하여 굴착하고, 말뚝을
매입하는 방법

수사식공법
•물을 고속 부사하여 지반을 무르게 하고 타입,
압입하여 말뚝을 지중에 매입하는 방법

프리보링 공법 작업순서
•어스오거드릴로 구멍 굴착
•소정의 지지층 확인
•시메트액 주입
•기성콘크리트 말뚝 삽입
•기성콘크리트 말뚝 경타
•소정의 지지력 확보

무리말뚝 시공순서
•표토 걷어내기
•수평규준틀 설치
•말뚝 중심잡기
•가장자리 말뚝박기
•중앙부 말뚝박기
•말뚝머리 정리

건축물 기초 시공순서
•터파기
•말뚝박기
•말뚝머리 자르기
•버림콘크리트
•먹줄치기
•거푸집설치
•철근배근
•콘크리트 부어넣기
공극시험

공극률
(%)=
골재비중 X 0.999 – 단위체적질량(t/㎥)
X 100(%)
골재비중 X 0.999

•실적률(%) = 100(%) - 공극률(%)

페데스탈파일 시공순서
•외관과 내관의 2중관을 동시에 소정위치까지 박는다.
•내관을 빼낸다.
•외관내에 콘크리트를 넣는다.
•내관을 넣어 콘크리트를 다지며 외관을 서서히
빼 올리며 콘크리트를 구근형으로 만들어 완성한다.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종류
•콤프레솔 말뚝
-1.0~2.5ton의 3가지 추를 사용하여 잡석과 콘크리트를 교대 투입 후 추로 다짐하여 콘크리트 말뚝을 만드는 공법
•심플렉스 말뚝
-철관을 쳐서 박아넣고 그 속에 콘크리트를 부어넣고 중추로 다짐하여 외관을 뽑아내는 공법
•레이몬드 말뚝
-외관에 심대를 넣고 박아 심대를 뽑고 콘크리트를 넣은 후 다짐을 실시하여 외관이 땅속에 남은 유곽 파일

프리팩트파일의 종류
•PIP 말뚝
•CIP 말뚝
•MIP 말뚝

말뚝박기시험의 유의사항
•타격회수 5회 총관입량이 6mm이하는 항복현상으로 간주하여 더 이상 타격하지 않는다.
•기초면적 1,500㎡까지는 2개, 3,000㎡ 까지는 3개의 말뚝을 시험한다.
•말뚝 최종 관입량은 5회~10회 평균값으로 한다.

제자리콘크리트 말뚝시공의 종류
•콤프레솔 말뚝
•심플렉스 말뚝
•페데스탈 말뚝
•레이몬드 말뚝
•프랭키 말뚝
•어스드릴 말뚝
•베노토 말뚝
•프리팩트 말뚝
•리버스 서큘레이션 말뚝

철재 널말뚝
•랜섬식 말뚝
•테르루즈식 말뚝
•라르센식 말뚝
•심플렉스식 말뚝

말뚝공법에서 타격공법시 사용되는 대표적인 기구
•드롭해머
•디젤해머
•유압해머

디젤해머의 장, 단점
•장점
-큰 타격력이 얻어지며 시공능률이 우수
-말뚝두부 손상이 적음
-타격의 정밀도가 우수
-장비의 조립•해체가 용이
•단점
-해머의 낙하고 조절이 어려움
-소음, 지동이 크고 기름, 연기의 비산 등 공해가 큼
-연약지반에서는 시공능률이 떨어짐

어스드릴 말뚝
•회전식 Drilling Bucket에 의해 지중에 필요 깊이까지 굴착하고, 그 굴착공에 철근을 삽입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을 조성하는 공법

리버스 서큘레이션 공법
•특수비트의 회전으로 굴착된 토사를 드릴 로드 내의 물과 함께 공외로 배출하여 침전지에 토사를 침전시킨 후 물을 다시 고애에 환류시키면서 굴착한 후 철근망을 삽입하고 트레미관에 의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말뚝을 조성하는 공법

베노토 공법
•특수 고안된 케이싱 튜브를 좌회전과 우회전 운동의 반복에 의해 요동시키면서 지반의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유압잭으로 압입하면서 공벽 파괴를 방지하고
해머 그랩으로 굴착 후 철근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충전하면서 케이싱 튜브를 빼내면서 말뚝을 조성하는 공법

베노토 공법의 시공순서
•케이싱튜브 세우기 및 굴착
•철근망 조립 및 삽입
•트레미관 삽입
•콘크리트 타설
•케이싱 튜브 인발 및 양생

베노토 공법의 특징
•All Casing 공법으로 굴착면의 붕괴가 없는 안정적인 공법
•암반을 제외한 모든 지층에 적용 가능
•기계, 설비가 대형.
•작업속도가 느리다.
•깊은 말뚝 가능
•공사비가 고가이다.
•전석층, 자갈층 casing 앞입과 인발 곤란
•casing 인발시 철근피복 파괴현상 우려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 시공시 공벽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보호외관을 사용
•벤토나이트액 또는 이수를 사용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공법 중 굴착구멍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물을 채우는 대표적인 공법은
리버스 써큘레이션 공법이며, 이 공법은 지하수위보다
2m 이상 높게 물을 채워서 2t/㎡ 이상의 정수압을
유지해야 한다.

개방잠함 기초의 시공순서
•지하구조체 지상 구축
•하부 중앙흙을 파낸다.
•중앙부 기초구축
•주변 기초 구축

얕은기초의 지내력을 산정하는 방법
•지지력 공식에 의한 방법
•재하시험에 의한 방법

기성제품 말뚝기초의 지지력을 산정하는 방법
•정역학적 공식에 의한 방법
•동역학적 공식에 의한 방법
•재하시험에 의한 방법

잡석을 옆세워 깐 후 틈막이 자갈량은 잡석량의 30% 정도이며 잡석다짐 폭은 상부구조가 콘크리트조인
경우 기초판 끝에서 15cm 정도 여유를 두어 정한다.

모래지정은 두께 1m 정도 실시하며 30cm 마다
물다짐 한다. 또한 밑창 콘크리트 지정은 배합비
1 : 3 : 6 정도로 잡석다짐 위에 5cm 정도하며
압축강도는 150kgf/㎠ 이상이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파일의 종류
•프리텐션방식의 원심력 프리스트레스트 말뚝
•포스트텐션방식의 원심력 프리스트레스트 말뚝
•프리텐션방식의 원심력 고강도 프리스트레스트 말뚝

강재말뚝 이음법
•용접이음

나무말뚝 이음법
•파이프를 이용한 이음법
•꺽쇠를 이용한 이음법
•볼트를 이용한 덧댐이음법

말뚝의 특징
•MIP파일-흙과 모르타르를 교반
•PIP파일-Screw Auger로 굴착
•콤프렛솔 파일-3가지 추를 사용
•프랭키파일-합성말뚝에 사용
•레이몬드 파일-외관이 지중에 남음
•RCD파일-물을 역순환 재사용

개방형 프리스트레스트말뚝의 시공방법
•타입공법
•프리보링공법
•중굴공법

레진 콘크리트 말뚝
•자갈, 모래 등 골재를 시멘트 대신 플라스틱으로
굳혀서 만든 말뚝으로 내약품성이 높아 온천지,
화학계 공장 등에 사용

부 마찰력
•연약층을 관통하여 지지층에 도달한 지지말뚝에서 연약지반이 상부적재하중에 따른 지반침하로 말뚝은 하향력을 받게 되어 지지력이 감소되는데 이러한
하향의 마찰력을 말함.

동재하 시험방법
•파동방정식을 근거로 개발된 방법으로 말뚝머리
부근에 변형률계와 가속도계를 부착하고 항타분석기를 이용하여 항타 중에 말뚝머리에 발생하는 응력과
변형 및 가속도를 측정하여 지지력을 산정하는 방법


선단확장파일
•기존 PHC파일의 선단확장을 통하여 선단지지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파일 본 수 절감에 따른 경제성 향상 및 공기단축이 가능한 파일

대구경 파일을 축조할 때 사용되는 말뚝공법
•베노토 공법
•역순환공법
•어스드릴 공법

SIP 공법
•일반적으로 말뚝직경보다 100mm정도 큰 직경을
갖는 연속날개 또는 교반용 날개를 부착한 Auger로
지반을 선 굴착한 후 굴착공 내에 시멘트 밀크를 주입하고 오우거 날개를 상하로 회전시켜 굴착공 내의 토사와 교반한 후 말뚝을 삽입하고 낙하 또는 타입시켜 시공하는 방법

SAIP 공법
•지반응력이완과 굴착면붕괴에 따른 지지력 저감문제를 다소 해소한 공법으로 말뚝직경보다 50mm정도 큰 케이싱의 외부에 나선형 날개를 하부에는 개폐식 Shoe를 장착 케이싱 스크류 내부에 말뚝을
낙하시키는 공법으로 수직도와 시공 정밀도가 높은 공법

SDA 공법
•상호 역회전하는 상부 오우거 스크류와 말뚝직경보다 큰 하부 케이싱 스크류에 의한 독립된 2중 굴진식을 채택하고 선단에 링 빗을 부착한 케이싱 스크류와
어스 또는 락 오우거를 사용하며 연약층, 자갈층,
풍암반 등에도 시공이 가능하여 말뚝선단 지반 확인이 가능한 공법

어스드릴 공법의 시공순서
•스탠드 파이프 설치
•굴착
•선조립 철근망 삽입
•트레미과 설치
•콘크리트 타설
•스탠드 파이프 인발 완료

철근공작도
•정의
-철근구조도면에 따라 철근의 절단, 구부림 공작을
하기 위한 시공 도면으로 철근의 모양, 칫수, 구부림 위치, 길이, 수량, 중량 등을 기입, 산출한다.
•종류
-기초, 기둥, 벽, 보, 바닥판, 계단 배근도 및 라멘도 등

용접이음방식의 장점
•콘크리트 타설시 유동성 증가
•겹친이음생략으로 강재량 절약
•충분한 강도 확보가능
철근공사의 시공순서
•공작도 작성
•철근의 반입
•저장
•검사 및 시험
•가공
•조립
•조립부 검사

건축물의 철근 조립순서
•기초철근
•기둥철근
•벽철근
•보철근
•바닥철근
•계단철근

철골 철근콘크리트의 철근 조립순서
•기초철근
•기둥철근
•보철근
•벽철근
•슬래브철근
•계단철근

기초철근 조립순서
•거푸집위치 먹줄치기
•철근간격 표시
•직교철근 배근
•대각선 철근 배근
•스페이서 설치
•기둥주근 설치
•띠근 끼우기

철근공사에서 이음위치 선정시 주의사항
•큰 응력을 받는 곳은 피한다.
•동일장소에 이음이 반수이상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
•보철근 이음시 중앙하부근, 단부상부근은 인장력이
적은 곳에서 이음한다.

철근의 정착위치
•기둥의 주근 : 기초
•큰보의 주근 : 기둥
•지중보의 주근 : 기초 또는 기둥
•벽철근 : 기둥, 보 또는 바닥판
•바닥철근 : 보 또는 벽체

 

철근의 정착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
•최상층 보의 단부

•일반층 보의 단부

•슬래브의 단부


철근 콘크리트조 보의 최상층보와 중간층 보의
단부의 철근 정착길이와 위치
•최상층부

•중간층부

 

철근의 단부에 갈고리(HOOK)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원형철근인 경우
•굴뚝철근
•늑근(스터럽)
•대근
•기둥, 보의 돌출부 철근
•띠철근

철근이음방식
•겹친 이음
•용접 이음
•기계적 이음
•가스압접 이음
•커플러에 의한 나사 체결방식 이음

가스압접으로 이음 할 수 없는 경우
•철근의 지름차이가 6mm를 초과할 때
•철근의 재질이 상이할 때
•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작업할 때
•지름 1/5 초과의 편심오차 발생시

철근에 대한 콘크리트의 피복두께 유지 목적
•소요의 내구성 확보
•소요의 내화성 확보
•소요의 강도 확보
•콘크리트와의 부착력 확보
•콘크리트의 유동성 확보

구조물의 균열이 발생하고 철근이 녹스는 원인
•급격한 건조수축
•Joint 처리미숙
•과대하중, 소요단면부족
•부동침하
•염분과다 사용으로 철근부식

피복두께
•철근 가장 외측 표면에서 이를 감싸고 있는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최단거리
•RC조의 내화성, 내구성을 정하는 중요한 요소

철근간격 유지 이유
•콘크리트의 유동성 확보
•재료분리 방지
•소요강도 확보

철근 간격 결정 원칙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4/3배 이상
•25mm이상
•이형철근 공칭지름(주근의) 1.5배 이상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기둥에서 띠철근의 역할
•기둥 주철근의 좌굴 방지
•수평력에 대한 전단 보강
•주근의 위치고정
•피복두께 유지

철근의 간격재
•모르타르 재료의 간격재
•철판을 절곡시킨 간격재
•철근을 조립한 간격재

거푸집이 갖추어야 할 구비조건
•시멘트 페이스트 누출 방지의 수밀성
•외력, 측압에 대한 안전성
•조립해체 간편성
•반복사용 전용성
•변형이 없고 치수 정밀도가 우수할 것

거푸집의 역할
•콘크리트의 치수, 형상 유지
•경화에 필요한 수분누출 방지
•외기에 대한 영향을 방지

거푸집짜기 시공상 주의사항
•수밀성확보
•항상 치수가 정확하고 배부름, 뒤틀림 등 변형이
없을 것
•외력에 충분히 견디도록 한다.
•조립해체가 간편하고 반복 사용 가능할 것

거푸집 설계에서 고려하는 하중
•바닥판, 보 밑 거푸집
-작업하중
-충격하중
-생콘크리트 중량
•벽, 기둥, 보 옆 거푸집
-생콘크리트 중량
-생콘크리트 측압력

콘크리트 측압이 크게 걸리는 경우
•슬럼프 : 크다
•배합 : 부배합
•벽두께 : 두껍다
•부어넣기 속도 : 빠르다
•대기 중의 습도 : 높다

복합기초
•기초의 종류 중 2개 이상의 기둥을 하나의 기초에
연결 지지시키는 기초방식
거푸집의 측압이 증가되는 요인
•콘크리트 타설속도가 빠를수록
•슬럼프 값이 클수록
•콘크리트의 비중이 클수록
•부배합의 콘크리트일수록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을수록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여 다질수록
•거푸집의 강성이 클수록
•철골 또는 철근 사용량이 적을수록

거푸집의 측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
•콘크리트 타설속도
•콘크리트의 비중
•진동기 사용
•콘크리트의 슬럼프 값
•거푸집의 강성
•철근, 철골의 사용량
•부재의 크기

거푸집 존치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
•부재의 종류, 위치
•콘크리트의 강도
•시멘트의 종류
•평균온도(기온)

기초, 보옆, 기둥 및 벽의 거푸집널 존치기간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5MPa 이상에 도달한 것이
확인될 때까지로 한다.
받침기둥의 존치기간은 슬래브 밑 보 밑 모두
설계기준 강도의 100% 이상의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언어진 것이 확인될 때까지로 한다.
다만, 거푸집널 존치기간 중의 평균기온이
10℃이상이고,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할 경우
재령 4일 이상이 경과하면 압축강도 시험을 행하지
않고도 거푸집을 제거할 수 있다.
다층구조인 경우 받침기둥의 존치기간은 슬래브 밑 및 보 밑 모두 설계기준 강도의 14% 이상의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얻어진 것이 확인 될 때까지이며, 계산결과에
관계없이 받침기둥 해체시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14MPa 이상이어야 한다.

거푸집 널 존치기간

시멘트의 종류
평균
기온
조강포틀랜드 시멘트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시멘트 특급
고로슬래그 시멘트 1급
포틀랜드포졸란시멘트 B종
20℃ 이상
2일
3일
4일
20℃ 미만
10℃ 이상
3일
4일
6일

거푸집 용어
•스페이서
-바닥이나 벽 철근이 거푸집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격재 용도
•세퍼레이터
-벽거푸집이 오므라드는 것을 방지하고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격리재
•와이어 클리퍼
-거푸집 긴장철선을 콘크리트 경화 후 절단하는 절단기
•인서트
-콘크리트에 달대와 같은 설치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매입하는 철물
•폼타이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며 벌어지는 것을 막는 긴장재

콘크리트 헤드
•타설된 콘크리트 윗면으로부터 최대 측압면까지의 거리

격리제
•거푸집 간격을 유지

박리제
•거푸집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거푸집면에 칠하는 약제

페코빔
•신축이 가능한 무지주 공법

갱폼
•사용할 때마다 작은 부재의 조립, 분해를 반복하지 않고 대형화, 단순화하여 한 번에 설치하고 해체하는 거푸집 시스템

RC조 일반적인 건축물 1개층의 시공순서
•기초옆, 지중보 거푸집 설치
•기초판 철근배근, 지중보 철근배근
•기둥철근 기초에 정착
•기초판 콘크리트 타설
•기둥철근 배근
•기둥 거푸집, 벽 한쪽 거푸집
•벽 철근 배근
•벽의 딴편 거푸집
•보 밑창판, 옆판 및 바닥판 거푸집
•보철근 배근
•바닥판 철근배근
•콘크리트 타설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구조부위별 형틀 조립 작업순서
•기둥
•보받이 내력벽
•큰보
•작은보
•바닥
•외벽

R.C조 건축물 독립기초의 일반적인 시공순서
•잡석다짐
•밑창 콘크리트 타설
•기초 거푸집 위치 먹줄 놓기
•기초 옆면 거푸집 설치
•기초판 철근배근
•기둥철근 기초에 정착
•콘크리트 부어넣기
•양생

무량판 구조
•RC조 구조방식에서 보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슬래브를 직접 기둥에 지지시키는 구조방식

벽체전용 시스템 거푸집
•갱폼
•클라이밍 폼
•슬라이밍 폼
•슬립 폼

거푸집에서 시멘트 페이스트의 누출시 현장조치법
•넝마 등으로 신속히 메운 다음 급결 모르타르나
석고 등과 같은 급경성 재료로 누출부위를 막거나,
각목이나 철판 또는 판자를 붙여 막는다.

무지주공법의 수평지지보
•받침기둥없이 보를 걸어서 거푸집을 지지하는 방식
•종류
-보우 빔
-페코 빔

보우 빔
•강재의 장력을 이용하여 만든 조립보로서
무지주공법에 이용됨

드롭헤드
•유로폼에서 지주를 제거 안하고 슬래브 거푸집만
제거 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보조 철물


철골용어
•가셋플레이트
: 철골구조의 기둥과 보, 트러스 절점 부위 등에
사용되는 부재접합, 연결용 강판을 말함
•쉬어커넥터
: 합성구조에서 양재간에 발생하는 전단력의 전달,
보강 및 일체성 확보를 위해 설치하는 연결재료
•데크플레이트
: 구조용 강판을 절곡해서 만든 바닥판 하부 거푸집 용도의 골철판
: 바닥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슬래브 하부 거푸집판
: 아연도 철판을 절곡하여 제작하며, 해체작업이
필요없음
: 작업시 안정성 강화 및 동바리 수량감소로
원가절감가능
: 철골조 보에 걸어 지주없이 쓰이는 바닥판
•앤드탭
: 용접결함이 생기기 쉬운 용접 비드의 시작과
끝 지점에 용접을 하기 위해 용접 접합하는 모재의 양단에 부착하는 보조 강판
•스캘럽
: 철골부재 용접시 이음 및 접합부위의 용접선이
교차되어 재용접된 부위가 열영향을 받아
취약해지기 때문에 모재에 부채꼴 모양의 모따기를
한 것.

포틀랜드시멘트
•1종 : 보통포틀랜드시멘트 – 일반공사
•2종 :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 – 차페용공사
•3종 : 조강포틀랜드시멘트 – 긴급공사, 한중공사
•4종 : 저열포틀랜드시멘트 – 차폐용공사
•5종 : 내황산염포틀랜드시멘트
– 유산염의 침식을 받는 콘크리트

조강시멘트
•특성 : 조기강도가 크고 수화열이 많으며 저온에서
강도의 저하율이 낮다.
•용도 : 긴급공사, 한중공사

백색시멘트
•특성 : 석탄 대신 중유를 원료로 쓰며, 제조시 산화
철분이 섞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용도 : 미장재, 인조석 원료

중용열시멘트
•특성 : 내식성이 좋으며 발열량 및 수축률이 작다.
•용도 : 대단면 구조재, 방사성 차단물


거푸집공법
•슬립 폼
: 시공 이음없이 연속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수직활동 거푸집공법으로 곡물창고 등의 시공에 사용
: 사일로, 교각, 건물의 코아부분 등 단면형상의 변화가 없는 수직으로 연속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
•슬라이딩 폼
: 높이 1~1.2m정도의 조립된 거푸집을 요크로
끌어올리면서 연속 타설하는 수직 활동
거푸집공법으로 곡물창고 등의 시공에 적합
: 전망탑, 급수탑 등 단면형상에 변화가 있는 수직으로 연속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
•트래블링 폼
: 시스템 거푸집으로 한 구간의 콘크리트를 타설 후
다음 구간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한 거푸집공법
: 장선, 멍에, 동바리 등이 일체로 유니트화한 대형,
수평이동 거푸집
•갱폼
: 조립과 해체작업이 생략되어 설치시간이 단축
: 거푸집의 처짐량이 작음
: 외력에 대한 안정성이 높음
: 중량물이므로 운반시 대형 양중장비 필요
: 거푸집 제작비용이 크므로 초기투자비용이 증가
•워플폼
: 무량판 구조에서 2방향 장선 바닥판구조가
가능하도록 된 기성재 거푸집
: 격자천정형식을 만들 때 사용하는 거푸집
•페코빔
: 신축이 가능한 무지주공법의 수평 지지보
•터널 폼
: 벽판과 바닥판을 ㄱ자형 또는 ㄷ자형으로 짜서
아파트 공사 등에 사용하는 거푸집
: 대형 형틀로서 슬래브와 벽체의 콘크리트 타설을
일체화하기 위한 거푸집
•플라잉 폼(테이블 폼)
: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으로서
장선, 멍에, 서포트 등을 일체로 제작하여 부재화한
거푸집 공법
: 조립과 해체작업이 생략되어 설치시간이 단축
: 거푸집의 처짐량이 작고 외력에 대한 안정성이 높음
: 인력이 절감되며, 기능공의 기능도에 크게 좌우되지 않음
: 합판을 제외한 주요부재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전용성이 우수
•메탈 폼
: 철제 거푸집으로 표면이 매끄러워 제치장용
거푸집으로 사용


•대형 판넬 공법
: 연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체부위의 거푸집 시공을 대형 패널로 거푸집과 지주를 유닛화하여 한
구획 전체를 타설할 수 있고 또한 반복사용 하는 것
•클라이밍 폼
: 벽체용 거푸집으로 거푸집과 벽체 마감공사를 위한 비계틀을 일체로 조립하여 한꺼번에 인양시켜 설치하는 공법

포졸란 반응
•실리카 재료가 물속에서 용해하여 수산화칼슘과
화합하여 불용성의 화합물을 만들어 경화하도록 하는 반응

플라이 애쉬
•인공포졸란이라하며 보일러에서 분탄이 연소할 때
부유하는 회분을 전기집진기로 채집한 세립의 구상형의 미소입자

고로슬래그
•선철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유물질을
냉각시켜 분말화한 것

콘크리트에 포졸란을 넣었을 때의 성질
•시공연도증진
•재료분리감소
•해수에 대한 화학적 저항성 증대
•초기강도감소, 장기강도 증진

플라이애쉬 시멘트의 특징
•시공연도가 개선됨
•수화발열량이 적어서 초기강도는 작아지며
장기강도는 증대됨
•화학적 저항성을 증진
•수밀성이 향상
•알카리 골재반응을 억제

혼화재
•시멘트량의 5% 이상 다량 사용되어 그 부피가
배합계산에 포함되는 재료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포졸란, 실리카 흄

혼화제
•시멘트량의 1% 이하 소량 사용되어 배합계산시
무시되는 재료
•AE제, 유동화제, 경화촉진제, 발포제

 

시멘트 주요화합물
•C3S 규산 삼석회
•C2S 규산 이석회
: 콘크리트 28일 이후의 장기강도에 관여하는 화합물
•C3A 알민산 삼석회
•C4AF 알민산철4칼슘

혼화재료의 사용목적
•시공연도의 증진 및 조절
•동결융해 저항성 증가
•단위수량 감소 효과
•내구성 및 수밀성 증대
•재료분리 저하성, 블리딩 현상 감소
•응결시간의 조절

시멘트의 응결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시멘트의 분말도가 크면 응결이 빠르다.
•온도가 높고, 습도가 낮을수록 응결이 빠르다.
•시멘트의 화학성분 중 C3A가 많을수록 응결이 빠르다.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응결이 빠르다.
•풍화된 시멘트일수록 응결이 느리다

혼화제의 종류
•AE제
: 공기 연행제로 미세한 기포를 고르게 분포시킨다.
•고성능 감수제
•급결제
•응결 촉진제
: 시멘트와 물과의 화학반응을 촉진시킨다.
•응결 지연제
: 화학반응이 늦어지게 한다.

표면활성제
•표면활성작용에 의하여 콘크리트 속에 다수의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거나, 시멘트 입자를 분산시켜
시공연도를 증진시키는 혼화제
•종류 : AE제, 분산제

AE콘크리트의 특징
•워커빌리티 증진
•단위수량이 감소하고, 블리딩 현상 감소
•수밀성 증가
•내구성 증가
•동결, 융해 저항성이 향상
•철근과의 부착강도, 압축강도 감소

 


AE콘크리트의 공기량
•AE 공기량은 AE제를 사용하면 할수록 증가하며
잔골재와 잔골재율이 많을시 증가하고 온도가 높고, 진동을 주면 감소한다. 이 공기량은 시공연도를
증진시키고 동결융해 피해를 감소시킨다.

AE제의 사용목적
•시공연도 증진
•재료분리, 건조수축감소, 수밀성 개선
•내동해성 개선

콘크리트 중의 공기량의 변화
•AE제의 혼입량이 증가하면 공기량은 증가한다.
•시멘트의 분말도 및 단위 시멘트량이 증가하면
공기량은 감소 한다.
•잔골재 미립분이 많으면 공기량은 증가하고,
잔골재율이 커지면 공기량은 증가한다.
•콘크리트의 온도가 낮아지면 공기량은 증가한다.
•컨시스턴시가 커지면, 즉 슬럼프가 커지면 공기량은
증가한다.

유동화 콘크리트의 유동화 방법
•공장첨가 유동화
•현장첨가 유동화
•공장첨가 후 현장 유동화

공기연행제(AE제)
•콘크리트 내부에 미세한 독립된 기포를 발생시켜
콘크리트의 작업성 및 동결융해 저항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혼화제

방청제, 제염제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이 콘크리트에 혼입되는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이용되는 혼화제

기포제, 발포재
•콘크리트의 단위용적중량의 경감 혹은 단열성의
부여를 목적으로 안정된 기포를 물리적인 수법으로 도입시키는 혼화제

콘크리트용 착색제
•초록색 : 산화크롬
•빨강색 : 산화제2철
•노란색 : 크롬산바륨
•갈색 : 이산화망간

 

철근의 응력-변형률 곡선


•비례한계점
•항복강도점
•변형도경화점
•극한강도점
•파괴점
•탄성영역
•소성영역
•변형도경화영역
•파괴영역

실리카 흄
•전기로에서 페로 실리콘 등 규소합금의 제조시에
발생하는 폐가스를 집진하여 얻어지는 부산물의
일종으로써 이산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초미립자 혼화재

콘크리트용 골재의 품질 요구사항
•표면이 거칠고 둥근모양일 것
•견고하고 강도가 클 것
•실적율이 클 것
•입도가 적당하고 좋을 것

 

콘크리트 제조과정에서 다음 성분이 과량 함유된 경우 우려되는 대표적 피해현상
•유기불순물 : 시공연도 저하, 강도 저하
•염화물 : 철근의 부식 및 이상응결, 균열 증가
•점토덩어리 : 강도 저하, 수밀성 저하, 흡수율 증가,
부착력 저하
•당분 : 응결지연

콘크리트 내의 Cl- 규정
•잔골재의 염분 함유량 : 0.04% 이하 (NaCl 기준)
: 0.02% 이하 (Cl- 기준)
•콘크리트 내부의 염소이온량 : 0.3kg/㎥

해사 사용의 증가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미칠영향
•이상응결
•철근부식촉진
•균열발생증가
•누수
•내구성 약화

철근콘크리트의 철근부식방지에 대한 유효한 대책
•철근 표면에 아연도금 처리
•콘크리트에 방청제 혼입
•에폭시 코팅 철근사용
•골재에 제염제 혼합사용
•W/C비 적게, 철근비복두께 확보

철근이 부식되기 위한 필요 3요소 및 방지대책
•강재피해의 요소 : 물, 공기, 염분
•피해방지 대책
-물시멘트비를 작게하여 수밀한 콘크리트를 타설
-피복두께를 크게하여 투기성을 감소시켜 탄산가스의 접촉을 방지
-바다모래 사용시 잘 세척하여 염분을 제거하고,
방청제, 제염제를 투입하여 염분 영향을 방지
-철근표면을 도금처리 하거나 수지코팅 철근을 사용

콘크리트가 구비해야 할 성질
•소요의 강도 유지
•경제적 배합
•소요의 시공연도 확보
•소요의 내구성 확보
•균질성 확보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의 종류
•절대용적배합
•중량배합
•표준계량 용적배합

콘크리트 배합설계 순서
•설계강도(소요강도) 결정
•온도 및 표준편차의 결정
•배합강도의 결정
•시멘트 강도 결정
•물시멘트비 결정
•슬럼프 값 결정
•굵은 골재 최대치수 결정
•잔골재율의 결정
•단위수량의 결정
•시방배합의 산출 및 조정
•현장 배합의 결정

조합표에 의한 콘크리트 배합설계 순서
•설계기준강도
•조합강도(배합강도 결정)
•물시멘트비산정 ← 시멘트 강도의 결정
•물시멘트비 결정
•슬럼프치 결정 → 조합표 ← 골재의 크기결정
•시험비빔
•계획 조합의 결정

배합설계의 관련
•콘크리트의 반죽질기 조정 – 단위수량 혹은 시멘트량
•콘크리트의 강도 고려 – 물시멘트비
•콘크리트의 점도 및 재료분리 조정
– 잔골재율 혹은 단위 굵은 골재량
•콘크리트의 내구성 고려 – AE제의 량

각 백분율에 속하는 실험 항목
•중량 백분율(°/wt)
: 흙의 흡수율,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
•용적 백분율(°/vl)
: 흙의 간극율, 콘크리트의 잔골재율

물시멘트비는 시멘트에 대한 물의 중량 백분율이다.

콘크리트 타설시 현장 가수로 인한 문제점
•콘크리트의 강도 저하
•재료분리 및 블리딩 현상 증가
•건조수축 및 침강균열 증가
•내구성, 수밀성 저하

시방서에서 규정한 철근콘크리트 슬럼프 값의 표준은
일반적인 경우 80~180mm이며, 단면이 큰 경우는 60~150mm이다 AE제의 공기량 기준은 4~6%정도 이다.

 

슬럼프 플로우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나타내는 지표
•시험규정에 따라 슬럼프 콘을 들어 올린 후 원형으로
퍼진 콘크리트의 직경을 측정하여 나타냄

조립률(F.M.)
•골재의 체가름 시험을 통한 10개체의 누적
중량백분율의 합을 100으로 나눈 값
•잔골재의 조립률은 2.3~3.1
•굵은골재의 조립률은 6~8
•조립률(F.M.)
= 10개체에 남은 양의 누적 %의 합계 / 100

콘크리트 강도검사의 비파괴 시험방법
•슈미트 해머법
•공진법
•음속법
•복합법

슈미트 해머 사용시 추정강도 보정방안
•타격각도 보정
•콘크리트 재령 보정
•압축응력에 따른 보정.

철근콘크리트 공사시 시공연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
•골재의 입도 및 입형
•물시멘트비
•혼화재의 종류
•비빔시간
•단위 수량
•단위 시멘트량
•공기량
•시멘트의 성질
•온도

레이턴스
•콘크리트를 부어 넣은 후 블리딩수의 증발에 따라 그 표면에 나오는 백색의 미세한 물질

콘크리트의 이행순서
•믹서
•버켓
•타워호퍼
•경사슈우트
•플로어호퍼
•두바퀴 손차

이넌 데이트
•모래의 용적계량 장치
콘크리트의 성상
•워커빌리티 – 시공성
-묽기정도 및 재료분리에 저항하는 정도 등 복합적인
의미에서의 시공 난이정도
-컨시스턴시에 의한 치어붓기 난이도 정도 및
재료분리에 저항하는 정도
•컨시스턴시 – 유동성, 반죽질기
-단위 물량 다소에 따른 혼합물의 묽기정도
-수량에 의해 변화하는 콘크리트 유동성의 정도
•스태빌리티 – 안정성
•컴팩터빌리티 – 다짐성
•모빌리티 – 가공성
•플라스티시티 – 성형성
-도로포장 등에서 골재의 최대치수에 따르는
표면정리의 난이정도
-거푸집 등의 형상에 순응하여 채우기 쉽고 분리가 일어나지 않은 성질
•펌파빌리티 – 압송성
-펌프시공 콘크리트의 경우 펌프에 콘크리트가 잘
밀려나가는 지의 난이정도
•피니셔빌리티 – 마감성
-마감성의 난이를 표시하는 성질

콘크리트의 재료분리의 원인 및 대책
•원인
-반죽질기가 지나칠 때
-골재의 입도, 입형이 부적당한 경우
-골재의 비중차이가 큰 경우
-물시멘트비 과다
-굵은 골재 최대치수가 클 때
•대책
-재료배합을 잘한다.
-적정한 물시멘트비를 유지한다.
-시공상 타설높이를 준수한다.
-혼화제 : AE제, 포졸란
-잔골재율을 증가

워세 크리터
•물시메트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골재를
계량하는 장치

콘크리트 펌프의 압송방식
•피스톤방식
•스퀴즈식

진동기 효과가 가장 발휘될 수 있는 것 순서
•빈배합 된비빔
•빈배합 묽은비빔
•부배합 묽은비빔
숏크리트(쇼트 크리트)
•모르타르를 압축공기로 분사하여 바르는 것으로
스프레이 콘크리트라고도 함
•장점
-재료 표면의 강도, 수밀성, 내구성 증진
-밀폐된 좁은 공간에 시공성 우수
•단점
-다공질이고, 외관이 거칠고, 균열발생 우려
-건축공법은 분진발생과 재료낭비가 심함

콘크리트 펌프공법
•장점
-기계화시공, 에너지절약
-공정의 간략화로 공기단축 가능
-노무비, 가설설비의 절약
•단점
-압송거리, 높이의 제한
-품질의 열화, 변화 발생우려
-압송관의 폐색 우려

VH공법
•침하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둥, 벽 등 수직부재를
먼저 타설하고 수평부재를 나중에 분리하여 타설하는
방법으로 보통 프리캐스트 하프 슬래브공법과 병행하여 적용

콘크리트 타설 순서
•기초
•기둥
•벽
•계단
•보
•바닥판
•파라펫

굳지 않는 콘크리트의 다지기 방법
•손다짐 방법
•진동다짐 방법
•거푸집 두드림 방법
•원심력법
•진공처리법

콘크리트 이어붓기시 이어부은 자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사항
•누수우려
•부착력 저하
•강도저하
•균열발생 증가

콘크리트 다짐에 이용되는 진동기
•거푸집 진동기
: P.C공장에서 거푸집의 외부에 진동을 가한 것
•표면 진동기
: 도로공사 등에서 콘크리트 상면에 진동을 가한 것
•봉상 진동기
: 보통공사에 많이 쓰이는 것으로 콘크리트에 삽입시켜
사용한 것

진동다짐기 사용시 주의할 점
•수직으로 사용해야 한다.
•삽입간격은 500mm 이하
•1개소당 진동시간은 5~15초 정도
•공극이 남지 않도록 서서히 뺀다.

진동기를 과도 사용할 경우에는 재료분리 현상을
일으키고, AE콘크리트에서는 공기량이 많이 감소된다.

콘크리트 타설시 시공 Joint 처리방법
•이음면은 구조물의 강도에 영향이 없는 곳에 두고,
응력방향에 직각으로 한다.
•수평부재에서는 골재 불량부분을 제거하고 부배합
모르타르를 바른다.
•수직부재에서는 재진동 다짐하여 모인 물을 제거,
수평이음과 동일 시공
•이음부처리는 거칠게 마감하고 콘크리트 치기전
청소, 물축임, 촉이나 홈, 철근 등을 배근하며 수밀,
밀실하게 처리해야 한다.

콘크리트 이어붓기시 주의사항
•전단력이 적은 곳에서 이어 붓는다.
•이음길이는 되도록 짧게 한다.
•이음 위치는 단면이 적은 곳에 둔다.
•이음위치는 응력 방향에 직각으로 수직, 수평으로
둔다.
•블리딩, 레이턴스 등을 제거한다.
•콜드 조인트 처리에 유의한다.

무근콘크리트의 붓기 이음새에 전단력을 보강하기
위한 방법
•이어붓기 이음새에 촉 또는 홈을 둔다.
•석재를 삽입하여 보강
•철근을 삽입하여 보강

콘크리트의 이어붓기에 있어 보 및 바닥판의 이음은 스팬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하며, 기둥은 슬래브 또는 기초의 윗면에 수평으로 하되, 이어붓기 자리를 될 수 있는 대로 적게하고, 수평의 이어붓기는 레이턴스의 모임을 막기 위하여 표면의 고인물을 제거한다.
이어붓기의 위치 및 수직, 수평 등 방향
•R.C 조의 일반적인 보 – 중앙, 수직
•R.C 조의 일반적인 기둥 – 기초판이나 바닥판, 수평
•중앙부에 작은보가 있는 바닥판
-작은보 나비의 2배 떨어진 위치, 수직
•아치 – 아치 축에 직각으로

부재의 이어치기
•수직 : 보, 슬래브, 벽
•수평 : 기둥, 벽
•축에 직각 : 아치

콘크리트 타설 이음부의 위치
•내력의 영향이 가장 작은 곳
•보, 바닥슬래브 및 지붕슬래브의 수직 타설이음부는 스팬의 중앙 부군에 주근과 직각 방향으로 설치
•기둥 및 벽의 수평 타설 이음부는 바닥슬래브, 보의 하단에 설치하거나 바닥슬래브, 보, 기초부의 상단에 설치한다.

콜드 조인트의 영향 및 방지대책
•영향
-일체화 저하로 강도저하, 크랙 발생증가, 누수발생, 부착력 저하, 전단력 저하의 우려가 있음
•방지대책
-야간을 이용한 타설, 연속타설을 계획
-시방서에 표시된 타설시간과 이어붓기시간 간격을 준수
-타설이음면의 레이턴스제거, 철근보강, 지수판시공 등 일체화에 유의

콘크리트 보양시 주의사항
•일광의 직사, 풍우, 상설에 대해 노출면 보호
•경화중에 있는 콘크리트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한다.
•한기에 대한 양생을 하며, 2℃ 이상 유지한다.
•부어 넣은 후 7일간 이상 살수 등으로 습윤상태를
유지한다.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방법
•습윤양생
•증기양생
•전기양생
•피막양생

탄산가스가 첡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강도저하
•내구성저하
•철근부식

콘크리트 줄눈의 종류

•(1)조절줄눈 Control Joint
: 콘크리트 경화시 수축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고
바닥판에서 발생하는 수평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
:벽과 슬래브 등 균열이 예상되는 위치에 인위적으로 약한 단면 결손부위를 만들어 타부분의 균열을
억제하는 역할
•(2)미끄럼줄눈
•(3)시공줄눈 Construction Joint
: 콘크리트를 한번에 계속하여 부어 나가지 못할 곳에 생기게 되는 계획된 줄눈
•(4)신축줄눈 Expansion Joint
: 건축물의 온도에 의한 신축팽창, 부동침하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물의 전체적인 불규칙 균열을
한곳에 집중시키도록 설계 및 시공시 고려되는 줄눈
•지연줄눈 Delay Joint
: 경화되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건조수축균열 감소를
목적으로 구조체 일부를 남겨두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초기 건조수축이 끝난 후 나머지 부분을 타설할
때 설치되는 줄눈
: 장 스팬의 구조물에 신축줄눈을 설치하지 않고,
건조 수축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설치
•콜드조인트 Cold Joint
: 콘크리트 시공과정 중 휴식시간 등으로 응결하기
시작한 콘크리트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이어칠 때
일체화가 저해되어 생기게 되는 줄눈

콘크리트 공사의 일정계획에 영향을 주는 요소
•콘크리트 제조 : 재료의 입수, 저장, 운반조달계획
•콘크리트 운반 : 운반설비, 물량 공급여부
•콘크리트 타설 : 타설장비, 가설계획
•콘크리트 양생 : 양생계획, 천후

염해
•콘크리트 속의 염분이나 대기 중 염화물이온의
침입으로 철근이 부식되어 콘크리트 구조체에 손상을 주는 현상으로 내구성이 저하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균별발생 및 철근이 녹스는 이유
•과다하중
•소요단면부족
•불량시공
•양생불량
•콘크리트 건조수축
•알카리 골재반응
•콜드 조인트 처리미숙

콘크리트 타설후 재료에 의한 균열발생 원인
•알카리골재 반응에 의한 균열
•물의 과다 사용으로 블리딩 현상에 의한 침강균열
•시멘트 과다사용에 의한 수화열 균열
•강재부식에 의한 팽창균열

콘크리트 균열의 원인
•재료상
-시멘트 과다사용
-강재부식에 의한 팽창균열
-알카리 골재반응성 골재 사용
•시공상
-비빔불량, 급속타설
-경화전 진동, 충격, 재하
-양생불량

콘크리트 균열의 원인
•침하균열
-타설 후 블리딩 현상에 의해 콘크리트가 침하할 때 주로 철근을 따라서 표면에 발생하는 초기균열.
•레미콘에 의해 생길 수 있는 균열원인
-시공연도 증가를 위해 사용된 물의 과다사용
-장시간 운반에 따른 재료 분리
-혼화제 과다 사용에 의한 균열

물시멘트비(W/C 비)
•부어넣기 직후의 몰탈 또는 콘크리트에 포함된
시멘트풀 속의 시멘트에 대한 물의 중량 백분율

중성화
•대기중의 타산가스의 작용으로 콘크리트내의
수산화칼슘이 탄산칼슘으로 변하면서 알카리성을
소실하는 현상
•반응식
Ca(OH)₂ + CO₂ = CaCO₃ + H₂O

 


콘크리트 중성화 저감대책
•물시멘트 비를 낮춘다.
•AE제, AE감수제, 유동화제 등 중성화 억제 혼하제를 사용
•경량골재 사용을 금하고, 피복두께를 증가시킨다.
•중용열 시멘트와 혼합시멘트 사용을 금지

알카리 골재반응
•시멘트의 알카리 금속이온과 수산화이온이 실리카 사이에서 실리카 겔이 형성되어 수분을 계속 흡수
팽창하는 현상으로 균열발생, 조직붕괴현상을 일으킴
•대책
-저알카리 시멘트 사용
-플라이애쉬 사용
-방수제를 사용, 수분을 억제

콘크리트의 온도균열을 제어하는 방법
•Pre-Cooling
-콘크리트 재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냉각시키거나,
냉각수 등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
•Pipe-Cooling
-콘크리트 타설전에 파이프를 배관하고 파이프 내로 냉각수나 찬 공기를 순환시켜 콘크리트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

보호(양생)
•콘크리트를 타설 후 수화작용을 충분히 발휘시킴과
동시에 건조 및 이력에 의한 균열 발생을 예방하고 오손, 변형, 파손 등으로부터 콘크리트를 보호하는 것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발생시 보강방법
•강판접착공법
•앵카접착공법
•탄소섬유판 접착공법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에서 파괴양상
•고강도 콘크리트 : 취성파괴
•저강도 콘크리트 : 연성파괴
•일반 콘크리트 : 탄성파괴

콘크리트 균열보수법
•표면처리법
: 보통 진행 정지된 0.2mm이하의 미세 균열에
폴리머시멘트나 모르타르로 보수하는 방법
•주입공법
: 주입구멍을 천공하고 주입 파이프를 5~30cm
간격으로 설치하여 깊이 20mm정도로 저점도의
에폭시 수지를 밀봉재로 주입하는 공법
건축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정기적이 검사방법
•초기정검
•정기점검
•정밀점검
•정밀안전진단
•긴급점검

한중(기)콘크리트
•동결의 위험이 있는 기간 내에 시공하는 콘크리트로 극한기에서는 재료를 가열해서 사용하고, 초기강도 5MPa 이상까지는 반드시 양생하고 물시멘트비는 60%, 동결융해 피해 보호를 위해 AE제를 사용하며, 조강시멘트를 사용한다.
•수화반응이 지연되어 콘크리트의 응결 및 강도발현이 늦어진다.
•일평균 기온이 4℃ 이하의 동결위험이 있는 기간에 타설하는 콘크리트
•한중(기)콘크리트 문제점 대책
-AE제 사용
-보온양생
-물시멘트비를 60%이하로 유지

가열재료를 믹서에 투입하는 순서
•골재 – 물 – 시멘트
*투입직전의 믹서내의 온도는 40℃ 이하로 하고,
부어넣은 콘크리트의 온도ᅟᅳᆫ 10~20℃ 정도로 한다.

한중콘크리트의 보온양생방법
•단열보온양생
•가열보온양생
•피복보온양생

•한중콘크리트에서는 초기강도발현이 늦어지므로
적산온도를 이용하여 거푸집의 해체시기, 콘크리트
양생기간 등을 검토한다.
•양생온도가 달라져도 그 적산온도가 같으면
콘크리트의 강도는 비슷하다고 본다.

서중콘크리트 적용 시기
•일평균기온이 25℃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일
최고온도가 30℃를 초과하는 경우 적용
•슬럼프 로스가 증대하고, 슬럼프가 저하하고 동일
슬럼프를 얻기 위해 단위수량이 증가한다.

서중코크리트 문제점 대책
•AE제 감수제의 사용
•사용재료의 온도 상승방지
•중용열 시멘트의 사용
•운반, 타설시간의 단축방안 강구
서중콘크리트 사용시 발생하는 문제점
•단위수량의 증가로 인한 내수성, 수밀성 저하
•슬럼프 저하 발생으로 충전성 불량, 표면마감불량발생
•초기발열증대에 따른 온도균열발생
•초기에 급격한 수화반응으로 콜드조인트가 쉽게 발생
•초기의 급격한 수분증발로 플라스틱균열 발생,
장기강도 저하

경량콘크리트의 장점
•내화성이 크다.
•열전도율이 작고 단열성능이 크다.
•가볍다

경량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
•주재료
-천연경량골재
-인공경량골재
•혼화재료
-기포제
-발포제

ALC의 특징
•중량이 가벼움
•내화성능이 우수
•단열, 차음성능이 우수
•흡수성이 큼

고성능 콘크리트의 특성에 따른 콘크리트
•고강도 콘크리트
•고내구성 콘크리트
•고유동성 콘크리트

프리텐션 방식
•강현재에 인장력을 가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경화 후 단부에서 인장력을 풀어주어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가한다.

포스트텐션 방식
•쉬드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경화시킨 뒤 쉬드 구멍에
강현재를 삽입, 긴장시키고, 시멘트 페이스트로
그라우팅 한 후 인장력을 풀어준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강재(강선,
강연선, 강봉)를 긴장재라고 총칭하며, 포스트텐션
방식에는 PC강재의 삽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타설 전 미리 매립하는 관(튜브)을 쉬드라고
한다.


포스트텐션공법은 PC강재도관 설치후 – 콘크리트
타설 – 콘크리트 경화 후 강재를 삽입하여 긴장,
정착 후 그라우팅하여 완성시키는 방법

포스트텐션(Post Tension)공법 순서
•시이드 설치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 경화
•강현재 삽입
•강현재 긴장
•강현재 고정
•그라우팅
*기타 순서
•PC강재 도관 설치
•콘크리트 타설
•PC강재 긴장
•PC강재와 콘크리트를 접합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

프리텐션(Pre Tension)공법 순서
•PC강재 긴장
•콘크리트 타설
•PC강재와 콘크리트를 접합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

그라우팅(Grouting)
•포스트텐션 방식에 있어서 PC강재와 콘크리트
사이에 부착력을 주기 위하여 관내에 모르타르를
충전하는 것을 말한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정착구의 정착공법
•쐐기식 정착방식
•나사식 정착방식
•루프식 정착방식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긴장재
•PC 강선
•PC 강봉
•PC 강연선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 방지대책
•중용열시멘트 사용
•pro-cooling 방법 사용
•단위시멘트량 감소

레디 믹스트 콘크리트의 장점
•현장에서 콘크리트 비빔장소가 불필요
•공사추진이 정확
•품질이 균일하고, 우수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 저감 대책
•단위시멘트 사용량을 가능한 작게한다.
•수화열이 낮은 시멘트를 사용
•프리쿨링, 파이프 쿨링 등에 의해 온도제어
•골재나 물을 냉각시켜 사용
•굵은 골재 치수를 크게 하고, 잔골재율을 작게 한다.

제물치장콘크리트
•콘크리트면에 미장 등을 하지 않고, 직접 노출시켜
마무리한 콘크리트

매스콘크리트
•부재 단면치수 80cm이상, 콘크리트 내외부 온도차가
25℃ 이상으로 예상되는 콘크리트
•수화열이 내부에 축적되어 콘크리트 온도가 상승하고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고강도콘크리트
•콘크리트 설계 기준 강도가 일반 40MPa 이상,
경량콘크리트는 27MPa 이상인 콘크리트

유동화 콘크리트
•슬럼프의 경시변화가 보통 콘크리트보다 커서
여름에는 30분, 겨울에는 1시간 정도에서 베이스
콘크리트의 슬럼프로 되돌아오는 경우도 있다.

레드믹스트 콘크리트
•콘크리트 제조설비를 갖춘 전문공장으로부터
구입자가 배달지점의 품질을 지시하여 구입할 수
있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

쉬링크(슈링크) 믹스트 콘크리트
•공장 고정믹서에서 반비빈 것을 트럭믹서에 실어
운반 중에 완전히 비벼서 공급하는 레미콘

트랜시트 믹스트 콘크리트
•트럭믹서에 모든 재료가 공급되어 운반 도중에 비벼
지는 것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
•믹싱 플랜트 고정믹서로 비빔이 완료된 것을
에지테이터 크럭으로 운반하는 것

Remicon(20-30-150)
•20 : 굵은골재 최대 크기 20mm
•30 : 콘크리트의 호칭강도 30MPa
•150 : 슬럼프 값 150mm


레드믹스콘크리트의 현장 품질관리 항목
•슬럼프 시험
•공기량 시험
•강도시험
•용적시험
•단위용적중량 시험
•염분함유량 시험
•시멘트의 알카리량

중량콘크리트
•골재는 중저억, 자철광 등 비중이 큰 골재를 사용하며 물시멘트비 60%이하 슬럼프 값 15cm이하,
단위 시멘트량 300~350kg/㎥로 하며 시멘트는 주로 중용열 시멘트를 사용하고 1회 타설높이를 30cm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용도 : 방사선 차단
•사용골재 : 중정석, 철광석

KS F 4009 규정에 의하면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보통 콘크리트의 경우 4.5%이며, 경량
콘크리트의 경우 5.0%로 하되 공기량의 허용오차는
±1.5%로 한다.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강도는 1회 또는 3회 시험
결과에 의하여 검사 로트의 합격여부가 결정되며,
시험횟수는 150㎥마다 1회로 규정되어 있으며, 보통
1검사 로트는 450㎥정도 이다.

차폐용 콘크리트
•방사선차폐용으로 중량 2.5t/㎥이상의 콘크리트로써,
원자로 관련시설이나 의료용 조사실에 쓰인다.

코너비드
•기둥, 벽 등의 모서리에 대어 미장 바름을 보호하는 철물

프리팩트 콘크리트
•거푸집안에 굵은 골재를 채운 후, 그 공극에
특수 몰탈을 주입하여 만드는 콘크리트 지수벽,
수중콘크리트, 보수공사, 기초파일 등에 사용된다.

제물치장 콘크리트의 시공목적
•모양의 간소함을 탐미한다.
•고강도 콘크리트 추구
•이장재의 절약과 마감의 다양성 추구
•공사내용을 단일화하여 경제성 추구

서모콘
•콘크리트 제작시 골재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 물,
시멘트, 발포제만으로 만든 경량 콘크리트
진공콘크리트
•콘크리트 타설직후에 매트, 진공펌프 등을 이용해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 중수화 작용에 필요한 최소량을 제외한 수분을 제거하여 밀실한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방법
•콘크리트를 타설한 직후 매트를 씌운 다음 진공장치로 잉여수를 제거 하면서 다짐하여 초기강도를 크게 한 콘크리트

압입공법
•PC제품이나 내진보강벽 등 폐쇄공간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콘크리트 펌프 등의 압송기계에 연결된 배관을 구조체 하부의 거푸집에 설치된 압입부에
직접연결해서 유동성 있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

숏크리트의 종류
•시멘트 건
•본 닥터
•제트 크리트
•건 나이트

콘크리트의 휨강도, 전단강도, 인장강도, 균열저항성,
인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단섬유상 재료를 균등히
분산시켜 제조한 콘크리트를 섬유보강 콘크리트라
하며, 사용되느 섬유질 재료는 합성섬유, 강섬유,
유리섬유 등이 있다.

섬유보강 콘크리트에서 사용되는 섬유의 종류
•강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천염섬유

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의 특징
•워커빌리티가 우수
•다른 재료와의 접착력이 우수
•휨강도, 인장강도 및 신장성능이 증대
•내충격성이 우수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큼
•내화성능이 저하
•내식성, 내수성, 내마모성이 우수

온도조절 철근 배근목적
•온도변화와 콘크리트 수축에 의한 균열을 줄이기
위하여 배근하는 보강철근

블리딩
•아직 궅지 않은 시멘트풀, 몰탈 및 콘크리트에서 물이
윗면에 스며 오르는 현상
인트랩트 에어
•일반 콘크리트에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부정형의
상호연속된 기포로 1~2%정도 함유하게 된다.

인트레인드 에어
•AE제에 의하여 발생하는 독립된 균질한 미세 기포로
볼베어링 역할을 하여 시공연도를 증진시킨다.

모세관 공극
•수화된 시멘트풀 가운데 시멘트나 수화생성물으로
채워지지 않는 빈부분을 말한다.

경화 콘크리트 내부의 크기순서
•겔공극<모세관공극<엔트레인드 에어<엔트랩트 에어

배쳐 플랜트
•물, 시멘트, 골재 등을 정확하고 능률적으로 자동
중량 계량하고 혼합하여 주는 콘크리트 생산, 기계설비

다시비빔
•상당한 시간이 경과되거나 재료분리가 일어난 경우
아직 엉기지 아니한 콘크리트를 다시 비벼 쓰는 것

되비빔
•콘크리트 응결이 시작된 것을 다시 비벼 쓰는 것

슬럼프 손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반줄질기가
감소하는 현상으로 콘크리트 혼합물에서 수화작용,
증발 등으로 자유수가 감소함에 따라 발생

크리프 현상
•콘크리트에 일정하중을 계속주면 하중의 증가없이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형이 증가하는 소성변형 현상

트레미관
•수중 코크리트 타설시 많이 쓰이는 안지름 25~30cm 정도의 콘크리트 타설용 철관으로 재료분리르 방지
•니수액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끝이 항상 닫혀 있는 25cm 관

슬럼프 콘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을 할 때 사용되는 높이 30cm, 하단 안지름 20cm, 상단 안지름 10cm의
원추형 철제통

에어 미터
•콘크리트 시공중 공기량 측정기구

오픈타임
•타임붙임 몰탈의 기본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는
한계의 시간

바라이트 모르타르
•방사선 차폐용 모르타르
•바라이트 분말에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하여 만듦

진공매트
•진공코크리트에서 타설 직후의 콘크리트 표면에 씌워 과잉수 제거 및 표면을 동시에 다짐으로써 초기강도를 증가시킬 때 사용되는 기구

리그노이드 스톤
•마그네시아 시멘트에 콜크, 안료 등을 가하여 혼합한
바닥 미장 재료

스팻터
•가스절단이나 용접시 비사하는 물질이 금속표면에 경화된 것

캐스트 스톤
•인조석 잔다듬 이라고도 하며, 인조석을 바름 후
경화시켜 정으로 잔다듬하여 마무리한 것

헛응결
•가수한 시멘트풀이 10~20분 내에 발열하지 않고 퍽 굳어졌다가 이후 순조롭게 경화가 진행되는 현상

가이드 월
•지하연속벽 시공시 굴착작업에 앞서 굴착구 양측에 설치하는 것으로 굴착구 인접지반의 붕락을 방지하고 굴착기계의 진입을 유도하는 가설벽

가스압접
•철근의 단면을 산소-아ㅔ틸렌 불꽃 등을 사용하여 가열하고,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맞댄이음 하는 것

맴브레인 방수공법
•불투수성 피막을 형성하여 방수하는 공사를 총칭하며, 아스팔트 방수층, 시트 방수 및 도막방수가 여기에 해당

AE감수제
•단위수량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미세기포를 연행하여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혼화제

 

보철근 배근순서
•상부철근배근
•늑근배근
•스페이서 설치
•보 하부근 배근

철근이음은 한곳에 집중시키지 말아야하며 벽 기둥의 이음은 2/3h(높이)하부에서 반을 엇갈리게 한다.
압접이나 용접시에도 압접중심선 간격이 40cm정도는 서로 이격시켜 엇갈리게 한다.

철근콘크리트 공사시 주로 사용되는 철근의 종류는 SD400, SD500, SD600 철근이 사용된다. 철근을 나타내는 숫자 400, 500, 600은 철근의 항복강도를
나타낸다. Fy=400, 500, 600MPa

철근의 기계적이음
•연결재를 사용한 철근 이음 방법
•Sleeve를 이용한 것과 Coupler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Additional Bar
•가외철근을 말하며 개구부, 모서리 매립철물 등의
주변에 배근되는 보강근

초고강도 철근인 SD600 철근을 시공할 경우 장점
•과밀배근 억제
•작업능률 향상
•공기단축
•시공품질 향상

표준양생
•20±3℃의 수중 또는 습도 100% 가까운 습윤상태에서 행하는 양생

콘크리트의 적산온도
•콘크리트의 강도를 재령과 온도의 함수로 표시
•양생기간 * 온도를 총 합산한 값

가스압접부의 검사방법
•외관검사 : 작업완료 후 전부
•초음파 탐사법 : 하루 시공분 중 20개소 이상
시험불합격 2개소이면 하루
시공분 전체 불합격
•인장 시험법 : 하루 시공분 중 3개이상 시험불합격
2개소이면 하루 시공분 전체 불합격

 


슬라이딩 폼 장점
•연속타설로 콘크리트의 일체성 확보
•내외부 비계, 발판 불필요
•공기단축 효과가 있음

콘크리트 공사 시 거푸집과 동바리가 받는 하중은
연직하중, 수평하중, 콘크리트 측압 및 특수하중이 있다. 이 중 동바리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은 고정하중의 2% 이상 또는 동바리 상단의 수평방향 단위 길이당 1.5kN/m 이상 중에서 큰 하중이 동바리 머리 부분에 수평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구조 설계한다.

혼화제(재)
•분산제 : AE제
•증량재 : 플라이애쉬
•방동제 : 염화칼슘
•착색제 : 카본블랙
•방청제 : 인산염

시멘트의 분말도가 클 경우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수화작용이 빠르고 응결이 촉진
•발열량이 커지고 초기강도가 증대
•시공연도가 향상
•조기경화에 따른 균열발생 우려

초기균열의 원인
•소성수축 균열
•침하균열
•온도균열
•시공중 균열

시공연도 측정방법
•슬럼프 시험
•플로우 시험
•구관입시험
•리몰딩 시험
•Vee-Bee 시험

콘크리트 재료시험
•압축강도 시험
•슬럼프 시험
-시험기구 : 슬럼프콘, 수밀평판, 다짐막대, 측정계기
•공기량 시험
•염화물 함유량 시험

콘크리트의 신축이음을 두는 가장 큰 이유
•온도변화, 건조수축, 기초의 부동침하 등으로 인한 균열방지

시멘트 재료시험 방법
•분말도 시험
-시험방법 : 표준체에 의한 방법
블레인 공기투과장치에 의한 방법
-시험기구 : 마노미터
-분말도 = Ss √T/Ts
-결과 : 2,800~3,600㎠/g
•안정성 시험
-시험방법 : 오토 클레이브 팽창도 시험
-팽창도 = ℓ2-ℓ1 / ℓ1 X 100(%)
-결과 : 0.8% 이하
•비중 시험
-시험기구 : 르샤틀리에 플라스크, 천평, 광유, 마른걸레
-비중 = W / V2-V1
-결과 : 3.10~3.20
•압축강도 시험
-시험기구 : 주문진사 표준사(표준모래)
-압축강도 = P / A
-결과 : 28일 압축강도 29MPa 이상
•응결시간 시험
-시험방법 : 비카장치, 길모어장치
-결과 : 응결시간 1~10시간
•오토 클레이브 팽창도 시험

물결합재비를 결정할 때 고려사항
•압축강도
•내구성
•수밀성
•균열저항성

Truck Agitator
•레미콘 중 슈링크 믹스트 콘크리트나 트랜시트 믹스트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트럭

Truck Mixer
•레미코 중 센트렐 믹스트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운반용 트럭으로 반죽완료된 콘크리트를 휘저으며 현장까지
운반한다.

신축줄눈을 설치하는 형식의 종류
•막힌줄눈
•트인줄눈
•맞댄줄눈
•침하줄눈

리탬핑
•콘크리트를 부어 넣은 후 침강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표면을 다지는 것

이어치기시간 한도는 외부기온이 25℃ 이상에서
2시간 이내, 25℃ 미만에서 2.5시간 이내로 하여야
시공불량을 막을 수 있다.
비빔에서 타설까지의 시간한계는 외부기온 25℃
이상에서 1.5시간 이내, 25℃ 미만에서 2시간 이내로 하여야 한다.

Settlement Joint
•신축줄눈의 일종으로 부동침하 등의 각종 침하가
예상되는 곳에 설치하여 구조체의 단면을 완전
분리하여 설치하는 침하줄눈

Slip Joint
•조적벽체와 콘크리트 슬래브가 접합되는 부분에서 접합을 방지하고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치된다.

Sliding Joint
•활동면 이음이라고도 하며 슬래브와 보가 단순지지일 경우 설치하는 수평방향의 미끄럼 줄눈

콘크리트 펌프 사용시 Plugging현상 이유
•골재칫수가 너무 크거나 입도 입형불량의 재료분리 현상일 때
•슬럼프 값이 너무 작을 때
•관경이 너무 작거나 관ㄹ가 너무 길 때
•대기시간 과다로 콘크리트가 경화되었을 때

레미콘 주문시 알려주어야 하는 사항
•주문수량
•콘크리트 강도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슬럼프 값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요인
•외적요인
-부동침하, 과적
-동결융해, 마모
•내적요인
-알카리골재 반응
-염해

내화콘크리트
•극히 단시간에 800~1,000℃ 정도의 고온에 견디는
콘크리트

시방서에서 규정한 철근콘크리트 슬럼프 값의 표준은
일반적인 경우 80~180mm이며, 단면이 큰 경우는 60~150mm이다 AE제의 공기량 기준은 4~6%정도 이다.
무근콘크리트의 슬럼프 값의 표준치는 50~180mm이다.

비킴먹
•기둥중심에서 1m 정도 떨어져 치는 먹줄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방식
•Bucket을 이용하여 ㅇㄴ반
•슈트에 의한 타설
•펌프를 이용한 타설
•콘크리트 타워에 의한 운반
•컨베이어에 의한 운반
•덤프트럭에 의한 운반
•카트에 의한 운반 타설

온도보호와 온도제어를 해야하는 콘크리트와 양생방법
•온도보호양생콘크리트
-한중콘크리트 : 가열, 보온양생
•온도제어 콘크리트
-서중 또는 매스콘크리트 : 파이프쿨링 양생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콘크리트가 하중을 받기 전에 미리 인장력 또는
압축응력을 주어 놓고, 실제 하중이 작용하면 일어난
인장응력과 균형을 이루도록 한 콘크리트

유동화 콘크리트
•건설현장에서 인부들이 시공이 어려워 레미콘에
물을 타서 시공을 하여 강도 및 내구성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사례가 있는데 이러한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개발된 콘크리트

폴리머 콘크리트의 종류
•레진 콘크리트
•폴리머 함침 콘크리트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구체공사 계획시 고려해야할 사항
•품질 정밀도의 확보
•경제성 추구
•안전성, 저공해성추구
•인력절감
•공기단축

친환경콘크리트의 종류
•재생골재 콘크리트
•포러스 콘크리트
•에코시멘트 콘크리트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단면 양측에서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철근의 정착방법
•매입길이에 의한 방법 : 이형철근
•표준갈고리에 의한 방법 : 봉강
•기계적 정착 : 용접 및 정착장치

시멘트 풍화현상
•시멘트의 비중이 감소
•응결시간이 지연
•조기강도가 작아짐
•강열 감량이 커짐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원인(시간적 손실)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콘크리트의 크리프 변형
•강재의 이완

포스트텐션 공법에서 사용하는 시드 내의 그라우팅 재료는 주로 팽창시멘트를 사용하며 물시멘트비는 45% 이하이다.

블리딩 현상이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수밀성 저하
•균열 증가, 내구성 저하
•콘크리트와 철근의 부착강도 저하

Honey Comb(곰보)의 정의 및 방지대책
•기둥이나 벽체의 하부, 창문틀 주변에서 나타나는
굵은 골재의 몰림 현상으로 일종의 재료분리 현상
•방지대책
-타설높이를 준수한다.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이나 철근에 직접 출동시키지 않도록 한다.
-1회 타설 높이를 작게하고 진동기를 과다하게 사용금지

장기적인 콘크리트의 대표적인 수축현상
•건조수축
•단산화 수축
•크리프 수축

콘크리트 균열 (화학적 균열)의 종류
•중성화에 의한 균열
•알카리 골재반응에 의한 균열
•염해에 의한 균열

 


탄소섬유보강공법의 장, 단점
•장점
-인장강도가 크다
-비중이 철의 1/5로 가볍다.
-내식성이 우수하다
•단점
-방향성이 있다
-접착제인 에폭시는 열에 약하다
-정밀한 면처리가 필요하다

슬럼프 값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반적인 경우 : 80~180mm
•건축공사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경우 : 180mm이하
•펌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시 : 150mm이상
•유동화 콘크리트의 경우 : 210mm이하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잔골재와 굵은골재는
체가름시험을 통하여 5mm체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25mm 또는 20mm 골재를 쓰며, 단면이
큰 경우에는 40mm 골재를 사용할 수 있다.

콘크리트의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슬라브 두께의 1/3, 개별철근, 다발철근 등의 최소 순간격에 3/4을
초과하면 안된다.

일평균 기온이 4℃ 이하는 한중 콘크리트 타설준비를 하며, 콘크리트 타설시 기온이 30℃를 넘으면
서중콘크리트로서의 여러 가지 성상이 현저해지므로 일평균 기온이 25℃이상일 때는 서중콘크리트
타설준비를 하는 것이 좋다.

콘크리트는 신속하게 운반하여 즉시 치고 다져야
하는데 비비기로부터 치기가 끝날 때까지 시간은
원칙적으로 대기온도가 25℃ 이상일 때는 1.5시간,
25℃이하일 때도 2시간을 넘어서는 안된다.

철골구조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형강
•C형강
•H형강
•I형강
•L형강
•T형강
•Z형강

게이지
•철골공사의 리벳접합시 리벳이 박힌 게이지라인과 게이지라인의 거리
일반적인 철골공사의 공장 가공 제작 순서
•공장도 작성
•원척도 작성
•본뜨기(형판뜨기)
•변형바로잡기
•금매김(금긋기)
•절단
•구멍뚫기
•가조립
•리벳치기
•검사
•녹막이칠
•운반

철골공사의 절단방법
•전단절단
•톱절단
•가스절단

철골부재의 송곳구멍뚫기를 실시하는 경우
•부재두께가 10mm를 초과할 때
•주철재인 경우
•유조, 수조인 경우(기밀성을 요할 때)

철골에 녹막이칠을 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부분
•조립에 의하여 밀착되는 부분
•고력 볼트 접합부의 마찰면
•용접부 양쪽 100mm이내의 부분

도장공사시 금속표면에 붙어있는 오염물을 닦아내는 도구 및 용제
•도구
-와이어 브러쉬
-사포
•용제
-휘발유
-벤젠
-솔벤트
-나프타

철골 운반시 조사 및 검토사항
•운반차의 용량
•길이제한
•수송중 장애물
•교량, 도로의 용량과 운반 제한사항

 

철골재 접합의 종류
•리벳접합
-주의사항
: 리벳지름에 따른 구멍 지름크기를 정확하게 뚫는다.
: 리벳치기시 가열온도는 800~1,100℃정도를 유지
: 리벳배치에 따른 간격, 게이지, 클리어런스, 그립
등을 지켜야 한다.
•용접접합
-주의사항
: 용접결함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 용접할 면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고장력 볼트 접합
-주의사항
: 고력볼트 접합면을 거칠게 해야한다.
: 조임에 의한 장력을 측정하여 표준 볼트장력이 얻어지게 한다.

머리모양에 따른 리벳종류
•둥근 리벳
•민 리벳
•평 리벳

리벳검사에서 다시치기 하여야하는 불량사항
•건들거리는 것
•머리모양이 틀린 것
•축선이 일치하지 않는 것
•균열이 있는 것
•강재간 틈이 발생된 것

리벳치기에 사용되는 공구
•죠 리벳터, 뉴매틱해머, 쇠메 : 리벳치기에 사용
•스냅 : 리벳 해머 끝에 끼워 리벳머리를 만드는데
쓰이는 공구
•리벳홀더 : 리벳머리를 받쳐주는 공구
•펀치, 드릴 : 리벳구멍 뚫을 때 사용되는 공구
•치핑해머, 리벳카터기 : 불량리벳 머리따내는 공구

너트풀림방지방법
•이중너트 사용
•너트를 용접
•Spring Washer를 사용
•콘크리트에 매립

고력볼트(마찰)접합
•철골구조의 여러 접합방식 중에서 부재를 접합할 때 접합부재 상호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응력을 전달시키는 접합방식


고장력볼트 중 특수형 볼트종류
•볼트축 전단형
: torque control 볼트로서 일정한 조임 토크치에서
볼트축이 절단
•너트 전단형
: 2겹의 특숴트를 이용한 것으로 일정한 조임
토크치에서 너트가 절단
•고장력그립 볼트식
: 일반 고장력볼트를 개량한 것으로 조임이 확실한
방식
•지압형 볼트식
: 직경보다 약간 작은 볼트구멍에 끼워 너트를
강하게 조이는 방식

맞댄(맞댐)용접접합, Groove 용접접합, Butt 용접접합
•접하는 두 부재 사이를 트이게 홈(Groove)을 만들고
그 사이에 용착금속을 채어 두 부재를 결합하는 용접 접합방식

T/S형 고력볼트의 시공순서
•핀테일 내측 소켓을 끼우고 렌치를 살짝 걸어
너트에 외측 소켓이 맞춰지도록 함
•렌치의 스위치를 켜 외측 소켓이 회전하며 볼트를 체결
•핀테일이 절단되었을 때 외측 소켓이 너트로부터
분리되도록 렌치를 잡아당김
•팁 레버를 잡아당겨 내측 소켓에 들어있는 핀테일을 제거

용접의 장점
•소음, 진동이 없다.
•중량 감소
•접합부 강성이 크다.
•일체성, 수밀성이 보장된다

고장력볼트조임의 장점
•접합부의 강성이 높다.
•노동력 절약, 공기단축
•마찰접합, 소음이 적다.
•화재, 재해의 위험이 적다
•피로강도가 높다.
•현장시공 설비가 간단
•불량부분 수정이 쉽다.

고력볼트 조임기기 및 조임검사 표준볼트의 수
•조임기기 : 임팩트렌치 or 토크렌치
•조임검사를 행하는 볼트의 수
-전체 볼트 수의 10% 이상 or rkr 볼트 군에 1개 이상

고장력볼트 F10T에서 10이 가르키는 의미
: 10tonf/㎠ or 1kN/㎟

철골공사 볼트의 마찰접합 및 인장접합
•설계볼트 장력과 표준볼트 장력
: 설계볼트 장력이란 고력볼트 내력 산정시 허용
전단력을 정하기 위한 고려 값이고, 표준볼트 장력은
설계볼트 장력에 10%를 할증한 것으로써 현장
시공시 조임 표준값으로 사용된다
•미끄럼계수의 확보를 위한 마찰면 처리방법
: 칠, 기름, 오물제거, 들뜬 녹은 와이어 브러쉬로
제거.
: 볼트지금 2배 이상의 녹, 흑피 등은 샌드블라스트 등으로 제거.
: 미끄럼계수가 0.5이상 확보되도록 표면처리

직류아크 용접
•일하기 쉽다.
•공장용접에 많이 쓰인다.

교류아크 용접
•고장이 적다.
•가격이 싸다.
•현장용접에 많이 쓰인다.

아크용접의 경우 용접봉 피복재의 역할
•용접시 가스가 용접아크 주위를 보호하며 산화, 질화 등 변질을 방지
•함유원소를 이온화해 아크를 안정시킴
•용착금속에 합금원소를 가함
•용융금속의 탈산, 정련을 함
•표면의 냉각, 응고 속도를 낮춘다.

필렛용접에서 유효용접길이는 실제 용접길이에서
유효목두께의 2배를 감한 것.


철골용접전 모재공자긍로 앞벌림 형태를 지칭하는 것
•H, I, J, K, U, V, X

용접자세 표현기호
•F : 하향자세 용접
•H : 수평자세 용접
•V : 수직자세 용접
•O : 상향자세 용접

철골접합에 접합방식이 혼용되어 있는 경우
내력계산에서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
•용접 > 고장력 볼트 = 리벳 > 일반볼트
용접의 각부 모양

•개선각
•목두께
•보강살두께(살올림두께)
•Root(Root 간격)

용접기호로써 알 수 있는 모든 사항

•병렬 단속 모살용접
•다리 길이는 13mm
•용접 길이는 50mm
•용접 피치는 150mm

용접부의 기호에 대해 기호의 수치를 모두 표기
제작 상세를 도시.

 

 

철골조 용접부위 상세
•스캘럽
•앤드탭
•뒷댐재

 

 

 

용접결함의 원인
•전류, 전압의 과대, 과소
•운봉속도의 과대, 과소
•용접봉의 습기
•트임새 각도 불량
•낮은 온도에서 용접
•구속법의 부적절한 자세 및 구속법
•모재의 청소불량

용접모양

•맞댄용접
•겹친 모살용접
•모서리 모살용접
•T형양면 모살용접
•단속 모살용접
•갓용접
•덧판용접
•양편 덧판용접
•산지용접

용접부 비파괴 시험방법
•방사선 투과시험
•초음파 탐상법
•자기분말 탐상법

용접결함 종류 중 과대전류에 의한 결함
•언더 컷
•크랙
•크레이터


용접부 검사항목
•용접 착수전
: 청소상태, 홈의 각도, 간격 및 치수, 부재의 밀착,
트임새모양, 모아대기법, 구속법
•용접 작업중
: 아크전압, 용접속도, 밑면파내기, 전류, 운봉, 용접봉
•용접 완료후
: 필렛의 크기, 균열․언더컷 유무, 침투수압, 외관판단
초음파검사, 절단검사

철골공사 현장시공 순서
•기초에 중심먹치기
•앵커볼트 묻기
•기초 윗면 고르기
•세우기
•가조립
•변형바로잡기
•정조립
•접합
•접합부 검사
•도장(칠작업)

용접접합 결함항목
•슬래그 감싸들기
-원인 : 용접속도가 너무 느림, 전류의 과소
-방지대책 : 용접속도를 상승시킴. 용접 전류 상승
-용접봉의 피복재 용해물인 회분이 용착금속 내에
혼입된 것
•언더 컷
-용접상부에 모재가 녹아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흠으로 남게 된 부분
•오버 랩
-용접금속과 모재가 융합되지 않고 단순히 겹쳐지는 것
•블로우 홀
-용융금속이 응고할 때 방출되었어야 할 가스가 남아서 생기는 용접부의 빈자리
-용접시 구상 또는 길죽하게 된 구멍이 용접부에
혼입되어진 결함
•용입불량
•크랙
•은정
•크레이터
-용접시 모재가 녹아 용접의 끝부분에 항아리 모양으로 움푹 들어간 용접 홈

앵커볼트 매립공법의 종류
•고정 매립 공법
•가동 매립 공법
•나중 매립 공법
철골세우기 공사순서
•앵커볼트매입
•세우기
•볼트 가조임
•변형바로잡기
•볼트 본조임
•현장리벳치기
•리벳검사

철골조 기둥공사 작업흐름도
•현장시공도 작성
•중심내기
•앵커볼트 매립
•기둥 밑바닥 레벨링 조정
•세우기기계 준비
(부재반입)
•세우기
•세우기 검사
•본접합
(도장)
•접합부의 검사
•완성

현장 철골 세우기용 기계의 종류
•가이데릭
•트럭 크레인
•스티프 레그 데릭
•타워 크레인

철골공사의 리벳접합 현장시공 순서
•기초 주각부 기타 심먹매김
•앵카볼트 설치
•기초상부 고름질
•철골세우기
•가조립
•변형 바로잡기
•정조립
•접합부 검사
•도장

철골 주각부 현장 시공 순서
•기초콘크리트 치기
•앵커볼트 정착
•기초 상부 고름질
•철골 세우기
•가조립
•변형 바로잡기
•철골 도장

철골세우기 시공순서
•기둥중심선 먹매김
•기초볼트 위치 재점검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 조정용 라이너 플레이트 고정
•기둥세우기
•주각부 모르타르 채움

루트(Root) : 맞댄용접에 있어 트임새 끝의 최소간격

현장시공을 위한 철골시공도에 삽입해야 할 중요사항
•주심, 벽심과 철골 주심과의 관계
•철골과 앵커볼트와의 관계
•기초와 앵커 볼트와의 관계
•각 부분 부재의 개체 중량

무수축 모르타르
•철골공사에서 베이스플레이트의 시공시 사용되는
충전재

크레인에 부착할 수 있는 장비
•기중기
•파일 드라이버
•크램 쉘
•드래그 라인
•디젤 해머

철골공사에서 기초 상부 고름질의 방법
•전면바름 마무리법
-1:2정도 된 비빔한 모르타르로 두께 3~5cm정도
지정높이대로 전체적으로 펴바르고 경화후 세우기
하는 방법
•나중채워넣기 중심바름법
-기둥 밑면 중심부에만 둥글게 지정높이만큼 1:1
모르타르로 바르고 세우기 후 나머지 모르타르를
채워넣는 방법
•전면 나중채워넣기법
-베이스 플레이트 4면에 레벨고정 너트나 라이너
플레이트 등 철판제 굄을 써서 높이를 맞추 후
모르타르는 완전히 나중에 채워넣는 방법
•나중채워 넣기 +자 바름법
-기둥에서 기둥대각선 방향으로 지정 높이만큼
모르타르를 바르고 세우기 후 나머지 모르타르를
채움하는 방법

철골공사에서 앵커볼트를 매입하는 공법은
고정매입공법과 가동매입공법이 있으며, 기초상부의 고름방법은 전면바름방법, 나중채워넣기 중심바름방법, 나중채워넣기 십자바름법, 전면 나중채워넣기 방법이
있다.
건설공사의 수직인양기구, 장비
•이동식크레인
-크롤러 크레인
-트럭 크레인
-유압식 크레인
•설치식 크레인 : 타워크레인
-스카이마스터
-스카이에스
•엘리베이터
•간이 리프트
•가이데릭
•스티브 레그 데릭
•진폴

뿜칠공법
•암면, 석면, 버미귤라이트 등 내화 피복재를 뿜칠로 시공하는 공법으로 단면형상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

현장타설공법
•강재주위에 콘크리트를 5cm이상 현장에서 타설하는
공법으로 강재와 일체화 시공이 가능

조적공법
•돌, 벽돌, 콘크리트 블록, 경량 콘크리트 블록 등을 강재 주변에 쌓는다.

미장공법
•철골부재에 철망을 부착한 후 모르타르나 펄라이트 모르타르 등을 바르는 공법

철골 내화피복 공법의 종류
•건식공법 : 내화단열이 우수한 경량의 성형판을
접착제나 연결철물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공법
•합성공법 : 이종재료를 적층하거나 이질재료의
접합으로 일체화하여 내화성능을
발휘하는 공법
•습식공법 :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등과 같이 물을
혼합한 재료를 타설 또는 미장 등의
방법으로 부착하여 내화성능을 발휘하는
공법
-뿜칠공법 : 석면
-미장공법 : 철망모르타르, 펄라이트모르타르
-타설공법 : 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
-조적공법 : 콘크리트블럭, ALC블럭, 벽돌
-성형판 붙임공법 : ALC판
-멤브레인 공법 : 암면


파이프 절단면 밀폐방법
•스피닝에 의한 방법
•가열하여 구형으로 가공
•원판, 반구형판을 용접
•관끝을 압착하여 용접밀폐 시키는 방법

경량형 강재
•장점
-휨강도, 좌굴강도가 크다
-단면의 효율이 좋다
-성형가공이 용이하다
•단점
-국부좌굴, 국부변형, 비틀림이 생기기 쉽다.
-허용하중이 작다
-방청에 주의해야 한다

드라이비트
•콘크리트, 철재 등에 특수못을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쳐 박는데 쓰는 기계

고력볼트 마찰접합
•강도가 큰 볼트를 임팩트 렌치나 토크 렌치로 강하게 조임으로써 두 접합재 상호간의 마찰력을 통하여
응력을 전달하는 접합


철골 주각부의 명칭

•Lattice Bar
•Web plate
•Base plate
•Wing plate
•Side angle
•Clip angle
•Anchor bolt

파이프 구조를 이용하 건축물의 장점
•폐쇄형 단면으로 강도의 방향성이 없다.
•휨강성, 비틀림 강성이 크다.
•국부좌굴, 가로좌굴에 유리하다.
•살두꼐가 적고 경량이다.
파이프 구조의 가공조립순서
•가공원척도 작성
•본뜨기
•금매김
•절단
•조립
•세우기

리벳치기를 하는 기준중심선을 게이지라인이라 하고,
리벳을 치는데 필요한 리벳과 수직재면사이의
여유거리를 클리어런스라 하며, 리벳으로 접합하는
판의 총 두께를 그립이라고 한다.

가조임 볼트 수는 전체 리벳수의 30% 정도를 하며
볼트를 조일 때는 임팩트렌치나 토크렌치를 사용한다.

볼트구멍을 뚫을 때 여유 허용치는 일반 볼트인 경우는
0.5mm 이하, 앵커볼트인 경우는 5mm 이하로 규정한다.

리벳용어
•게이지라인 : 한 열의 리벳주임을 통하는 선
•드리프트 핀 : 리벳구멍 주임을 맞추는 도구
•리이머 : 구멍 주위 가심질 도구
•뉴우매틱 해머 : 현장 리벳치기용 공구
•스프링 워셔 : 대용 볼트 조이기, 가볼트 조이기
•임팩트 렌치 : 고장력 볼트 조이기
•리벳홀더 : 리벳치기 공구의 일종으로 불에 달군
리벳을 판금의 구멍에 넣고 그 머리를
누르면서 받쳐주는 공구
•디스펜서 : AE제의 계량장치
•다이알게이지 : 종방향으 미세한 변형량을 시계형으로
확대시켜 정확한 침하량을 측정하는
기구로써 지내력 시험에 이용되는 기구

Stiff leg derrick
•층수가 적고 긴 평면에 유리

Tower Crane
•고층건물의 양중에 적합, 작업범위가 넓다.

Pole derrick
•소규모 철골공사에 적합

Guy derrick
•가장 많이 사용, 용량은 5~10ton 정도

Truck Crane
•이동이 용이하고 자주, 자립이 가능

샌드 브라스트
•콤프레샤를 이용 노즐에서 압축공기에 의하여
고속으로 뿜어대는 모래와 연마분을 사용하여
철골표면의 녹이나 밀스케일 등을 제거하는 방법

테이퍼스틸 뼈대
•기둥과 지붕틀을 붙여 만들어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기성 철골부재로 고력 볼트를 이용 접합

밀스케일
•압연강재가 냉각될 때 표면에 생기는 산화철의 표피

가스 가우징
•산소 아세틸렌 불꽃으로 홈을 판 후 모재의 홈
뒷부분을 깨끗하게 깍는 것

플럭스(Flux)
•자동용접시 용접봉의 피복재 역할을 하는 분말상
재료

철골용어
•가셋플레이트
: 철골구조의 기둥과 보, 트러스 절점 부위 등에
사용되는 부재접합, 연결용 강판을 말함
•쉬어커넥터
: 합성구조에서 양재간에 발생하는 전단력의 전달,
보강 및 일체성 확보를 위해 설치하는 연결재료
•데크플레이트
: 구조용 강판을 절곡해서 만든 바닥판 하부 거푸집 용도의 골철판
: 바닥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슬래브 하부 거푸집판
: 아연도 철판을 절곡하여 제작하며, 해체작업이
필요없음
: 작업시 안정성 강화 및 동바리 수량감소로
원가절감가능
•앤드탭
: 용접결함이 생기기 쉬운 용접 비드의 시작과
끝 지점에 용접을 하기 위해 용접 접합하는 모재의 양단에 부착하는 보조 강판
•스캘럽
: 철골부재 용접시 이음 및 접합부위의 용접선이
교차되어 재용접된 부위가 열영향을 받아
취약해지기 때문에 모재에 부채꼴 모양의 모따기를
한 것.
•와이어라스
: 철선을 꼬아 만든 철망
•메탈라스
: 얇은 철판에 자름금을 내어 당겨 늘린 것으로 벽,
천장의 미장 바름에 사용되는 철물
•메탈터치

:철골기둥의 이음부를 가공하여 상하부 기둥 밀착을
좋게하며 축력의 50%까지 하부기둥 밀착면에 직접
전달시키는 이음방법
: 절단 직각도의 오차 – 100mm에 0.1~0.2mm정도
•뒷댐재

: 한 면 맞댄용접시 용융금속이 녹아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루트 간격 하부에 대어주는 받침쇠
•와이어메쉬
: 연강 철선을 직교시켜 전기 용접한 것
•펀칭메탈
: 얇은 철판에 각종 모양을 도려낸 것
: 판두께 1.2mm 이하의 얇은 판에 각종 무늬의 구멍을
천공한 것으로 장식용, 라지에이터 커버 등에 사용되는 철물

칼럼 쇼트닝
•철골조의 초고층 건물축조시 발생되는 기둥의 축소, 변위현상
•발생이유
-내ㆍ외부 기둥 구조의 차이
-재질이나 응력의 차이
-하중의 차이
•영향
-기둥의 축소 변위 발생
-철골 구조재의 변형, 조립 불량 발생
-창호재의 변형, 조립 불량 발생

철골기둥재와 콘크리트와의 접합방식에 따른 주각부
형식의 종류
•노출주각
•보강주각
•매립주각

고력볼트 조임시 2차조임부의 검사방법
•토크 컨트롤법
•너트 회전법
•혼용법

보와 기둥의 모멘트 접합부 상세

•스티프너
•전단 플레이트
•하부 플랜지 플레이트

리벳치기시 불량리벳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기구
•리벳카터
•치핑해머
•드릴

브라켓형 접합
•기둥과 보의 절점 접합을 공장에서 직접 조립하고
현장에선 보 길이의 1/4지점에서 보 부재끼리
연결시키는 공법

융합부
•용접접합시 용착금속부와 모재가 완전 결합되는 부위

콘크리트 충전강관(CFT)
•원형 또는 각형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함으로써
강관이 콘크리트를 구속하는 특성에 의해 강성, 내력, 변형, 시공 등의 여러 면에서 뛰어난 특성을 발휘하는 공법
•장점
-에너지 흡수 능력이 뛰어나 초고층 구조물의 내진성 유리
-기둥 시공시 거푸집 불필요
-인건비절감 및 시공속도 향상
•단점
-강관의 공장, 제작 규격에 의해 선택에 제약
-보와 기둥의 연속접합 시공 곤란
-콘크리트의 충전성 품질검사 곤란

용접결함 육안검사 장비
•확대경
•반사경
•용접게이지
•마이크로메타
•금속제 직각자
•틈새 게이지
내하피복공법의 검사법
•미장 뿜칠공법의 경우 시공시 5㎡ 당 1개소로
두께를 확인하면서 시공하며, 측정빈도는 각 층마다
또는 1,500㎡마다 부위별로 1회씩 실시한다. 1회에
5개소의 샘플을 채취하여 두께를 측정한다.
•조적붙임 공법인 경우는 1,500㎡ 마다 부위별로
1회씩 실시하며 1회 3개소로 한다.
•모든 공법에서 연면적 1,500㎡ 미만 건물은 2회
이상 검사한다.

위빙의 목적
•용착나비의 증가
•열영향을 방지
•블로우홀의 방지

Honey Comb Beam
•보의 웨브 부분을 육각형 단면으로 잘라서 어긋나게 용접하여 보품을 높인 철골보
현수구조
•지붕, 바닥 등 건축물의 주요부분이 고장력 케이블에 의해 기둥, 내민보, 아치 구조 등에 지지된 형태의 구조

Mill Sheet
•철강제품의 품질보증을 위해 공인된 시험기관에서 인증한 제조업체의 품질보증서

층간변위
•구조체의 서로 상호 인접하는 상하 2층간의 상대
변위를 말하며, 어떤 부재를 기준으로 한타부재의 변위를 말한다.

TMCP 강재
•압연가공과정에서 열처리 공정을 동시에 실행하여 제조된 강재

철골공사에서 강재를 절단할 때 사용하는 기구
•앵클카터
•해크소
•프릭션소

철골공사 게획시 고려사항
•제작공장의 능력파악
•세우기 공법의 선정
•세우기용 장비
•수송ㆍ반입계획

대린벽
•조적조에서 벽체의 길이를 규제하기 위해 설정한
것으로 서로 마주 보는 벽
벽돌 종류 및 쌓기 두께별 개수

구분
0.5B
1.0B
1.5B
2.0B
기존형 벽돌
100
210
320
430
표준형 벽돌
90
190
290
390

1번 그림과 같은 용접지시에 의해 용접된 부재를
동일한 조건에서 전면다리 길이 6mm, 후면다리 길이 9mm로 하여 엇모용접으로 용접지시 기호 표시
(1)


철골 조립방법
•적층공법
•축세우기공법
•리프트 업 공법
•슬라이드 공법
•빠져나가기 방식
•윤렬세우기 방식
벽돌의 마름질 토막

•온장
•반절
•반격지
•반토막
•이오토막
•반반절

벽돌벽을 이중벽으로 공간쌓기 하는 목적
•방습
•방한
•방음

벽량
•조적조 건물에서 내력벽 길이의 합을 그 층의 바닥면적으로 나눈 값
•벽량(cm/㎡)=내력벽 길이의 합계(cm)/바닥면적(㎡)
헌치
•보의 응력은 일반적으로 기둥과 접합부 부근에서
크게 되어 단부의 응력에 맞는 단면으로 보 전체를 설계하면 현저하게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단부에만
단면적을 크게 하여 보강한 것

조적조 대린벽으로 구획된 벽길이는 10m 이하이어야 하며,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바닥면적은 80㎡
이하이어야 한다.

영식쌓기
•가장 튼튼한 쌓기 형식으로 내력벽에 이용되며 한 켜는 길이, 다음 켜는 마구리쌓기로 하며, 모서리 벽
끝에 이오토막 또는 반절을 마구리켜에 사용하여
통줄눈을 방지한다.

벽돌 쌓기의 종류
•영식 쌓기
•화란식 쌓기
•불식 쌓기
•미식 쌓기
•마구리 쌓기
•길이 쌓기
•내 쌓기
•공간 쌓기

벽돌쌓기 종류

•길이쌓기
•마구리쌓기
•옆세워쌓기
•길이세워쌓기

국가명칭이 들어간 벽돌쌓기 방법
•영식 쌓기
•화란식 쌓기
•불식 쌓기
•미식 쌓기

벽돌 쌓기
[A=길이, B=칠오토막, C=마구리, D=이오토막]
•영식 쌓기

C
D
C
C
C
C
C
C
C
A
A
A
A
C
D
C
C
C
C
C
C
C
A
A
A
A

•화란식 쌓기

B
A
A
A

C
C
C
C
C
C
C
C

B
A
A
A

C
C
C
C
C
C
C
C


•불식 쌓기

B
D
A
C
A

A
C
A
C
A

B
D
A
C
A

A
C
A
C
A

 

벽돌 벽면에 내쌓기 할 때는 두 켜씩 1/4B 내쌓고, 또는 한 켜씩 1/8B 내쌓기로 하고 맨 위는 두 켜
내쌓기로 한다.
이때, 내쌓기는 모두 마구리쌓기로 하는 것이 강도상, 시공상 유리하다.

창문틀 옆벽은 좌우에서 같이 벽돌을 쌓아 올라가며, 중간 60cm 내외의 간격으로 꺽쇠, 못 등을 박아가며 쌓고, 창대벽돌은 윗면과 수평하게 15도 내외로
경사지게 옆세워 쌓는다.
공간쌓기는 보통 5cm 정도 띄워서 쌓고, 1일 벽돌쌓기 높이는 보통 120cm 정도로 하고, 최고 150cm 이하로 한다.

목재 문틀이 조적조 벽체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하기 위한 보강방법
•창문틀 상하, 가로틀에 뿔을 내어 옆벽에 물려
쌓는다.
•창문틀 중간에 60cm간격으로 꺽쇠볼트, 대못으로
고정한다.
•긴결철물을 이용하여 옆벽에 물려 쌓기하고 사춤을 철저히 한다.

벽돌의 아치 쌓기는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아치 축선을 따라 압축력으로 작용하도록 하고, 아치 하부에는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때, 아치 쌓기의 모든 줄눈은 원호의 중심에 모이도록 한다.

세로규준틀 설치위치
•건물의 모서리(벽 끝)
•교차부

 

세로규준틀 기입사항
•개구부치수
•나무벽돌 위치
•쌓기단수 및 줄눈표시
•창문틀의 위치, 치수표시
•벽돌 켜수
•인방위치
•앵카볼트 및 매립철물 위치표시
•테두리보 설치위치 표시

아치의 형태

•결원아치
•평아치
•반원아치
•드롭아치

벽돌 및 블록 쌓기 순서
•접착면 청소
•물축이기
•규준쌓기
•중간부쌓기
•줄눈파기
•치장줄눈
•보양

치장 벽돌쌓기 순서
•청소
•물축이기
•건비빔
•세로규준틀 쌓기
•벽돌 나누기
•규준 벽돌
•수평실치기
•중간부 쌓기
•줄눈누름
•줄눈파기
•치장줄눈
•보양

창대쌓기
•창 밑에 돌 또는 벽돌을 15도 정도로 경사지게
옆세워 쌓는 방법
영롱쌓기
•벽돌벽 등에 장식적으로 구멍을 내어 쌓는 방법

세로 규준틀이 설치된 벽돌쌓기 순서
•벽돌면 청소
•벽돌 물 축이기
•재료 건비빔
•벽돌 나누기
•기준 쌓기
•중간부 쌓기
•줄눈누름
•줄눈파기
•치장줄눈
•보양

벽돌공사 모르타르 용적 배합비
•조적용 – 1 : 3 ~ 1 : 5
•아치용 – 1 : 2
•치장용 – 1 : 1

1일 벽돌쌓기 작업이 끝나면 치장벽면일 때는 그
벽면에 묻은 모르타르 등을 완전히 청소하고,
줄눈누름을 하고, 줄눈파기를 시공한 다음 1:1
모르타르로 치장줄눈을 시공하는데, 대부분 모양을
평줄눈을 가장 많이 시공한다.

조적공사 시공시 유의할 점
•한냉기 공사에서 모르타르 온도는 4~40도 이내가
되도록 유지
•벽돌 표면 온도는 영하 7도 이하가 되지 않도록 관리
•가로, 세로의 줄눈나비는 1cm를 표준으로 함
•모르타르용 모래는 5mm체를 100% 통과하는 적당한 입도일 것

벽돌의 치장줄눈 종류

 

 

벽돌벽 균열원인(주의사항)
•설계상 원인
-불균형 하중
-벽돌벽체의 강도부족
-기초의 부동침하
-평면, 입면의 불균형
-문꼴 크기의 불합리 및 불균형 배치
•시공상 원인
-재료의 신축성
-모르타르의 사춤 부족
-벽돌 및 모르타르의 강도부족
-이질재와의 접합부 불량시공

벽돌벽 백화현상
•몰탈에 있는 석회분이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만나
탄산석회로 누출되어 조적벽면이 하얗게 되는 현상
•발생원인
-줄눈 시공불량
-보양불량
-개구부, 창호재 접합부 시공불량
•방지대책
-줄눈시공시 방수제사용
-사춤철저
-시공후 표면에 실리콘 뿜칠
-우중 시공 철저히 금지
-소성이 잘된 벽돌 사용

조적 블록벽체의 습기, 빗물침투의 원인
•줄눈의 시공 불량 및 균열
•재료자체의 방수성 결여 및 보양불량
•물흠림, 물끊기, 비막이 미설치
•개구부 창호재 접합부의 시공불량

블록의 명칭

•기본블록
•반블록
•한마구리 평블록
•양마구리 블록
•창대블록
•인방블록
•창쌤블록
•가로배근용 블록
창대블록
•창문틀 밑에 쌓는 블록

인방블록
•문꼴 위에 쌓아 철근과 콘크리트를 다져 넣어
보강하는 U자형 블록

쌤 블록
•창문틀의 옆에 쌓는 블록

속빈블록의 치수
•390 X 190 X 190
•390 X 190 X 150
•390 X 190 X 100

블록쌓기 시공도 기입사항
•블록의 종류, 블록 나누기
•모르타르 충진개소, 위치
•철근 가공상세, 철근배치, 이음의 위치, 방법
•매입 철물의 종류, 위치
•인방보, 테두리보의 위치
•배근상태

와이어 매쉬의 사용 목적
•벽체의 균열방지
•횡력, 편심하중의 영향방지
•벽체의 보강

보강 블록구조의 시공에서 사춤을 채워넣는 부위
•벽끝
•모서리, 교차부
•문꼴(개구부) 주위

보강 철근 콘크리트 블록조에서 세로근을 넣는 위치
•벽끝
•모서리, 교차부
•문꼴(개구부) 주위

블록공사에서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를 사춤하는 시공법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사춤하는 높이는 3켜
이내로 하고 이어부는 위치는 블록의 위면에서 5cm정도 밑에 둔다.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사춤할 때의 보강철근은 정확히 유지하여 이동변형이 없게 하고 피복두께는 2cm 이상으로 한다.

 


암석의 종류
•화성암 : 화강암, 현무암, 안산암
•수성암 : 점판암, 석회암
•변성암 : 대리석, 석면

거푸집 블록조의 콘크리트 부어넣기가 시공 및
구조적으로 불리한 점
•줄눈이 많아서 강도가 부족
•블록살 두께가 얇아 충분한 다짐이 곤란
•줄눈사이에 시멘트 풀이 흘러 곰보발생이 우려
•시공결과의 판단이 불명확하고 철근의 접착피복두께가 불안전

블록구조에서 인방보를 설치하는 방법
•인방용 블록인 경우는 좌우 벽면에 20cm이상 걸치고 철근을 40d이상 정착시키고, 사춤
•테두리보와 함께 현장에서 거푸집을 조립 한 후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와 일체로 하는 방법
•기성재 콘크리트 이방보인 경우 양끝을 블록벽체에
20cm이상 걸치고 철근으로 보강한 후 사춤하여 설치

조절줄눈을 두어야 하는 위치
•벽 높이가 변하는 곳
•벽 두께가 변하는 곳
•벽체와 기둥 및 붙임기둥의 접합부
•벽체와 기둥의 오목한 부분
•내력벽과 비내력벽의 접합부
•약한 기초의 상부벽

석재 사용상의 주의점
•석재는 균일제품을 사용하므로 공급계획, 물량게획을 잘 세운다
•석재는 중량이 크므로 치대치수는 운반상 문제를
고려하여 정한다
•휨, 인장강도가 약하므로 압축응력을 받는 곳에만
사용할 것
•1㎥이상 석재는 높은 곳에 사용하지 말 것
•내화가 필요한 경우는 열에 강한 석재를 사용할 것

석재의 가공 및 다듬기 순서, 사용되는 공구
•혹두기 – 쇠메사용
•정다듬 – 정사용
•도드락 다듬 – 도드락 망치
•잔다듬 – 외날, 양날 망치
•갈기 및 광내기 – 금강사, 숫돌

 

석재의 가공 검사의 요점
•마무리 치수의 정확도
•모서리의 직선, 직각 바르기
•면의 평활성
•다듬기 솜씨가 일정할 것

석재의 특수가공 공법
•분사법
-압축공기압력으로 모래를 분출시켜 면을 곱게하거나 반듯하게 다듬는 법, 마모가 심함
•화염분사법
-보통 톱으로 켜낸 돌면을 산소불로 굽고, 물을
끼얹어 돌표면의 엷은 껍질이 벗겨지게 한 다음
비교적 거친면으로 사용하는 마무리 법
•착색돌
-색소 안료를 석재의 침투성을 이용하여 내부까지
착색시키는 방법
-짙은색은 불가능하고 퇴색우려가 있음

돌붙임 시공순서
•돌나누기
•탕개줄 또는 연결철물설치
•돌붙이기
•모르타르 사춤
•치장줄눈
•보양
•청소

바닥돌 깔기의 경우 형식 및 문양에 따른 명칭
•잔돌원형깔기
•일자깔기
•우물마루식 깔기
•오늬무늬 깔기
•바둑판무늬 깔기
•마름모 깔기
•삿자리 깔기
•빗 깔기

아치의 종류
•본 아치
-아치 벽돌을 주문제작한 것을 이용한 아치
•막 만든 아치
-보통 벽돌을 쐐기모양으로 다듬어 만든 아치
•거친 아치
-보통 벽돌을 쓰고, 줄눈을 쐐기모양으로 만든 아치
•층두리 아치
-아치나비가 클 때에 아치를 겹으로 둘러 튼 아치


켜걸음 들여쌓기
•벽돌벽의 교차부에서 벽돌 한 켜 걸음으로
1/4~2/4B를 들여 쌓는 것.

층단 떼어쌓기
•긴 벽돌벽 쌓기의 경우 벽 중간 일부를 쌓지 못하게 될 때 점점 쌓는 길이를 줄여오는 방법

불식쌓기
•매켜마다 길이와 마구리가 번갈아 나오게 쌓는 방법

창대쌓기에서 일반적으로 윗면과 두는 경사각도 – 15°

엇모쌓기
•벽돌면에서 벽돌을 45° 각도로 시공하여 음영효과를 내기위한 치장쌓기 방식

축차충전공법
•조적벽체에서 2~3단 쌓기마다 모르타르를 충전하는 사춤공법

본드 빔
•조적벽체에서 벽체를 일체화하고 집중하중, 국부하중에 대한 벽체보강을 목적으로 한 수평근을 배근한 보

조적벽체에 테두리보의 역할
•분산된 벽체를 일체화
•집중하중을 균등 분사
•세로 철근을 정착
•지붕 슬래브의 하중을 보강

벽돌이나 블록을 쌓기 전에 수행되어야 할 작업
•보강 철물 설치
•설비 배관 설치
•앵커볼트 설치

테두리 보
•조적조 벽체를 일체화하고 연직하중 및 집중하중을 수평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한 조적조 상부에 설치한 철근콘크리트 보

인방보
•창ㆍ문꼴 등의 장기 처짐을 방지하고 상부하중을
균등하게 벽체에 전달하기 위한 문틀상부 보강보

돌붙임 공법의 종류
•습식공법
•건식공법

석재의 표면마무리 방법
•물갈기
•혹두기
•버너마감
•분사법
•Planer Finish

건식돌붙임공법에서 석재를 지지하는 방식
•앵글지지법
•앵글과 플레이트 지지법
•트러스 지지법

끝면을 잔다듬하는 모접기의 종류
•2모치기
•3모치기
•둥근모치기
•빗모치기

구조용 목재의 요구조건
•강도가 크고 직대재를 얻을 수 있을 것
•건조변형 수축성이 적을 것
•산출량이 많고 입수가 용이할 것
•잘 썩지 않고 충해에 저항이 클 것

목공사에 있어 목재의 단면을 표시한 지정치수는
특기가 없을 때는 구조재, 수장재 모두 제재치수로
하고, 창호재, 가구재는 마무리치수로 한다. 따라서
제재목의 실제치수는 톱날두께만큼 작아지고, 이를
다시 대패질 마무리하면 더욱 줄어든다. 제재목을
지정치수대로 한 것을 정치수라 한다.

목재의 섬유포화점
•생나무가 건조하여 함수율이 30%가 된 상태로서
이 점을 경계로 수축, 팽창, 강도의 변화가 현저해진다.

집성재
•두께 1.5~5cm 정도의 나무를 섬유평행 방향으로
몇 장, 몇 겹 접착하여 한 개로 한 것
•합성수지 접착제를 이용하여 큰 목재가 필요시 만듦
곡면재도 가능

목재의 난연처리 방법
•난연도료 도포법
•난연재료 주입법
•금속판을 붙이는 방법

 


목재는 건조수축하여 변형하고 연륜방향의 수축은
연륜의 직각방향에 약 2배가 된다. 또 수피부는
수심부보다 수축이 크다. 심재부는 조직이 경화되고, 변재부는 조직이 여리고 함수율도 크고 재질도
무르기 때문이다.

목재의 품질검사 항목
•목재의 평균나이테 간격, 함수율 및 비중측정방법
•목재의 수축율 시험방법
•목재의 흡수량 측정방법
•목재의 압축, 인장강도 시험방법
•갈라짐 시험
•충격, 휨 시험
•경도시험
•내후성시험
•마모시험
•크리프 시험

목재 방부 처리법
•도포법
: 방부제 칠이나 유성페인트, 아스팔트 재료 등을
칠하는 방법
•표면탄화법
: 목재 표면을 3~4mm정도 태워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
•침지법
•주입법
: 방부제를 상압주입이나 가압하여 깊게 주입하는 방법

목재 연결철물
•못
•볼트
•띠쇠
•듀벨

꺽쇠종류

•보통꺽쇠
•엇꺽쇠
•주걱꺽쇠

목재 접착제 내수성 큰 것부터 순서
•페놀수지
•요소수지
•아교

못의 종류

•보통 못
•플랫 못
•둥근머리 못
•거푸집 못
•양끝 못
•가시 못
•코오치 스크류

목재가공 먹매김의 명칭

•중심먹
•볼트구멍
•내다지끌구멍
•절단먹
•반내다지끌구멍

목재의 대패질 마무리에 사용되는 대패종류
•막대패
•중대패
•마무리대패

목공사 모접기의 종류
•실모접기
•둥근모접기
•쌍사모접기
•게눈모접기
•큰모접기

두부재의 접합부에 끼워 볼트와 같이 사용하는
것으로써 전단력에 견디기 위하여 사용되는 보강철물을 듀벨이라 한다. 못의 길이는 널 두께의 2.5배로 하고 목재의 두부재를 서로 경사 또는 직각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을 맞춤,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접하는 것을 이음이라 한다.

 


마루판 쪽매의 종류


마루널 쪽매의 명칭

•반턱쪽매
•틈막이쪽매
•딴혀쪽매
•오니쪽매
•제혀쪽매

목재 마루틀 설치 순서
•동바리 설치
•멍에
•장선
•마루널 깔기

목조 2층 마루 중 짠마루 시공순서
•큰보
•작은보
•장선
•마룻널

목조반자 시공순서
•달대받이
•반자돌림대
•반자틀받이
•반자틀
•달대

나무마루에는 바닥마루(1층마루)로서 동바리마루와
납작마루가 있고 층마루(2층마루)로서 장선마루,
보마루, 짠마루틀이 있다.


목조계단 설치 시공순서
•1층 멍에, 계단참, 2층 받이보
•계단옆판, 난간어미기둥
•디딤판, 챌판
•난간동자
•난간두겁

목수는 편수라고도 하며, 구조, 수장, 창고, 가구공으로 구분전담하고, 구조수장의 일을 하는 목수를 대목,
창호, 가구 등의 일을 하는 목수를 소목이라고 한다.
목수직의 책임자를 도편수라고 한다.

목구조 횡력 보강부재
•가새
•버팀대
•귀잡이

목재의 정척물
•1.8m – 6자
•2.7m - 9자
•3.6m – 12자

목재의 방향에 따른 수축율 순서
•촉박향(14%)
•지름방향(8%)
•축방향, 섬유방향(0.34%)
목재는 침엽수보다 활욥수 강도가 크다.
목재의 건조법에는 자연건조법, 수액제거법, 인공건조법 등이 있으며 인공건조법에는 대류법, 송풍법, 고주파법 등이 있다.
목재는 변재보다는 심재가 강도가 크다
목재의 방부제 주입법에는 상압주입법, 가압주입법, 생리적주입법 등이 있다.

목재 강도에 영향을 주는 목재의 흠
•목재의 흠
-옹이
-썩음
-갈램
-죽
-입피
•강도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흠
-옹이
-썩음
-갈램

 


목재용어
•이음 : 두 부재를 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접합한 것
•맞춤 : 두 부재를 서로 직각 또는 일정한 각도로
접합하는 것
•쪽매 : 두 부재를 길이 방향과 평행으로 옆대어
붙이는 것
•가새 : 4변형으로 짜여진 뼈대의 변형 방지를 위한
대각방향 보강재.
수평력에 의한 변형방지가 목적
•버팀대 : 가로재와 세로재가 만나는 안귀에 대는
보강재.
보와 기둥의 접합부분의 변형을 적게 함
•귀잡이 : 수평직교재의 각도변형을 막기 위하여
대어주는 짧은 수평사재
•모접기 : 나무나 석재의 모나 면을 깍아 밀어서
두드러지게 또는 오목하게하여 모양지게
하는 것
•연귀맞춤 : 모서리 구석 등에 표면 마구리가 보이지
않게 45°각도로 빗잘라 대는 맞춤
•통재기둥 : 목구조에서 밑층에서 윗층까지 1개의
부재로 된 기둥으로 5~7m정도의 길이로
타 부재의 설치기준이 되는 기둥
•오림목 : 제재목을 6cm X 6cm 각재로 제재한 목재
•듀벨 : 목재의 볼트접합시 접합부의 가성을 보강해주는
철물로써 주로 전단력에 저항하는 철물
•단척물 : 목재의 길이가 1.8m 미만인 것
•사정목 : 곧은결 목재 중 4면이 곧은결로 된 목재
장식용으로 이용
•마름질 : 목재를 소요치수로 자르는 것
•코오치 스크류 : 네모머리로 된 나사못으로 큰 응력이
걸리는 곳에 사용
•정두리 : 건물실내 벽면의 마무리와 구조가 다를 때
그 하부 벽면을 말하며 벽하부 1~1.5m
정도에 널을 댄 부분을 지칭하기도 한다.
•PCP : 유용성 방부제로써 무색이며 방부력이 가장
우수하다.
•코펜하겐리브
: 면적이 넓은 강당, 극장의 안벽에 음향조절이나
장식용으로 쓰기위해 자유곡선형 리브를 파 만든 것
•경화적층재
: 강화목재라고도 하며 합판의 단판에 페놀수지 등을
침투시켜서 고온, 고압으로 열압하여 만든다. 보통 목재의 3~4배 강도로 금속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허리 먹 : 창고공사와 천장공상시 기준이 되는 수평 먹

한식기와 잇기에서 산자위에서 펴 까는 진흙을
알매흙이라 하며, 수키와 처마 끝에 막새 대신에
회백토로 둥글게 바른 것을 아귀토라 한다.

목재를 이음, 맞춤할 때 주의사항
•재는 가급적 적게 깎아내어 부재가 약하게 되지
않도록 할 것.
•될 수 있는대로 응력이 적은 곳에서 접합하도록 한다.
•복잡한 형태를 피하고 되도록 간단한 방법을 쓴다.
•접합되는 부재의 접촉면 및 따낸 면은 잘 밀착시켜
응력이 균등하게 전달되게 한다.
•이음 및 맞춤의 단면은 응력의 방향에 직각되게
하여야 한다.
•적당한 철물을 써서 충분히 보강한다.

목재의 이음법
•맞댄이음
•겹친이음
•중복이음
•따내기 이음

목재의 위치에 따른 이음
•심이음
•내이음
•베게이음
•보아지이음

지붕이음재료의 요구사항
•수밀하고 내수적일 것
•경량이고 내구성이 클 것
•방화적이고 열차단성이 클 것
•내한적, 내풍적일 것
•외관이 미려하고 건물과 조화될 것
•시공이 용이하고 부분수리가 가능할 것

한식기와 잇기 시공순서
•산자엮어대기
•알매흙
•암기와
•홍두께흙
•숫기와
•차고막이
•부고
•암마루장
•숫마루장

골판잇기의 세로겹침은 보통 15cm정도로 하고, 가로 겹침은 큰 골판일 때 0.5골 이상, 작은 골판일 때
1.5골 이상으로 하고 중도리에 못박아댄다.
석면 슬레이트 골판잇기의 세로겹침은 지붕물매가 3/10~5/10일 때 10~15cm정도로 하고, 가로겹침은 큰 골판일 때 0.5골, 작은 골판일때는 1.5골 이상 겹치기로 한다.
각종 기와 명칭

•암기와
•숫기와
•착고
•부고
•암마루장
•숫마루장
•단골막이
•머거블
•용머리
•너새

금속기와의 설치순서
•경량철골설치
•펄인설치(지붕레벨고려)
•부식방지를 위한 철골용접부위의 방청도장 실시
•서까래 설치(방부처리 할 것)
•금속기와 사이즈에 맞는 간격으로 기와걸이
미송각재를 설치
•금속기와 설치

지붕면에서 지상으로 배수되는 일련의 과정
•처마홈통
•깔대기 홈통
•장식통
•선홈통
•보호관
•낙수받이돌

멤브레인 방수 공법
•아스팔트 방수
•시이트 방수
•도막 방수

합성고분자 방수공법
•도막방수
•시이트 방수
•시일재 방수

 


방수공법
•시이트 방수
-시공시 인건비가 많이 들며 방수효과는 보통이고
보호누름이 필요하다.
•시멘트 방수
-시공이 간단하며 비교적 저렴하게 시공할 수 있고
결함부의 발견이 용이하다.
•아스팔트 방수
-신장성과 내후성이 우수하고 보호누림이 필요하며,
결함부의 발견이 매우 어렵다.

아스팔트 방수와 시멘트 액체방수

구 분
아스팔트 방수
시멘트 액체방수
바탕처리
몰탈바름
불필요
외가영향
적다
직감적이다
방수층 신축성
크다
적다
균열발생
안생김
잘생김
시공용이도
번잡
용이
시공시일
길다
짧다
보호누름
필요
안해도 무방
공사비
비싸다
싸다
결함부발견
용이하지 않음
용이
보수범위
광범위
국부적
방수성능
신뢰할수 있다
신리성이 약하다


안방수와 바깥방수의 차이점

구분
안방수
바깥방수
사용환경
수압이 적고 얕은 지하실
수압이 크고 깊은 지하실
공사시기
자유롭다
본 공사에 선행
내수압성
작다
크다
바탕만들기
만들필요 없음
따로 만들어야함
공사용이성
간단하다
상당한 난점이 있다
경 제 성
비교적 싸다
비교적 고가이다
보호누름
필요하다
없어도 무방하다


안방수의 장, 단점
•장점
-시공 및 보수가 간단
-바탕을 따로 만들 필요가 없다.
-공사비가 저렴
•단점
-수압처리에 불리
-깊은 기초에 사용할 수 없음
-보호누림이 필요
바깥방수의 장, 단점
•장점
-수압처리에 유리
-수압이 크고 깊은 지하실에 사용
•단점
-시공이 복잡
-보수가 어려움
-공사비가 비싸다

바깥방수 시공법
(•잡석다짐)
•밑창콘크리트
•바닥방수층시공
•바탁콘크리트타설
•벽콘크리트
•외벽방수층시공
•보호누름벽돌쌓기
•되메우기

아스팔트방수 재료
•아스팔트 펠트
•아스팔트 루핑
•블로운 아스팔트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블로운 아스팔트의 대소
•침입도 : 스트레이트 > 블로운
•상온신장도 : 스트레이트 > 블로운
•부착력 : 스트레이트 > 블로운
•탄력성 : 스트레이트 < 블로운

옥상 8층 아스팔트 방수공사의 표준 시공순서
•아스팔트 프라이머
•아스팔트
•아스팔트 펠트
•아스팔트
•아스팔트 펠트(루핑)
•아스팔트
•아스팔트 펠트(루핑)
•아스팔트

콘크리트바탕으로부터 최상부마무리까지 방수시공순서
•바탕 모르타르 바름시공
•아스팔트 방수층 시공
•보호누름시공
•보호 모르타르 시공

 


시맨트 액체방수층 공정의 명칭
•방수액침투
•시멘트 풀
•방수액 침투
•시멘트 몰탈
•방수액침투
•시멘트 풀
•방수액 침투
•시멘트 몰탈

시이트방수 시공방법
•일반적으로 시이트재의 상호간의 이음은 겹친이음 또는 맞댄이음으로 하고, 각기 겹친나비는 5cm 이상,
10cm 이상이 필요하고, 충분히 압착해야 한다.
•접착 후 테이프로 보강하거나 시일재 등으로 충전하여 수밀하게 시공한다.

시이트 방수공법 시공순서
•바탕처리
(•단열재 깔기)
•프라이머칠
•접착제칠
•시이트붙임
(•보강붙이기)
(•조인트 실)
•보호층 설치(마무리)
(•물채우기 시험)

시트 방수재료 붙이는 방법
•온통 접착
•줄접착
•점접착
•들뜬접착
•갓접착

조적조 지상부 건축물의 외부벽면 방수방법
•시멘트 액체 방수
•수밀재 붙임 방법
•도막 방수 공법

실링 방수재의 주요 하자요인
•실링재 자신의 파단
•접착면과의 박리
•접합부나 줄눈 주위의 오염

실링방수제의 품질성능 요소
•접착성능
•내구성능
•비오염성능
방수층 표기
•A : 아스팔트 방수층
•M : 개량 아스팔트 방수층
•S : 합성고분자 시트 방수층
•L : 도막 방수층
•Pr : 보행 등에 견딜 수 있는 보호층이 필요한 방수층
•Mi : 최상층에 모래 붙은 루핑을 사용한 방수층
•Al : 바탕이 ALC패널용의 방수층
•Th : 방수층 사이에 단열재를 삽입한 방수층
•In : 실내용 방수층
•Ru : 합성고무계의 방수층
•Pl : 합성수지계의 방수층
•Ur : 우레탄 고무
•Ac : 아크릴고무
•Gu : 고무 아스팔트
•F : 바탕에 전면 밀착시키는 방법
•S : 바탕에 부부적으로 밀착시키는 방법
•T : 바탕과의 사이에 단열재를 삽입한 방수층
•M : 바탕과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방수층
•U : 지하에 적용하는 방수층
•W : 외벽에 적용하는 방수층

시이트 방수공법의 장, 단점
•장점
-제품의 규격화로 방수층 두께가 균일
-상온에서 시공하므로 시공이 빠르고 공기가 단축
-운반이 용이하고 재료의 신축성이 있음
•단점
-온도에 민감하여, 동정기나 하절기에 작업이 제한
-복잡한 시공부위에 작업이 곤란
-누수시 국부적인 보수가 곤란
-시트 상호간 이음부의 결함우려
-외상에 의한 파손 우려

도막방수
•도료상의 방수제를 바탕에 여러 번 도포하여 방수막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유제형, 용제형, 에폭시 계통 등이 있다.

시이트 방수
•합성고무계와 열가소성수지인 염화 비닐 등을 1개 시트로 하여 방수효과를 기대하는 공법으로 합성
고분자 루핑 방수라고도 한다.

지하실 안방수 공법의 시공순서
•구조체 완성
•방수층설치
•보호누름
•보호몰탈
멤브레인 방수층이란 불투수성 피막을 형성하여
방수하는 공사를 총칭하며, 아스팔트 방수법,
시이트 방수법, 도막 방수법이 여기에 해당된다.
방수를 도막재와 병용하여 방수층을 보강하는 재로로써 일반적으로 유리섬유제품이나 합성섬유 제품을 ㅏ용한다 이것은 라이닝 공법이라 한다.

아스팔트 방수공사 재료
•아스팔트 컴파운드
: 블로운 아스팔트에 동,식물성 기름과 광물성 분말을
혼합하여 성질을 개량한 최우량품의 아스팔트
•아스팔트 프라이머
: 아스팔트를 휘발성 제로 녹인 것으로 방수공사시
밑 도포하여 모재와 방수층의 부착을 좋게 함
•블로운 아스팔트
: 비교적 연화점이 높고 온도에 예민하지 않으므로
지붕방수에 주로 사용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신축이 좋고 접착력도 우수하지만 연화점이 낮아
주로 지하실 등에 사용

Bond Breaker
•U자형 부위에 시일재 충전시 3면 접착을 방지할
목적으로 붙이는 테이프

Back up 재료
•시일재 충전시 시일재를 절약하고 Bond Breaker역할을 할 목적으로 삽입하는 재료

시일링 재료의 시공단계
•피복면의 청소
•백업재 또는 본드브레이커 부착
•마스킹테이프 붙임
•프라이머 도포
•실링재의 충전
•주걱누름
•줄눈주위청소

실링방수
•프라이머 도포시 바탕면의 함수율은 7%이하로 하고
이물질이 없도록 한다.
•실링재의 양생온도는 5℃ 이상 30℃ 이하로 한다.
•마스킹 테이프를 제거하는 적정 각도는 40~60도
각도로 한다.

도막방수 재료
•유제형 도막방수
•용제형 도막방수

아스팔트 방수공법의 종류
•시공시 가열여부
-열공법
-냉공법
•방수층의 수
-적층공법
-단층공법
•모체와 방수층과의 접착정도
-접착공법
-절연공법

도막방수공법의 방수층 두께에 따른 시공법
•코팅공법 : 도막방수제를 단순히 도포만 하는 것
•라이닝 공법 : 유리섬유, 합서엄유 등의 망상포를
적층하여 도포하는 방법

도막방수 공사시 필요한 장비 및 도구
•고무주걱, 골밀대
•롤러
•뿜칠기계
•산소마스크
•액상재료 배합기계

아귀토
•숫기와 처마 끝에 막새 대신 회반죽이나 진흙으로 둥글게 바른 흙

와당
•내림새나 막새 끝에 새긴 무늬

거멀접기
•알미늄판, 함석판 등 지붕잇기 금속판에서 온도에
의한 신축의 결함을 없애기 위해 판 이음을 꺾어
접는 것을 말하며 한 번 또는 두 번 거멀접기를 주로 사용

아스팔트의 품질판정시 행하는 시험방법
•침입도 : 25℃, 100g, 4sec
•이황산탄소 가용분
•연화점
•감온비 : 0℃, 200g, 1min의 침입도에 대한
46℃, 50g, 5sec의 침입도의 비
•신도 : 다우스미스식 25℃
•비중
•가열감량
•인화점
•고정탄소함유량


지붕재료에 따른 물매
•한식기와(점토기와) : 4.5cm 물매
•금속판(아연판) : 2.5cm 물매
•석면슬레이트(대형) : 5cm 물매
•골슬레이트 : 3cm 물매
•아스팔트 루핑 : 3cm 물매

아스팔트 콤파운드의 침입도는 약 15도 정도이다.
아스팔트의 침입도와 연화점은 반비례의 관계에 있다.
한냉지에서는 침입도가 큰 것을 사용하고
온난지방에서는 연화점이 큰 것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처마홈통의 물매는 1/200이상이며 홈걸이 간격은 90cm 내외로 하며 선홈통은 윗통을 밑통에 5cm이상 꽂아 넣는다.

홈통공사 중 장식동의 사용 이유
•우수의 방향전환
•우수의 넘쳐흐름을 방지
•장식역할
•깔대기홈통과 선홈통의 연결

지붕공사에 사용되는 재료의 접합방법
•못접합
•핀접합
•용접접합
•볼트체결
•리벳팅
•열융착

빗물받이 자재의 종류
•물받이
•걸이쇠
•앨보
•물홈통
•물모임통
•선홈통 고정걸이

시멘트 모르타르 3회 바름하는 미장공사 시공순서
•바탕처리
•바탕청소
•재료비빔
•초벌바름 및 라스먹임
•초벌바름 방치시간
•고름질
•재벌바름
•정벌바름
•마무리
•보양

미장재료
•기경성
: 진흙, 회반죽,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아스팔트 모르타르
•수경성
: 시멘트 모르타르, 킨즈시멘트, 무수석고,
순석고 플라스터
•알카리성
: 회반죽,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시멘트 모르타르
•팽창성
: 마그네샤 시멘트, 석고 플라스터
•수축성
: 시멘트 모르타르, 진흙,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회반죽

미장공사시 1회의 바름두께는 바닥을 제외하고 6mm를
표준으로 한다. 바닥층 두께는 보통 24mm로 학 안벽은 18mm, 천장ㆍ채양을 15mm로 한다.

미장 바르기 순서는 위에서부터 아래의 순으로 한다. 즉, 실내는 천장, 벽, 바닥의 순으로 하고 외벽은 옥상난간에서부터 지층의 순으로 한다.

건축물 실내 3면의 시공순서
•천장 – 벽 – 바닥

여물
: 미장재료에 혼입하여 건조수축 균열방지에 사용되는 것으로 짚여물, 삼여물, 종이여물, 털여물 등이 있다.
: 강도의 보강, 균열ㆍ수축방지가 목적

해초풀
: 말린해초를 끓여 체에 걸른 것으로 부착이 잘 되게 하고 점성을 유지하며 보수성 유지, 바탕흡수를 방지
: 점성증진, 부착성개선, 보수성유지, 바탕의 흡수방지가 목적

미장공사 중 바닥바름의 시공순서
•청소 및 물씻기
•순시멘트풀 도포
•모르타르 바름
•규준대 밀기
•나무흙손 고름질
•쇠흙손 마감

각종 모르타르의 주요 용도
•아스팔트 모르타르 : 내산바닥용
•질석 모르타르 : 경량ㆍ단열용
•바라이트 모르타르 : 방사선차단용
•활석면 모르타르 : 보온ㆍ불연용
각종 모르타르의 용도
•경량구조용은 질석 모르타르, 방사선 차단용은
바라이트 모르타르, 보온불연용은 활석면 모르타르, 내산바닥용은 아스팔트 모르타르 등이 사용된다.

회반죽 미장의 시공순서
•바탕처리
•재료조정 및 반죽
•수염붙이기
•초벌바름
•고름질 및 덧먹임
•재벌바름
•정벌바름
•마무리 및 보양

테라죠 현장갈기(인조석물갈기) 시공순서
•황동줄눈대 설치
•테라죠 종석 바름
•양생 및 경화
•초벌갈기
•시멘트풀먹임
•정벌갈기
•왁스먹임

테라죠 현장갈기의 시공공정순서
•바탕처리
•줄눈대 대기
•바름
•양생
•갈기
•광내기

바닥 강화재의 형태에 따른 분류, 증진성능
•분류 : 분말형, 액상형 바닥강화제
•증진성능 : 내마모성 증진, 내화학성 증진
분진 방지성 증진

손질바름
•콘크리트, 콘크리트 블록 바탕에서 초벌바름 전에
마감두께를 균등하게 할 목적으로 모르타르 등으로 미리 요철을 조정하는 것

실러 바름
•바탕의 흡수 조정, 바름재와 바탕과의 접착력 증진 등을 위하여 합성수지 에멀션 희석액 등을 바탕에
바르는 것

 

타일의 종류
•소지 : 도기질, 석기질, 자기질 타일
•용도 : 내장타일, 바닥타일, 외장타일

면을 처리한 타일의 종류
•스크래치 타일
•태피스트리 타일
•천무늬 타일

타일붙이기의 줄눈나비
•대형 벽돌형(외부) : 9mm
•대형(내부 일반) : 6mm
•소형 : 3mm
•모자이크 : 2mm

외장타일에 발생할 수 있는 결점
•칫수, 형태 오차
•색조의 차이
•기포 혼입

타일공사에서의 오픈타임(open time)
•타일의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모르타르를 바르고 타일을 붙일 때까지 소요되는 붙임시간으로 보통
내장타일은 10분, 외장 타일은 20분 정도의 오픈타임을 갖는다.

타일의 탈락 원인
•붙임 모르타르의 접착강도 부족
•붙임시간의 불이행
•바탕재와 타일의 신축, 변형도 차이
•붙임 후 양생, 경화 불량
•모르타르 충전 불충분

벽타일 붙이기 시공순서
•바탕처리
•타일나누기
•벽타일붙임
•치장줄눈
•보양

붙이는 사용법에 따른 타일공법
•타일측에 붙임재를 바르는 공법
-떠붙임 공법
•바탕측에 붙임재를 바르는 공법
-압착공법
-밀착공법(동시줄눈공법)

 

벽타일 붙이기공법
•떠붙임공법
: 타일 뒷면에 붙임용 모르타르를 바르고 벽면의
아래에서 위로 붙여 가는 종래의 일반적인 공법
•압착공법
: 바탕면에 먼저 붙임 모르타르를 고르게 바르고 그 곳에 타일을 눌러 붙이는 공법
•개량압착공법
: 타일공사에서 압착붙임공법의 단점이 오픈타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공법
: 압착붙임공법과는 달리 타일에도 붙임모르타르를
바르므로 편차가 작은 양호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고
백화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 타일 붙임 공법
•밀착공법
: 바탕면에 붙임 모르타르를 발라 타일을 눌러 붙인 다음 충격공구로 타일면에 충격을 가하는 공법
•접착재 붙임공법

바탕처리
•요철 또는 변형이 심한 개소를 고르게 덧바르거나
깎아내어 마감두께가 균등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것.

덧먹임
•바르기의 접합부 또는 균열의 틈새, 구멍 등에
반죽된 재료를 밀어 넣어 때우는 것

회반죽에 사용되는 재료
•소석회
•모래
•여물
•해초풀

미장공사에서의 결합재
•소석회, 시멘트 플라스터 등 다른 미장재료를
결합하여 경화시키는 재료

미장공사에서의 혼화재
•결합재의 결점 즉, 수축, 균열, 점성 부족 등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

시멘트 모르타르 바름시 표면을 마무리하는 수법
•뿜칠마무리
•긁어내기
•흙손 마무리
•색 모르타르 입히기

 


테라죠(인조석)를 만드는 마무리방법
•물갈기
•씻어내기
•잔다듬

•시멘트 모르타르 바름두께는 바닥을 제외하고 6mm를 표준으로 하며 모르타르는 건비빔 후 3시간 이내에 사용하고 물반죽 후 1시간 이내에 사용한다.
•바닥타일 붙임 모르타르 깔기 면적은 6~8㎡를
표준으로 하며 하루 타일붙임 높이는 소형인 경우 1.2~1.5m, 대형타일인 경우 0.7~0.9m로 한다.
•타일의 치장줄눈 시공시 줄눈파기는 붙임 후 3시간 경과 후 하며 24시간 경과 후 치장줄눈 한다.

타일거푸집 선붙임공법
•공장에서 대형타일패널을 만들어 현장타설콘크리트와 일체화 시키기 위한 공법

밀착공법(동시줄눈공법)
•압착공법의 개선 방법으로써 타일의 입체감을 100% 발휘하며 접착력과 접착 편차가 적은 타일붙임 시공법

크링커 타일
•석기질 타일로써 바닥재로 쓰이는 타일

테라코타
•장식용, 구조용 점토제품으로 고온에서 소성한 것
•압축강도가 화강암의 1/2정도로 강하다.

거푸집면 타일 선붙임 공법
•타일시트법
•줄눈틀법
•줄눈대법

익스팬션 조인트 비드
•미장 면이 넓어 균열이 예상되는 부분에 사용되는 비드

타일공사의 줄눈 시공의 시간 기준은 내부타일의
경우 시공 24시간 경과한 후이며, 외부타일은 시공 후 48시간 경과 후이다.

건축마감재에서 나타나는 하자의 유형
•들뜸
•박락
•손상
•변색
•부풀음
•균열
단열 모르타르 바름 순서
•바탕처리
•프라이머 도포 및 접착 모르타르 바름
•보강재 설치
•초벌바름
•정벌바름
•보강 모르타르 바름
•보양

문의 명칭
•주름문
-문을 닫았을 때 창살처럼 되는 문으로 방법용으로 쓰임
•플러쉬문
-울거미를 짜고 중간 살간격 25cm 정도 배치하여
양면에 합판을 교착한 문
•징두리 양판문
-상부에 유리, 높이 1m 정도 하부에만 양판을 댄 문
•양판문
-울거미 중심에 넓은 널을 댄 문

창호용어
•박매 : 창문을 창문틀에 다는 일
•여밈대 : 미서기 또는 오르내리창이 서로 여며지는
선대
•마중대 : 미닫이 또는 여닫이 문짝이 서로 맞닿는
선대
•풍소란 : 창호가 닫아졌을 때 각종 선대 등이 접하는
부분에 트매가 나지 않도록 대어주는 것

강재 창호의 제작순서
•원척도
•녹떨기
•변형바로잡기
•금매김
•절단
•구부리기
•조립
•용접
•접합부 검사

용도별 창호
•방도용 – 주름문
•칸막이용 – 아코디온 도어
•현관 방풍용 - 회전문
•방화용 - 셔터
•현관용 일반 - 무테문


강재 창호 설치 시공순서
•현장반입
•변형바로잡기
•녹막이칠
•먹메김
•구멍파기, 따내기
•가설치 및 검사
•묻음발 고정
•창문틀 주위 사춤
•보양

성능에 따른 창호의 분류
•방화창호
•방음창호
•단열창호
•보통창호

알루미늄 창호
•비중이 철의 1/3정도로 가볍다.
•녹슬지 않고 사용연한이 길다.
•내식성이 강하고 착색이 가능하다.
•공작이 자유롭다

미서기창의 창호철물
•레일
•문바퀴
•오목손걸이
•꽂이쇠
•도아행거
•크레센트

창호-창호철물 연결
•미서기창 – 레일
•여닫이창 – 정첩
•자재여닫이 중량문 – 플로어 힌지
•회전문 – 지도리
•오르내리창 – 도르래

알루미늄 창호공사시 주의사항
•알카리에 약하므로 내 알카리성 도장 필요
•동일 재료의 창호철물 사용
•비교적 강도가 약하므로 취급시 주의

셔터시공시 설치부품명
•홈대
•셔터 케이스
•로우프 홈통 및 핸들상자


창호철물-문 연결
•플로어 힌지 –현관문
•피봇힌지 – 일반방화문
•레버토리 힌지 – 화장실문

건축 창호용 유리
•보통판유리
•갈은유리
•형판유리
•골판유리
•복층유리

망입유리
•방도용 또는 화재 기타 파손시에 산란을 방지하기 위해 철망을 삽입한 유리

피봇힌지
•문지도리로써 용수철을 쓰지 않고 문장부식으로 된 것

레버토리 힌지
•스프링 힌지의 일종으로 공중변소, 전화실 출입문에 쓰이며 저절로 닫혀 지지만 15cm정도 열려 있게 된 것

접합유리
•두 장 이상의 유리를 합성수지로 겹붙여 댄 것

안전유리
•접합유리
•강화유리
•망입유리

Low-E(로이)유리
•유리의 한쪽 표면에 얇은 은박을 입힌 일종의 열선 반사유리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음
•열선의 투과율이 낮음
•에너지 절약형 유리

복층유리
•2개의 판유리 중간에 건조공기를 봉입한 것
•단열, 방음, 결로방지 우수

배강도 유리
•유리를 연화점 이하로 가열 후 찬공기를 약하게
불어주어 냉각시켜 만든 건축용 유리

자외선 투과유리
•일광욕실, 병원, 요양소 등에 사용

자외선 차단유리
•진열창, 약품창고 등에서 노화와 퇴색방지에 사용

공사 현장에서 절단이 불가능 주문제작해야 하는 유리
•강화유리
•복층유리
•스테인드 글라스
•유리블록

SGS 공법
•건물의 창과 외벽을 구성하는 유리와 패널류를 구조 실런트를 사용하여 실내 측의 멀리온이나 프레임 등에 접합고정하는 공법
•검토사항
-풍압력
-온도 무브먼트
-지진에 대한검토
-유리중량검토

오르내리창의 창호철물
•달끈
•도르래
•크레센트
•추

판유리 가공품
•갈은유리
•흐린유리
•골판유리
•무늬유리
•부식유리

유리 용도 연결
•방범용 – 매직유리
•방화문 – 망입유리
•병원의 선 룸 – 자외선 투과유리
•현관 무테문 – 강화유리
•고층 삼실 외부창 – 복층유리

유리 설치후 유리보양을 위한 방법
•종이붙임
•판 붙임 방법

개폐방식에 따른 창호의 종류
•여닫이 창호
•미닫이 창호
•미서기 창호
•회전 창호
•오르내리기 창호
유리를 창문틀에 고정하는 방법
•탄성실런트로 고정하는 방법
•성형시일재로 고정하는 방법

대형판 유리 현수공법의 대표적인 시공방법
•리브보강 그레이징 시스템
•현수 및 리브보강 그레이징 시스템
•현수 그레이징 시스템

창호 시공상세도에 명기할 내용
•유리 물림 치수
•실런트 폭
•가스켓 크기
•셋팅 블록 위치

DPG 공법
•기존의 창틀을 사용하지 않고 강화유리판에 구멍을 뚫고 특수 가공 볼트를 사용하여 유리를 고정하는 방법
•자연미, 개방감, 채광효과가 우수

코너비드
•기둥, 벽 등의 모서리에 대어 미장 바름을 보호하는 철물

드라이브 핀(Drive Pin)
•소량의 화약 폭발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돌벽, 강재 등에 드라이브 핀을 순간적으로 쳐박는 기계
•드라이비트라는 일종의 못박기 총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나 강재 등에 박는 특수못 머리가 달린 것을
H형, 나사로 된 것을 T형이라고 함.

인조석 바름 또는 테라죠 현장갈기 시공시 줄눈대를 설치하는 이유
•바닥바름 구획의 조정
•균열방지
•부분보수용이

프리패브 콘크리트 공사 작업 순서
•베드 거푸집 청소
•거푸집 조립
•개구부 프레임 설치
•철근, 철물류 삽입
•설비, 전기 배관
•중간검사
•콘크리트 타설
•표면마감
•양생 후 탈형
•보수와 검사
•야적
공장PC제품 제작순서
•거푸집 청소
•거푸집 조립
•창문틀 설치
•철근조립
•설비재설치
•중간검사
•콘크리트 타설
•표면 마무리
•양생
•거푸집 탈형
•적재(보관)
•현장 운반

기타 조립식 공법
•내력벽식공법
-창호 등이 설치된 건축물의 대형판 벽체를 아파트 등의 구조체에 이용하는 방법
•BOX식 공법
-건축물의 1실 혹은 2실 등의 구조체를 박스형으로 지상에서 제작한 후 이를 인양 조립하는 방법
•틸트 업(Tilt Up)
-지상의 평면에서 벽판 및 구조체를 제작한 후 이를 일으켜서 건축물을 구축하는 방법
•리프트 슬래브 공법
-지상에서 여러 층의 슬래브를 제작한 후 이를
순차적으로 들어 올려 구조체를 축조하는 공법
•커튼월 공법
-창문틀 등을 건축물의 벽판에 설치한 후 구조체에 붙여대어 이용하는 방법
•입체 Unit 방식
-욕실, 주방 등을 일체화하여 완결된 단위구조를
설치하는 방법
•RPC공법
-라멘구조의 주요부를 SRC나 RC부재로 PC부재화하여 현장 조립하는 방법
•SPH공법
-벽식, RC조의 벽, 바닥을 방크기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법. 중, 고층 아파트에 많이 사용
•HPC공법
-기둥은 H형강을 사용하고 보‧바닥‧내력벽은 PC부재로 현장 조립하는 공법

Mock-Up Test
•풍동시험을 근거로 3개의 실물모형을 만들어
건축예정지의 최악조건으로 시험하여 재료품질,
구조계산치 등을 수정할 목적으로 행하는 실물대
모형시험

풍동시험
•건물준공 후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하고 설계에
반영하기 위해 건물 주변 600m 반경 내 실물축적
모형을 만들어 10~50년간의 최대풍속을 가하여
실시하는 시험

Mock-Up Test 시험항목
•예비시험
•기밀시험
•구조시험
•동압수밀시험
•정압수밀시험

커튼월 공법
•외관형식
-샛기둥방식
: 수직기둥을 노출시키고, 그 사이에 유리창이나
스팬드럴 패널을 끼우는 방식
-스팬드럴방식
: 수평선을 강조하는 창과 스팬드럴의 조합으로
외관을 구성하는 커튼월 구조방식
-격자방식
: 수직, 수평의 격자형 외관을 보여주는 바익
-피복방식
: 구조체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패널을 은폐시키고 새시는 패널 안에서 끼워지는 방식
•구조형식
-패널방식
-샛기둥방식
•조립방식
-Window Wall 방식
: 창호와 유리, 패널의 개별발주 방식으로 창호 주면이 패널로 구성됨으로써 창호의 구조가 패널 트러스에
연결할 수 있어서 재료의 사용 효율이 높아 비교적
경제적인 시스템 구성이 가능한 방식
-Stick-Wall 방식
: 구성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ㆍ연결하여 창틀이
구성되는 형식으로 유리는 현장에서 주로 끼운다.
현장 적응력이 우수하여 공기조절이 가능
-Unit-Wall 방식
: 구성 부재 모두가 공장에서 조립된 프리패브형식으로
창호와 유리, 패널의 일괄발주 방식임.
이 방식은 업체의 의존도가 높아서 현장상황에
융통성을 발휘하기가 어려움
•긴결방법
-회전방식
-슬라이드방식
-고정방식

ALC 패널의 설치공법
•수직 철근 보강 공법
•슬라이드 공법
•볼트 조임 공법
•타이 플레이트 공법
•커버 플레이트 공법

재료에 의한 커튼월의 분류
•금속제 커튼월
•PC 커튼월
•복합 커튼월

공업화(PC) 건축의 장, 단점
•장점
-양산화에 따른 원가절감
-현장작업 감소로 인한 공기 단축
-품질의 균일화와 동기시공 가능
•단점
-접합부 강도의 취약성
-양중에 따른 파손, 안전성 문제
-부품생산의 다양성 결여

공업화(PC) 건축의 생산방식
•오픈시스템
: 공업화 건축에서 부품생산을 불특정다수의 건물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생산하는 방식
•클로즈시스템
: 특정건물성격에 맞추어 부재를 생산하는 방식

커튼월의 부착순서
•Fastener 설치
•멀리온부착
•횡재의 부착
•패널끼우기
•유리끼우기
•Sealing 재처리
•청소(보양)

커튼월 공사 시 누수방지대책
•Closed Joint
: 이음부를 완전 밀폐시켜 홈을 밀봉시키는 방식.
: 고층건물에 사용
•Open Joint
: 등압이론에 따라 내‧외부면 사이에 공기층을 만들어서 배수하는 방식, 초고층건물에 사용

경량 천장용 인서트는 거푸집 조립 시 배치하여
콘크리트 내에 매설하고, 인서트에 연결시키는
행거볼트는 보통 90cm길이로 설치한다.
유성페인트 구성요소
•건성유
•건조제
•희석제

목부바탕 처리방법
•오염, 부착물제거
•송진처리
•연마지닦기
•옹이떔
•구멍땜(퍼티먹임) 및 눈메움

목부 유성페인트 칠하기 순서
•바탕처리
•연마지닦기
•초벌
•퍼티먹임
•연마지닦기
•재벌1회
•연마지닦기
•재벌2회
•연마지
•정벌

바니쉬(니스)칠
•바탕처리
•눈먹임
•색올림
•왁스문지름

수성페인트칠 공정
•바탕만들기
•초벌
•정벌

방청도장 재료
•광명단
•방청 산화철 도료
•알루미늄 도료
•이온교환 수지

뿜칠 시공시 뿜칠의 노즐 끝에서 도장면까지의 거리는 300mm를 유지해야 하며, 시공각도는 90°로 하고, 5℃ 이하에서는 도장작업을 중단해야 한다.

Floor Hinge
•정첩으로 지탱할 수 없이 중량이 큰 자재여닫이
문에 사용됨

플라스틱(합성수지재료)의 장,단점
•장점
-우수한 가공성으로 성형이 쉬움
-경량, 착색용이
-접착성이 강하고 전기 절연성이 있음
•단점
-내마모성, 표면강도가 약함
-열에 의한 신장이 큼
-내열성, 내후성이 약함

열경화성 수지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에폭시수지
•프란수지

열가소성 수지
•염화비닐수지
•폴리에틸렌수지
•아크릴수지

벽단열공법
•외벽(외부) 단열공법
•내벽(내부) 단열공법
•중공벽 단열공법

벽도배 시공순서
•바탕처리
•초배지 바름
•재배지 바름
•정배지 바름

봉투바름
•종이주위에 풀질하여 바르는 것. 찢어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음.

리놀륨 바닥깔기 순서
•바탕처리
•깔기계획
•임시깔기
•정깔기
•마무리

Door Closer
•문 윗틀과 문짝에 설치하여 자동으로 문을 닫는
장치

아스팔트타일 및 비닐타일 붙임 시공순서
•콘크리트 바탕 마무리
•바탕건조
•프라이머 도포
•먹줄치기
•접착제도포
•타일붙이기
•타일면청소
•왁스먹임

Access Floor
•정의
-일정한 공간을 두고 떠 있게 한 이중바닥 시스템.
-공조, 배관, 전기, 전가 컴퓨터 설치와 유지관리,
보수의 편리성, 용량조정의 편리성 등으로 사용.
-주로 장방형의 Floor panel을 받침대로지지
•지지방식
-지지각 분리방식
-지지각 일체방식
-조정지지각 방식
-트렌치 구성 방식

경량철골 반자틀 시공순서
•인서트매임
•행서볼트 및 행거설치(달대설치)
•벽 반자돌림대 설치
•챤넬설치(천창틀받이)
•M-Bar 설치(천정틀)
•마감재 부착(천장판 붙임)

온수난방 온돌공사 시공순서
•바닥콘크리트
•방습층설치
•단열재깔기
•자갈채움
•버림콘크리트
•파이프배관
•미장모르타르
•장판지마감

마감시공순서
•위→아래 : 외벽미장, 외벽타일, 실내도장, 실외도장
•아래→위 : 실내타일, 수직부 용접
•내부마감순서
: 창, 출입구(섀시) → 벽, 천장(회반죽바름) →
징두리(인조대리석판) → 걸레받이(인조대리석판) →
마루(비닐타일)


계단 논슬립(Non Slip) 나중설치 순서
•가설나무 벽돌설치
•콘크리트 타설
•가설 나무 벽돌제거 및 청소
•다리철물설치
•사춤 모르타르 구멍메우기
•논슬립고정
•보양

마감공사 시공순서
•창 및 출입문 설치
•벽미장 마감
•징두리 설치
•걸레받이 설치
•바닥깔기

단열재의 요구조건
•열전도율이 작을 것
•비중이 작고 가공성이 좋을 것
•흡수율이 작고 투수성이 작을 것
•부패되지 않고 내산, 내알카리성일 것
•내화성이 있을 것

석고보드의 장, 단점
•장점
-방화성능, 단열성능 우수
-시공이 용이함, 공기단축 가능
•단점
-습기에 취약, 지하공사나 덕트 주위에 사용금지
-접착제 시공시 온도, 습도변화에 민감하여 동절기
사용이 어려움
-못 사용시 녹막이 필요
-충격강도에 취약

칠공법의 종류(칠의 바름두께 : 0.3mm정도)
•뿜칠
•롤러칠
•솔칠
•문지름칠

뿜칠요령
•1/3정도 겹쳐 칠한다.
•칠면과의 뿜칠거리 : 300mm
•운행방향1회,2회는 직각으로 폭은 300mm 유지
•뿜칠압력 3.5kgf/㎠이상
•연속적으로 운행, 운행속도 : 30m/min
•압력이 높으면 칠손실이 많음.


철부 바탕만들기 순서
•오염, 부탁물제거
•유류제거
•녹제거
•인산염처리
•피막마무리

관련용어 연결
•목재의 옹이막이 – 셀락 바니쉬
•철재의 녹막이칠 – 광면단칠
•알루미늄초벌칠 – 아연분말도료
•라디에터칠 – 알미늄페인트
•토대 등 목재방부용 – 아스팔트 페인트

단열재 시공법
•성형판 붙임법
•현장발포 시공법
•뿜칠시공법

도배지에 풀칠하는 방법
•온통바름
•봉투바름
•비늘바름

기능성 도장의 종류
•방청도료
•방화(내화)도료
•발광도료
•방부(방균)도료
•내산도료
•내열도료
•전기절연도료
•유성페인트 : 안료 + 건성유 + 건조제 + 희석제

도장공사의 결함원인
•자국
•흘러내림
•주름
•백화
•색분리
•광택불량
•리프팅
•번짐
•건조불량

축열벽
•주간에 태양열을 집열시켜 저장하였다가 야간에
이용하는 간접획득식 난방방식
•벽돌벽, 물벽 등의 구조를 이용한다.
내화도료
•화재시 팽창하여 단열층을 형성하여 화재로부터
철골주요부를 보호하기 위한 내화피복 공사에
적용되는 고기능성 도료

도장할 바탕면의 평활도나 바탕면의 들뜸이나
오염 여부 등은 육안이나 촉감으로 확인할 수 있다.

퍼티
•도장공사에서 스크레이퍼(쇠 주걱)등으로 도장면의 갈라진 틈이나 구멍을 메꾸는데 사용되는 재료

해체공사 공해요인
•소음 및 진동발생
•분진발생
•지반침하발생
•폐기물발생

소음방지대책 수립 및 조치 시 조사 및 고려해야 할 내용
•소음관련 민원 사례
•소음관련 법규
•장비사양 및 사용시 소음발생 정도
•저소음 공법

도장요령과 도장주의사항
•솔질은 위에서 밑으로 왼편에서 오른편으로 재의
길이방향으로 한다.
•칠 횟수를 구분하기 위해 색을 다르게 칠한다.
•바람이 강하면 칠작업 중지
•칠막은 얇게 여러번 도포 후 충분히 건조
•온도 5℃이하, 35℃이상, 습도가 85% 이상시 작업 중단.

SM490
•SM :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490 : 인장강도 Fu = 490MPa

금속재 바탕처리법(화학적 방법)
•산처리법
•알카리처리법
•인산피막법
•용제에 의한 방법
•워시프라이머법

면진구조
•건축물의 기초 부분 등에 적층고무 또는 미끄럼받이 등을 넣어서 지진에 대한 건축물의 흔들림을 감소시키는 구조
금속재료의 방청도장 재료 / 녹막이용 도장재료
•광명단
•알루미늄도료
•방청산화철도료
•이온교환수지

강구조 접합부
•전단접합
: 웨브만 접합한 형태로서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이
없어 접합부가 자유로이 회전하며 기둥에는 전단력만 전달

•모멘트접합
: 웨브와 플랜지를 접합한 형태로서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능력을 가지고 있어 보와 기둥의 휨모멘트가
강성에 따라 분배됨


정초식
•기초공사 완료시에 행하는 의식

상량식
•콘크리트조에서 콘크리트 지붕공사가 완료되었을 때 행하는 의식
•목조에서는 지붕마룻대가 올라 갈 때 행하는 의식

기둥의 띠철근 수직간격은 축방향 주철근 직경의
16배, 띠철근 직경의 48배, 기둥 단면의 최소치수
이하 중 작은 값으로 한다.

표준관입시험 N값
•5 이하 : 아주 느슨한 모래
•5~10 : 느슨한 모래
•10~30 : 보통 모래
•30~50이상 : 밀실한 모래

 

 

통합공정관리
•WBS : 프로젝트의 모든 작업내용을 계층적으로
분류한 것
•CA : 공정․공사비 통합, 성과측정, 분석의 기본단위
•PMB : 관리계정을 구성하는 항목별로 비용을 일정에
따라 배분하여 표기한 누계곡선
•BCWS(PV) : 성과측정시점까지 투입 예정된 공사비
•BCWP(EV) : 성과측정시점까지 지불된 기성금액
•ACWP(AC) : 성과측정시점까지 실제로 투입된 금액
•SV : BCWP – BCWS
•CV : BCWP – ACWP

TQC의 7도구
•히스토그램 : 데이터가 어떤 분포를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작성하는 그림
•파레토도 : 불량 등의 발생건수를 분류항목별로
나누어 크기 순서대로 나열해 놓은 그림
•특성요인도 : 결과에 원인이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가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작성한 그림
•체크시트 : 계수치의 데이터가 분류항목의 어디에
집중되어 있는가를 알아보기 쉽게 나타낸
그림이나 표
•각종그래프 : 한 눈에 파악되도록 한 각종 그래프
•산점도 : 대응되는 두 개의 짝으로 된 데이터를
그래프용지 위에 점으로 나타낸 그림
•층별 : 집단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특징에 따라 몇 개의
부분집단으로 나누는 것

히스토그램 작성순서
•데이터를 수집
•데이터에서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함
•범위를 구함
•도수분포도를 작성
•히스토그램을 작성
•히스토그램을 규격값과 대조하여 안정상태인지 검토

표본산술평균( χ͞ )

χ͞ =
χ₁ + χ₂ + χ₃ + χ₄ + … + χn
=
∑χi
n
n


변동(S)
•S = (χ₁- χ͞)² + (χ₂- χ͞)² + (χ³- χ͞)² + … + (χn- χ͞)²
=∑( χi - χ͞ )²

표본분산(s²)

s² =
S
n-1

표본표준편차(s)

s = √
S
n-1


변동계수(CV)

CV =
s
X 100(%)
=
표본표준편차
X 100(%)
χ͞
표본산출평균


재료의 할증
•유리 : 1%
•단열재 : 10%
•시멘트 벽돌 : 5%
•붉은 벽돌 : 3%
•기와 : 5%

품질관리 계획서 기입사항
•품질방침 및 목표
•현장조직관리
•데이터의 분석관리
•품질관리 절차 확립
•검측 및 시험계획
•부적격판정 처리계획

관리 Cycle (PDCA)
•계획(Plan)–실시(Do)–검토(Check)–조치(Action)

관리요소(5M)
•사람(Man)
•재료(Materials)
•기계(Machines)
•자금(Money)
•공법(Method)

내구성자원 : 사람, 기계
소모성자원 : 재료, 자금

진도관리곡선(Banana Curve, S-curve)
•공사일정의 예정과 실시상태를 그래프에 대비하여
공정진도를 파악하는 것

Crew Balancing Method
•건설현장에서 몇 개의 작업팀을 구성하고 각 공구의 작업을 작업팀에 균형 있게 배당하는 방식

주공정선(CP)
•최초작업의 개시에서 최종작업의 완료에 이르는
경로 중 소요일수가 가장 긴 경로
PERT기법

Te(기대시간)=
to(낙관시간)+4tm(정상시간)+tp(비관시간)
6


더미의 종류
•넘버링더미
•로지컬더미
•타임랙더미
•커넥션더미

리드 타임
•건설공사 계약 체결 후 공사 착수시까지의 준비기간

공기 조정
•네크워크 공정표에서 지정공기와 계산공기를
일치시키는 과정

TF(전체여유)
•작업을 EST로 시작하고 LFT로 완료할 때 생기는 여유

FF(자유여유)
•작업을 EST로 시작한 다음 후속작업도 EST로
시작하여도 존재하는 여유시간

DF(종속여유)
•후속작업의 TF(전체여유)에 영향을 미치는 여유시간

MCX
•각 작업을 최소의 비용으로 최적의 공기를 찾아
공정을 수행하는 관리기법

비용구배(Cost Slope)
•작업을 1일 단축할 때 추가되는 직접비용

비용구배=
특급비용 - 표준비용
(원/일)
표준시간 - 특급시간

•특급비용 : 공기를 최대한 단축할 때 발생되는
직접비용
•특급시간 : 공기를 최대한 단축할 수 있는 시간
•표준비용 : 정상적인 소요일수에 대한 공사비
•표준시간 : 정상적인 소요시간

특급점
•직접비 곡선에서 특급공사비와 특급공기가 만나는
점으로 소요공기를 더 이상 단축할 수 없는 한계점

최장패스(LP)
•임의의 두 결합점간의 경로 중 소요기간이 가장 긴 경로
품질관리 순서
•품질관리 항목의 선정
•품질기준 설정
•작업 기준 설정
•품질 및 작업 기준에 대한 교육 및 작업 실시
•품질시험, 조사 및 기준에 대한 확인
•공정의 안정성 점검
•이상원인 조사 및 수정조치
•관리한계선의 재결정

생산자 위험
•합격으로 판정된 제품이 생산자의 잘못된 판정으로 불합격으로 처리될 확률

소비자 위험
•소정의 품질을 가지고 있지 않음에도 검사결과
합격되는 확률

콘크리트 품질관리 시험
•공사전 : 입도시험, 표면수량시험, 로스앤젤스시험
•공사중 : 슬럼프시험, 공기량시험, 압축강도시험
•공사후 : 슈미트해머시험, 코어채취시험, 평탄성시험

콘크리트 유효흡수량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질량과 기건상태의 질량의 차
•표면은 건조하고 내부에 일부 물을 포함하고 있는 골재가 콘크리트 비비기 직후부터 부어넣기
완료시까지 내부에 흡수되는 물의 양

골재의 비중


굵은 골재
잔골재
겉보기 비중

A
B-C


A
V-W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비중

B
B-C


500
V-W

진비중

A
A-C


A
(V-W)-(500-A)

흡수율

B-A
A
X 100(%)

500-A
A
X 100(%)
비고
A : 절건질량(g)
B :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질량(g)
C : 시료의 수중질량(g)
A : 절건질량(g)
V : 플라스크의 용적(㎖)
W : 플라스크에 넣은 물의 질량(g) 또는 용적(㎖)

 

•절대건조상태(절건상태)
: 골재를 100~110℃의 온도에서 질량변화가 없어질 때까지 건조한 상태
•기본건조상태(기건상태)
: 골재를 공기중에 건조하여 내부는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상태
•습윤상태
: 골재의 내부는 이미 포화상태이고, 표면에도 물이 묻어있는 상태
•흡수량
: 표면건조내부포화상태의 골재에 포함된 수량
•함수량
: 습윤상태의 골재에 포함된 수량
•표면수량
: 습윤상태의 골재표면의 수량

아스팔트의 침입도
•아스팔트의 양부를 판별하는데 가장 중요한
경도시험으로 25℃에서 100g 추를 5초 동안 누를 때
침이 0.1mm 관입되는 것을 침입도 1로 한다.

플랫슬래브(플레이트)구조에서 2방향 전단에 대한
보강방법
•슬래브의 두께를 크게 한다.
•지판 또는 기둥머리를 사용하여 위험단면의 면적을
늘린다.
•기둥을 중심으로 양 방향 기둥열 철근을 스터럽으로
보강
•기둥에 얹히는 슬래브를 C형강이나 H형강으로 전단머리 보강

공사원가
: 공사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료비, 노무비, 경비의
합계액

일반관리비
: 기업의 유지를 위한 관리활동부문에서 발생하는
제비용


직접노무비
: 공사계약목적물을 완성하기 위하여 직접 작업에
종사하는 종업원 및 기능공에 제공되는 노동력의
대가

고강도 콘크리트 폭렬현상
•내ㆍ외부의 조직이 치밀한 고강도 콘크리트에서
화재발생시 고압의 수증기가 외부로 분출되지 못하여 콘크리트가 폭파되듯이 터지는 현상

경질 석재의 물갈기 마감공정
•거친갈기
•물갈기
•본갈기
•정갈기

철근선조립공법의 시공적인 측면에서의 장점
•시공 정밀도 향상
•현장 노동력 절감 및 공기단축
•품질향상 및 품질관리용이성
•강재의 절약 및 작업의 단순화
•소규모 양중장비로 시공가능
•전기배선, 배관공사 용이

소성수축균열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초기균열로서
콘크리트 타설 후 블리딩의 속도보다 표면의
증발속도가 빠른 경우 표면 수축에 의해 발생되는
불규칙 균열

T-Tower Crane 대신 Luffing Crane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도심지의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해야 하는 경우
•고층 건물 밀집지역에서 타건물에 방해가 될 경우
•인접대지 경계선을 침범할 수 없는 경우

1방향 슬래브와 2방향 슬래브의 구분
•변장비(λ)=장변경간 / 단변경간
•1방향 슬래브 : λ > 2
•2방향 슬래브 : λ ≤ 2

적산
•공사에 필요한 재료 및 품의 수량, 즉 공사량을
산출하는 기술 활동

견적
•공사량에 단가를 곱하여 공사비를 산출하는 기술활동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자원배당이 대상이 되는 자원
•인력, 노무
•장비, 설비
•재료, 자원
•자금
•공법, 관리
•경험, 기억(기술축적)

네트워크 공정표 용어
•계산공기 : 네트워크 시간산식에 의하여 얻은 시간
•패스 : 네트워크 중의 둘 이상의 작업이 연결된
작업의 경로
•더미 : 네트워크 작업의 상호관계를 나타내는 점선
화살표
•플로우트 : 작업의 여유시간

 

 

 

 

 

 

 

 

 

 

 

 

 

 

 

 

 

 

 

 

 

 

 

 

 

 

 

 

 

 

 

 


NCS규정에서 정하는 각 종종별 일반적인 시공계획 수립순서
•설계도서 및 내역서 검토
•가설계획, 공정관리계획
•작업인원 투입계획, 자재, 장비 투입계획
•품질, 안전, 환경 관리계획수립
•각 공정별, 부위별 검사
•보수, 보강 계획 수립 및 실시

품질관리계획 수립 대상공사
•건설사업관리 대상인 건설공사로써 총 공사비가 500억 이상인 건설공사
•건축법상 다중이용건축물의 건설공사로써 연면적 3만㎡이상인 건축물의 건설공사
•해당 건설공사의 계약에 품질관리 계획을 수립하도록 되어 있는 건설공사

품질시험계획 수립 대상공사
•총 공사비가 5억원 이상인 토목공사
•연면적이 660㎡이상인 건축물의 건축공사
•총 공사비가 2억원 이상의 전문공사

품질관리 시행목적
•시공능률의 향상
•품질 및 신뢰성 향상
•설계의 합리화
•작업의 표준화

착공단계에서 제출해야 하는 서류
•도로점용허가신청
•건축물 착공신고
•품질관리계획서
•안전관리계획서
•가설건축물 축조신고 및 사용승인

도로점용허가 제출서류
•도로점용허가 신청서
•지적도
•토지대장 등본
•건축허가서 사본
•도로임대부위 전경사진

환경관리비
•건설공사현장에 설치하는 환경오염방지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
•건설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 및 재활용에 소요되는 비용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대기중으로 쉽게 증발되고, 대기중에서 질소산화물과 공존시 태양광의 작용을 받아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오존 등 광화학 산화성 물질을 생성시켜 광화학 스모그를 유발하는 물질의 총칭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시스템
•근거리 자동 무선인식 기술 시스템으로써 상품이나 동물, 사물에 마이크로 칩을 내장한 태그, 카드, 라벨
등을 부착하고 여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비접촉으로 정보를 읽고 전달하는 시스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3차원형상정보모델로써 건설 전 분야에서 시설물 수명주기 동안 의사결정을 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디지털 모델과 그의 작성을 위한 업무절차

위험도 관리전략
•위험도 회피 전략
•손실감소와 위험도방지 전략
•리스크 전이 전략
•리스크 보유 전략

건축물의 설계도서 작성기준
•공사시방서
•설계도면
•전문시방서
•표준시방서
•산출내역서
•승인된 시공 상세도면
•관계법령의 유권해석
•감리자의 지시사항

장수명 건축물
•구조체 뼈대는 고내구성 구조로 설계하고 설비교체, 가변, 갱신 부분은 교체 용이하도록 분리‧설계한 건물

준공가격(준공원가)
•예정가격이나 실행가격에 설계변경, 물가상승, 추가공사, 하자보수 등으로 변경된 원가

환경관리 민원예방을 위해 운영하는 가설시설
•살수시설
•가설세륜시설
•먼지, 분진집진시설
•소음, 방지시설
•방진막설치
•폐기물처리시설
•가설쓰레기 투하시설

타워크레인의 기초를 구축하는 방법
•강말뚝방식
•독립기초방식
•영구구조체 이용방식

타워크레인 분류
•수평이동방식 : 고정식, 주행식
•수직이동방식 : 마스트상승방식, 크레인상승방식

철재 널말뚝의 사용이 요구되는 이유
•지하수가 많고 수압이 커서 차수막이 필요한 경우
•기초파기가 깊어 토압이 커서 강성이 큰 흙막이가 필요한 경우
•경질지층 타입으로 강성이 큰 재료가 요구되는 경우

시추주상도
•주상도
: 지반천공을 통해 지층경연, 지층 상태, 지하수위 등을 조사하여 지층의 단면 상태를 축척으로 표시한 도면
•주상도 기입사항 : 지하수위 위치표시
표준관입시험의 N값 표시
지층의 두께, 종류, 색조 표시
샘플링 방법
Boring의 종류

지반조사방법
•탄성파식 물리적 지하탐사법
: 낙하추를 이요하거나 폭발을 일으켜서 지하 구성층을 개략적으로 탐사하는 방법
•스웨덴식 관입시험
: 스크류포인트를 장착하고 5~100kg의 추의 무게와 회전력을 이용하여 관입저항을 측정하는 시험
•휴대용 원추 관입시험
: 연약점토에 주로 사용하며 건설기계의 주행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 지수를 구하는 시험

표준관입시험 N값의 보정방법
•토질에 따른 보정방법
•Rod 길이에 따른 보정방법
•상재압에 따른 보정방법
•해머의 낙하방법에 의한 에너지 보정방법

H-Pile+토류판 흙막이 공법 순서
•지중장애물제거
•Guide Beam 설치
•H-Pile 타입
•굴착
•토류판 삽입
•뒤채움 흙 충전
•벽체지보공 설치
•굴착완료

Slurry Wall(슬러리월, 지하연속벽) 표준시방서 기준
•벽최소두께 : 0.6~1.5m 이상
•판넬의 길이는 9m 초과 금지
•골재치수 : 13~25mm 이하
•공기함유율 : 4.5±1.5%
•설계기준강도 : 20.6~29.4N/㎟
•단위시멘트량 : 350kg/㎥
•물시멘트비 : 50% 이하
•슬럼프 치 : 180~210mm
•배합설계 : 설계기준 강도의 125%이상
•철망 피복두께 : 10cm 정도 유지
•주철근은 반드시 이형철근을 사용
•굴착은 수직으로 하며, 최대허용오차는 1.0% 이하로 한다.
•지중콘크리트 타설시는 트레미관을 사용하여 선단은 항상 콘크리트에 2m 이상 묻혀있게 한다.
•interlocking pipe 인발은 콘크리트 타설 후 3~4시간 경과시 실시

되메우기
•모래로 되메우기 할 경우에는 물다짐을 실시
•일반흙으로 되메우기 할 경우에는 30cm마다 적절한 기구로 다짐하며 다짐밀도 95%이상으로 다짐

IPS(Innovative Prestressed Support)공법의 특징
•버팀굴착시 버팀보의 사용이 없어지므로 작업공간의 확보 용이
•가시설 및 본 구조물의 공사기간 단축
•선행 하중 효과로 주변 시설물의 지하침하 방지
•굴착 작업, 토사 반출 및 건설 자재의 출입 용이
•본 구조물 시공시 철근 배근과 거푸집 작업 매우 용이
•사용 강재의 회수율이 높아 경제성 향상
•강재량 및 작업 조인트 수 절감

Soil Nailing 공법의 특징
•지반자체를 벽체로 이용하여 안전성이 높은 옹벽 구축 가능
•장비가 소형으로 좁은 장소나 험준한 지형에도 가능
•지반조건의 변화에도 시공 패턴 변경으로 대응 가능
•시공법이 간편하고 소음, 진동이 적어 거주지 근접 시공 가능
•지진 등 주변 지반 움직임에 대한 저항력이 커서 안전

지하수 배수공법
•중력배수공법 : 집수정공법, 깊은우물공법
•강제배수공법 : 웰포인트공법, 전기삼투공법, 진공식 Siemens Well 공법

강우기에 비탈면의 물침투방지 방법과 사면보호 방법
•사면은 5m마다 단을 설치하고, 점검용 턱을 둔다.
•비탈면 맨하부는 영구배수 시설을 하고, 상부는 배수구나 도랑을 만들어 둔다.
•비탈면은 시트로 보양하거나, 철망과 모르타르 뿜칠을 하여 보양한다.

어스앵커 천공 전 사전검토 사항
•지중장애물, 지하매설물 여부 사전조사
•투수계수를 확인 : 투수계수가 높으면 순환수가 유출됨
•지하수위 확인 : 수압이 크면 보일링, 파이핑 대책 필요
•충분한 작업공간 확보

어스앵커 시공
•어스앵커 시공에서 강선을 정착부에 고정하는 방식은 대표적으로 쐐기방식과 나사방식이 사용된다.
•어스앵커 PC강재 삽입 설치 후 Mortar 주입순서는 저압주입•Packer 주입•정착부주입 순서로 시행한다.

어스앵커 시공 후 시험
•어스앵커 시공후 앵커의 인장시험은 흙막이 안전성 확보의 핵심자료로써 모든 시공앵커에 대해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다. 또한 인장시험 전에 굴착이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인장시험시 계획하는 최대 시험하중은
인장재 항복하중의 0.9배를 초과하면 안되며, 가설앵커인 경우는 설계인장력의 1.1배 이상, 상시 영구앵커인 경우는 설계 인장력의 1.2배 이상으로 실시한다.

SGR공법
•이중관 Rod에 특수 선단장치를 부착시켜 대상 지반에 형성시킨 유도공간ㅇ르 통해 급결성과 완결성의 주입재를 저압으로 복합주입하는 공법

역타공법(Top Down Method) Slab 타설방법
•SOG방식
•BOG방식
•SOS방식
•달아매기 방식

베노토공법의 특징
•All Casing 공법으로 굴착면의 붕괴가 없는 안정적인 공법
•암반을 제외한 모든 지층에 적용 가능
•기계, 설비가 대형.
•작업속도가 느리다.
•깊은 말뚝 가능
•공사비가 고가이다.
•전석층, 자갈층 casing 앞입과 인발 곤란
•casing 인발시 철근피복 파괴현상 우려

기성말뚝 시공순서
•지반조사
•표토제거
•말뚝 중심 측량
•시험말뚝박기
•자재 운반 검사
•말뚝박기
•말뚝 이음
•말뚝의 관입량 기록 및 검사
•지지력 판정
•말뚝 두부정리

JSP공법
•이중관 Rod 선단에 Jetting Nozzle을 장착하여 압축공기와 함께 cement milk를 초고압으로 분사하여 지반을 절삭, 파쇄함과 동시에 공극에 그라우팅 주입재를 충전하는 고압분사 주입공법.

말뚝
•말뚝박기시 시공정밀도는 기성콘크리트 말뚝인 경우는 편심량이 X•Y방향으로 70mm 이하이고, 경사도는
1/100 이하여야 한다.
•강관말뚝인 경우 위치오차는 말뚝지름의 1/10 또는 100mm 이하이어야 하며, 경사도가 1/100 이하이어야 한다.

말뚝공법에서 타격공법시 사용되는 대표적인 기구
•드롭해머
•디젤해머
•유압해머

말뚝항타시 발생되는 두부파손의 원인과 대책
•원인 : 해머 용랴의 과다, 과잉항타, 편타에 의한파손, 말뚝의 강도부족, 지반내 장애물
•대책 : 말뚝 두부 보강, 말뚝과 항타기 간의 경사 수정, 말뚝의 강도증가, 말뚝의 형상 변경
해머의 용량 및 낙차 조정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시공시 나타날 수 있는 시공상 문제점
•말뚝체의 형상불량 및 콘크리트 타설 불량
•공벽붕괴 발생
•굴착불능.굴착능력저하
•철근조립망의 부상
•외관, Bucket의 인발 불능 발생
•지지력 부족, 지지력 이완
•말뚝경사
•편심 발생

철근 단면의 색깔
•원형봉강 SR240 청색 일반용
•원형봉강 SR300 녹색 일반용
•이형봉강 SD300 녹색 일반용
•이형봉강 SD350 적색 일반용
•이형봉강 SD400 황색 일반용
•이형봉강 SD500 흑색 일반용
•이형봉강 SD400W 백색 용접용
•이형봉강 SD500W 분홍색 용접용

철근 이음방법
•Cad Welding 이음
: 철근에 연결철물을 끼워 연결한 후 연결철물 사이 공간에 화약의 순간폭발로 합금을 녹여 흘려 보내 철근을
이음하는 방법
•Sleeve 충전식 이음
: 철근에 연결철물을 끼운 후 팽창시멘트 모르타르를 충전하거나 금속합금재를 충전하여 이음하는 방법

Self Climbing System
: 타워크레인의 사용 없이 자체유압기를 이용하여 인양, 상승되는 벽체 거푸집 시스템으로 공기가 단축되며,
안전성이 우수

Rail Climbing System
: 타워크에인에 의해 레일을 타고 인양되는 방식의 벽체거푸집. 셀프 시스템에 비하여 경제적이고, 풍압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음

콘크리트의 장기강도를 증가시키는 시멘트
: 포졸란 시멘트, 고로슬래그 시멘트, 플라이애쉬 시멘트

MDF시멘트
: 1981년 영국에서 개발되었고 콘크리트에 큰 기공이나 결함을 제거하기 이해 시멘트에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하여 경화체의 공극을 채운 고강도, 고수밀성 구조체에 사용되는 시멘트

저열포틀랜드시멘트
: 주로 벨라이트를 주원료로 수화발열량이 작고, 고유동성 콘크리트제조에 사용되는 시멘트

jet 시멘트
: 초조강 시멘트보다 큰 단기강도를 얻기 위해 긴급공사 숏콘크리트 등의 콘크리트에 사용되도록 고안된 일명
one hour 시멘트

팽창시멘트
: 수축보상시멘트라고 하며, 건조수축균열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주로 그라우팅 재료로 쓰이는 시멘트

슬럼프(Slump)
•운반시간이 긴 경우는 슬럼프 저하를 고려하여 배합을 결정해야 한다.
•슬럼프의 증가량은 10cm 이하를 원칙으로 하며 5~8cm를 표준으로 한다.
•레미콘 슬럼프값의 허용오차는 슬럼프 값이 80mm 이상인 경우 ±25mm 이하로 한다.

혼화재(제)
•염화칼슘 : 한중기에서 사용하는 방동제
•방청제 : 염화물에 의한 철근부식 억제 효과제
•유동화제 : 밀집배근된 곳의 콘크리트 타설을 용이하게 하는 혼화제

잔고재율
•정의 : 콘크리트에 포함된 전골재용적에 대한 잔골재용적의 백분율
잔골재체적(용적)/전골재체적(용적) X 100%
•잔골재율이 큰 경우 배합시 일반적인 경향
: 단위수량 증가, 단위시멘트량 증가, 공기량 증가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콘크리트의 낙하 높이는 1m or 2m 이하로 하며, 수직타설을 원칙으로 한다.
지하연속벽타설시 타설철관은 콘크리트 내부에 2m 이상 묻혀있도록 해야한다.

초기균열 원인
•소성수축 균열
•침하균열
•온도균열
•시공 중 균열
장기적은 수축에 따른 균열
•건조수축 균열
•creep수축 균열
•자기수축 균열

해양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와 피복두께
•물보라지역 / 40% / 90mm
•해중 / 50% / 80mm
•해상 대기 중 / 45% / 70mm

프리스트레스 공법 중 Long-Line
: 프리스트레스 공법 중 프리텐션공법으로 강재를 설치, 긴장, 정착 후 그 사이에 다수 형틀을 조립하여 콘크리트 경화 후 강재를 절단하여 동시에 다수의 PC부재를 제작하는 방법

포스트텐션 방식에 의한 부재제작방법
•매그널 방식
•프레시네 방식
•디위대그 방식
•레오버 방식

 

프리텐션방식에 의한 부재제작방법
•롱라인
•단독형틀

콘크리트 품질관리
: 건축공사표준시방서에서 콘크리트 시험은 부어넣기 구획마다 부어 넣는 날마다 또한 타설량 120㎥마다 1회로 하고, 1회 시험은 3개 공시체의 평균값으로 한다. 강도시험 결과치는 레미콘인 경우 KSF 4009 규정에 의하면 1회 시험 기준으로 호칭강도의 85% 이상이면 합격으로 간주한다.

Preplaced Aggregate Concrete
: Prepacked Concrete라고도 하며 특정입도를 가진 굵은골재를 거푸집 속에 채우고 그 사이에 공극에 특수 몰탈을 주입하여 완성하는 콘크리트

콘크리트 피복두께의 변화요인
•흙과의 접촉 유무
•실내외의 구분
•마감의 유무
•구조체 종류별
•콘크리트의 종류
•철근의 직경

진공탈수 콘크리트의 특징
•콘크리트의 초기강도 증진
•건조수죽의 감소
•표면경도 증가로 내마모성 증진
•수밀성 증진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증진

고인성 콘크리트
: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개량된 섬유와 혼합비율로 콘크리트의 인성과 연성을 더욱 개선 시킨 콘크리트

가볼트 조임
•풍하중, 지진하중, 공사중 하중에 대하여 안전성을 검토하여 시행한다. 특기시방에 나와있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다음 규정을 적용한다. 고력볼트 접합시는 1개의의 볼트군에 대하여 1/3 또는 2개 이상 배치
•혼합용접 및 병용접합인 경우는 1/2 또는 2개 이상 배치

Lamellar Tearing 현상
: 철골부재 용접시 용접금속의 국부적인 수축으로 인하여 압연강판의 층 사이에서 계단모양의 박리균열이 생기는 현상

Ferro-Stair
: 시스템 철골계단으로써 철근콘크리트조의 계단부를 공장생산된 철골계단으로 대체하고, 슬라브와 계단참
거푸집에 가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거푸집 해체 후 철골계단을 이동․고정하는 공법

고력볼트 조임
•고력볼트 조임은 일반적으로 1차조임 – 금매김 – 본조임의 순서로 행한다.
•각 볼트군마다 조임은 중앙부에서 단부쪽으로 조임해간다.
•본조임은 코트관리법, 너트회전법, 조합법의 방법으로 한다.

스터드 볼트의 필렛용접 규정
•스터드 필렛용접부는 균열 및 슬래그의 혼입이 없어야 하며 스터드 기울기는 5도 이내이어야 한다.
•스터드 용접부 검사에서 구부림 각도 15도에서 용접부의 균열, 기타 결함이 없으면 그 검사단위는 합격으로
하고, 그대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방수공사 후 담수시험은 배수구를 밀봉한 후 50mm 이상 물을 채운 후 24시간 방치하여 누수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시트방수 시공 후 마감방법
•노출공법(비보행용)은 착색도료 도포나 알루미늄판을 부착하여 마감
•비노출공법(보행용)은 시트 시공 후 몰탈이나 콘크리트로 누름층을 형성

자착형 방수시트
: 방수층 시공시 별도의 가열기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방수재 자체의 접착력으로 바탕체와 부탁이 가능한 시트재

방수층 영문기호
•S-RuF : 합성고무계 시트방수로써 전면밀착공법
•A-PrU : 보호층이 필요한 지하 아스팔트 방수공법

경질형 Primer
: 방수층과 바탕을 견고하게 접착시키는 에폭시계 또는 아스팔트계 재료

연질형 또는 절연형 Primer
: 구조체 거동에 방수층 파손을 방지하고자 바탕층과 유연하게 밀착시킬 목적으로 바탕면에 도포하는 액상 또는
유연형의 재료

석재를 가공한 후 발생될 수 있는 결함
•각도, 치수오차, 배부름, 두께 불일치
•얼룩, 녹, 황변 발생
•판재의 휨
•철분 녹 발생, 백화현상 발생

시멘트 모르타르 바름에서 시공상의 균열방지 대책
•사용모래는 가능한 거친 입자를 사용
•바름 후 직사광선을 피하고 비를 피해 양생
•바름 두께는 각층을 얇게 충분히 건조시킴
•바름전 물축임후 1일 건조양생 후 시공
•바탕처리 철저, 오염물지 제거
•바름시간 준수, 몰탈 오픈 시간 준수

Steel Back Frame System
: 방청페인트 또는 아연도금한 각 파이프를 구조체에 긴결시킨 후 여기에 석재를 패스너로 긴결시키는 공법

Self Leveling재
: 자체 유동성을 갖고 있는 석고계 및 시멘트 재료를 이용하여 평탄한 수평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탕처리 재료

 

유리의 열파(열파손) 현상
: 유리의 중앙부와 유리 프레임이 면하는 주변부와의 온도차이로 인한 팽창, 수축 차이 때문에 응력이 생겨서 유리가 파손되는 현상

열파방지대책
•판유리와 차양막 사이를 10cm 이상 이격할 것
•냉방된 공기가 직접 닿지 않도록 할 것
•유리에 필름이나 페인트질을 하지 말 것.
•유리와 지지 프레임은 확실히 단열시킬 것
•배강도 유리나 강화유리를 사용할 것.

PEB(Pre-Engineered Building) System
: Tapered Beam 구조로 불리는 철골구조물로써 전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조계산, 설계도면 작업을 동시에
하여 부재치수, 형상을 미리 제작한 것

LEB(Lightweight Pre•Engineered Building) System
: PEB System과 유사한 고품질의 조립식 경량 철골.
문형틀 구조물로써 최대 20m까지 내부기둥 없이 시공이 가능. 조립식 건물, 물류센터 등에 사용

PC판과 커튼월의 우수침입 원인과 대책
•중력에 의한 침투 / 턱을 두거나 구배를 상향으로 조정
•표면장력에 의한 침투 / 물 끊기 홈 설치
•모세관현상에 의한 침투 / 틈새를 크게 시공, 에어포켓 설치
•운동에너지에 의한 침투 / 문틈 내부를 미로로 만듬
•기압차이로 인한 침투 / 등압원리를 이용하여 기압차를 제거

도장공사시 발생하는 결함과 원인
•자국 : 칠이 되거나 칠이 증발이 빠른 경우 발생
•흘러내림 : 두껍게 바르거나, 시너과다 사용시
•주름 : 급격한 건조, 유성도료를 두껍게 한 경우
•백화 : 도장 기온이 떨어져 공기 중 수분이 도면에 응집
•색분리 : 혼입불충분, 용제과다첨가
•광택불량 : 바탕재 흡수가 크거나 두꺼운 경우, 백화발생, 시너용량 부적절
•리프팅 : 도막의 수축, 박리
•번짐 : 초벌바탕에 염료, 기름, 역청재칠등 원인
•건조불량 : 기온이 낮고, 습고가 높은 경우

유지관리
: 완공된 시설물의 기능을 보전하고 시설물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높이기 위하여 시설물을 일상적으로 점검․
정비하고 손상된 부분을 원상복구하며 경과시간에 따라 요구되는 시설물의 개량․보수․보강에 필요한 활동을 하는 것
: 구조물의 사용기간에 구조물의 성능을 요구되는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모든 기술행위

유지관리 계획을 세우고 행하는 목적
•건물사용자의 편리성, 쾌적성, 안전성 제공
•법적규제, 의무준수
•건물수명의 유지, 연장
•재해 등 긴급상황에 적절한 대응으로 사용자의 안전과 재산보전
•건물의 미관유지
보수
: 열화된 부재나 구조물의 재료적 성능과 기능을 원상 혹은 사용상 지장이 없는 상태까지 회복시키는 것으로 당초의 성능으로 복원시키는 것

보강
: 부재나 구조물의 내하력, 강성 등의 역학적 성능저하를 회복 또는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

점검의 종류
•초기점검
: 준공과 함께 6개월 이내에 시행하는 점검. 정기점검 수준으로 행함. 건축물의 유지관리대장 작성의 근간이 됨
•정기점검
: 유지관리가 필요한 모든 시설물을 대상으로 한다. 분기별 1회 이상 실시
•정밀점검
: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서 정한 1,2종 시설물과 관리주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시설물을
대상으로 한다. 건축물은 3년에 1회 이상으로 실시.
•긴급점검
: 태풍, 집중호우, 폭설 등의 재해가 발생한 경우, 긴급한 손상이 발견된 때 행함. 관계행정기관 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관리주체에게 긴급점검을 요청한 때 또는 관리 주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시설물을
대상으로 한다. 손상점검과 특별점검이 있다.
•정밀안전진단
: 관리주체가 안전점검을 실시한 결과 시설물의 재해예방 및 안전성 확보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시설물과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서 정하는 10년이 경과된 1종 시설물을 대상으로 행한다.
:5년에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실시함

콘크리트 압축강도 측정방법 중 국부파괴법의 종류
•관입저항법 : 원저법, CPT핀테스트법
•인발법 : 미국식 인발시험기, LOK시험기 CAPO시험기둥
•Break-off법 : 코어휨내력 시험법
•Pull-off법 : 코어 인발강도 시험법

일반적인 구조물의 요구성능
•안전성능
•사용성능
•내구성능
•미관․경관

유지관리 절차의 순서
•유지관리계획
•점검
•결함의 예측
•평가 및 판정
•대책
•기록

정기점검에서는 점검결과 시설물 상태 평가를 부재별로 작성하여 문제부위에 대하여 사세한 등급을 매기게
되며 정밀안전진단에서는 전체 시설물에 대하여 세부상태의 등급을 정한다. 시설물 결함의 상태등급에서
B등급은 경미한 손상의 양호상태를 표시하며, 긴급한 보수․보강이 필요한 상태는 D등급으로 표시한다.


시설물의 상태평가
•A등급 : 문제점이 없는 최상의 상태
•B등급 : 경미한 손상의 양호한 상태
•C등급 : 보조부재에 손상이 있는 보통의 상태
•D등급 : 주요부재에 진전된 노후화로 긴급한 보수․보강이 필요한 상태로 사용제한 여부를 판단
•E등급 : 주요부재에 심각한 노후화 또는 단면손실이 발생하였거나 안전성에 위험이 있어 시설물을 즉각
사용금지하고 개축이 필요한 상태

열화 혹은 열화현상
: 구조물의 재료적 성질 또는 물리, 화학, 기후적 혹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여 주로 시공 이후에 장기적으로 발생하는 내구성능의 저하현상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진행함

표면박리
: 동결융해 작용, 제빙화학제와 동결융해의 복합작용 등에 의하여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의 표면이 작은 조각상으로 떨어져 나가는 현상

팝아웃현상
: 내동해성이나 내알칼리 골재반응성이 작은 골재를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경우 동결융해 작용이나 알칼리 골재반응에 의해 골재가 팽창하여 파괴되어 떨어져 나가거나 그 위치의 콘크리트 표면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

균열발생원인
•초기동해에 따른 균열
: 가는 균열이 발생하며, 탈형하면 콘크리트면이 하얗게 된다. 표면에 그물모양 균열이 수일~수십일 이상에서 발생
•시멘트의 이상 팽창
: 수십일 이상에서 발생되며, 방사형의 표면 그물모양의 균열이 발생됨.
•시멘트의 이상 응결
: 폭이 크고 짧은 균열이 비교적 빨리 불규칙하게 발생된다. 수시간에서 1일 사이에 발생됨
•중성화나 염분에 의한 철근팽창
: 철근을 따라 큰 균열이 발생되며 콘크리트의 피복이 떨어져 나가고 녹이 유출된다. 수십일 이상에서 발생됨.
•알카리 반응성 골재 사용
: 다습한 곳에서 많이 발생
: 알카리 반응성골재 사용시 수십일 이상에서 콘크리트 내부에서 거북 등 모양으로 발생
•구조물의 부동침하
; 구조물의 부동침하 균열은 수십일 이상에서 45도 방향으로 표면관통 균열이 발생

공정관리 : 관리목적상 반드시 지켜야 되는 몇 개의 주요시점을 지정
•공정기본계획(수순계획)
•일정계획
•진도관리
•통제, 조정, 대책수립

입찰보증금
: 낙찰되어도 계약을 체결할 의사가 없는 자의 입찰참가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로 낙찰 안된 자는 개찰 후
반환하고, 낙찰자에게는 계약체결 후 변환하는 보증금

부대입찰제 : 하도급의 계열화를 유도하는 입찰방식


건축법상 설계도서(도급계약서 첨부물)
•공사용 설계도면
•시방서
•구조계산서

시방서상 설계도서
•설계도면
•시방서
•현장설명서
•질의응답서

공사비 지불순서
•착공금 – 70%, 대상 : 3천만원 이상, 60일 이상의 공사
•중간불 – 월별 or 공종별 지급, 90%
•준공불 – 대금청산, 건물 인도 후 계약 해지
•하자보증금 – 준공 후 1~3년까지, 2~5% 예치

규준틀(수평) : 건물의 각부 위치 및 높이 기초의 나비를 결정하기 위해 설치하는 규준틀로 이동이 없게 견고히 설치
•설치위치 : 줄쳐보기 실시 후 건축물의 모서리 및 기타요소에 설치
•설치목적 : 건축물 각부 위치 및 높이의 기준을 표시
터파기폭 및 기둥 및 기초의 중심선 표시

전단강도 : 흙에 관한 역학적 성질로써 기초의 극한 지지력을 알 수 있다.

정적인 것
•Vane test : 극히 연약한 점토지반의 조사, 점토질의 점착력 확인.
+형 날개의 베인테스터를 지중에 박고 회전력으로 점토의 점착력을 판별하는 원위치시험

동적인 것
•표준관입시험 : Rod 선단에 샘플러를 부착하고 63.5kg의 추를 76cm 높이에서 낙하시켜 30cm 관입시키는데
필요한 타격횟수 N치를 측정하여 밀도를 판별, 동시에 샘플러로 시료를 채취. Standard Penetration Test
기타 사운딩의 종류 및 특징
•휴대용 원추 관입 시험 : 정적사운딩
•회란식 원추 관입 시험 : 정적사운딩
•스웨덴식 관입시험 : 정적사운딩
•이스키 미터 : 정적사운딩
•동적원추 관입시험 : 동적사운딩

아터버그 한계(Atterberg Limits)

 

액체 상태

소성 상태

반고체 상태

고체 상태

질퍽한
유동화 상태


반죽이 가능한 끈기가 있는 상태


바삭바삭하고 끈기가 없는 상태


절대건조 상태

 


액성 한계
소성 한계
수축 한계

1911년 아터버그(Atterberg)가 창안한 함수량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흙의 컨시스턴시의 경계의 함수비로서, [액성한계], [소성한계], [수축한계]를 총칭한다.

 


간극비, 함수비

3상으로 나타낸 흙의 성분
주요 지표
흙의 구성요소 : 공기, 물, 흙입자

V
Vv
Va
공기 (air)
Wa

Vw

(water)
Ww
W

Vs
흙입자
(solid)
Ws

V : Volume, 체적 W : Weight, 중량
간극비(Void Ratio) : e =
간극의 체적
=
Vv
흙입자만의 체적
Vs
포화도(Degree of Saturation) :
S =
물의 체적
X 100[%] =
Vw
X 100[%]
간극의 체적
Vv
함수비(Water content) :
W =
물의 중량
X 100[%] =
Ww
X 100[%]
흙입자의 중량
Ws
함수율(Ratio of Moisture) :
W’=
물의 중량
X 100[%] =
Ww
X 100[%]
전체 흙의 중량
W
공극률 :

공극의 용적
X 100[%] =
Vv
X 100[%]
흙 전체의 용적
V


•직접지내력 시험, 재하시험이며 시험은 예정기초 저면(밑면)에서 행함.
•재하판은 45cm 각 2,000㎡의 원형이나 각형을 사용
•하중(재하) : 매회 재하 1ton(10kN)이하 예정 파괴 하중의 1/5이하
•침하정지 : 2시간에 0.1mm이하 일 때, 총 침하량이 20mm이하 일 때
•장기 하중에 대한 지내력 : 단기 하중 지내력의 1/2
•시험 순서(단기 허용지내력 : 침하량이 2cm에 도달했을 때의 하중 / 재하판의 면적)
*시험면파기
*재하판설치
*하중대설치
*재하 및 침하량 측정
*단기 허용지내력 산출
*장기 허용지내력 산출

시멘트 창고 면적의 산출
•A = 0.4 X N/n
•n = 쌓기 단수(n≤13)
•N = 시멘트 포대수
600포 미만 : N = 포대수 600포 ~ 1,800포 : N = 600 1,800포 초과 : N = 포대수 X 1/3

간접(공통)가설항목
•가설건물
•가설근로자 숙소 : 30인 이상일 때 1인당 기준면적은 4.2㎡이상
•현장화장실 – 대변기 : 남자 20명당 1기, 여자 15명당 1기
•공사용 임시동력, 통신설비
•공사용수비
•가설울타리 •높이 : 2층 건물 이상일 경우 최소 1.8M이상
•대지측량비, 가설도로
•안전, 위험, 재해방지설비
•운반비

줄띄우기 : 건물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말뚝을 박고 줄을 띄워보는 것.
직접(전용)가설항복
•규준틀설치
•비계설치
•먹매김
•건축물 보양설비
•양중, 운반, 타설시설
•안전시설 중 낙하물 방지설비
•시멘트 창고

동력소 및 변전소
• A = 3.3√W
W : 전력용량(kWh) 1HP : 0.746kW


비계면적 수량산출(내부비계면적은 연면적의 90%로 산출)

외줄비계
쌍줄비계
강관비계
A = H (L + 8 X 0.45)
A = H (L + 8 X 0.9)
A = H (L + 8 X 1)
A : 비계면적(㎡)
H : 건물 높이(m)
L : 건물 외벽길이(m)
0.45 : 외벽에서 0.45m 이격
0.9 : 외벽에서 0.9m 이격
1 : 외벽에서 1m 이격


비계다리
•나비 90cm이상
•경사 30°이하(보통 17° 물매 4/10를 표준으로 한다.)
•지지기둥간격 3.0m이하
•장선간격 1.8m이하
•미끄럼 막이대(1.5cm X 3.0cm 각재) 30cm 간격으로 고정
•다리참 : 각 층마다 혹은 층의 구분이 없으면 7m 이내마다 설치
•설치소요량 : 건물면적 1,600㎡ 당 1개소
•난간 : 90cm 이상으로 설치, 45cm에 중간대 설치
•계단으로 설치시 챌판 24cm이하, 디딤판 나비 22cm 이상

흙파기 공법의 분류
•오픈컷공법
•경사면파기
•흙막이공법
•아일랜드 컷 공법
•트랜치 컷 공법
•구체흙막이 지보공법(케이슨공법)
•심초공법(깊은우물기초)
•용기잠함공법
•개방잠함공법

흙막이 공법의 분류
•줄기초 흙막이
•버팀대식 흙막이
•어미말뚝식 흙막이


사질지반의 지반개량공법
•다짐말뚝법
•진동부유공법
•다짐모래말뚝공법
•폭파다짐법
•전기충격법
•약액주입법(응결공법)

통나무비계, 강관비계, 강관틀비계의 부재간격

구분
통나무비계
강관비계
강관틀비계
기둥 간격
1.5~1.8m
띠장 방향 1.5~1.8m
높이는 원칙적으로 45m를 초과할 수 없다.
보 방향 0.9~1.5m
띠장, 장선 간격
1.5m
1.5m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띠장틀 등의 수평재를 설치
가새 간격
수평길이 15m마다 40°~60°로 설치
기둥1본 부담하중

700kg(6860N)
(바닥층수 3층 이상 시)
2500kg(24.5kN)
(견고지반, 콘크리트 위)
기둥과 기둥사이 적재하중

400kg(3920N)
(기둥간격 1.8m)
400kg(3920N)
(틀 간격 1.8m)
벽체와의 연결
수직 : 5.5m 이하
수직 : 5m 내외
수직 : 6m
수평 : 5.5m 이하
수평 : 5m 이하
수평 : 8m
결속선, 결속재
#8~#10 철선
#16~#18 아연도금 철선
(1개소 5m이상)
Coupler, Clamp로 연결
끼움재, 연결재 핀 등으로 고정
기타사항
1. 이음 : 겹침이음원칙
1.0m 이상, 2개소 이상 결속
2. 맞댐이음 : 1.8m이상,
2개소 이상 결속, 못박기 금지
1. 건물 최고부에서 31m하부는 2본의 강관을 겹쳐서 사용
2. 비계 밑받침은 강관비계기둥 3본 이상이 연결되도록 함

비계발판
나비 25cm, 두께 4cm이상, 길이 2.5~3.5m내외의 구조상 안전한 판재로 하고 발판은 장선에 20cm이하로 내밀어 걸치고 튼튼히 고정, 외측에서 2m이상 내밀어 설치

 

반응형